[보상매뉴얼] 숨기면 손해! 고지의무위반[=계약전 알릴의무위반]의 모든 것
1. 계약 전 알릴의무의 정의[=고지의무]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는 보험계약 청약 시, 보험회사가 서면으로 질문한 중요한 사람에 대해 사실대로 알려야 할 의무가
있다. 이를 상법상 고지의무 또는 계약 전 알릴의무라 합니다.
2. 알려야 할 사항
(1) 보험자 입장에서 말하는 중요한 사항의 기준
중요한 사항이란 보험회사가 그 사실을 알았더라면, 그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거나 적어도 동일한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을 것으로 인식되는 사항을 말합니다.
(2) 질문표의 질문사항
실무에서 중요한 사항에 대해 청약서의 질문표를 사용하고, 질문한 사항은 중요한 사항으로 추정됩니다.
3. 위반효과
(1) 계약의 해지
보험사는 보험사고의 발생여부에 관계없이 고지의무 위반시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고지의무 위반된 사항과 반대증거가 있을 경우에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라는 문구와 함께 계약자에게 알려야
하고, 해지환급금이 있으면 지급하여야 합니다.
(2) 보험금의 지급제한
1) 보험사고와 인과관계 존재
고지의무 위반내용과 보험사고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 경우,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2) 보험사고와 인과관계 부존재
고지의무 위반내용과 보험사고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을 경우에는 보험금을 지급합니다.[계약해지와 무관]
4. 계약해지권의 제한
(1) 보험회사의 고지 또는 과실
보험사가 계약당시에 그 사실을 알았거나, 과실로 알지 못한 경우에는 보험을 해지할 수 없습니다.
(2) 상법상 제척기간[어떤 권리에 대하여 법률상 정해진 존속시간이 지난 경우]
고지의무 위반사실을 안 날부터 1개월 이상 지났거나 계약체결일로부터 3년이 지났을 때 계약해지 할 수 없습니다.
(3) 건강검진서에 명기된 사항으로 지급사유가 발생한 경우
진단계약의 경우, 건강진단서 명기되어 있는 사항으로 보험금 지급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계약해지를 할 수 없으나, 고의로 사실과 다르게 작성한 때에는 해지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4) 보험설계사의 고의 또는 과실
보험설계사가 계약자 및 피보험자에게 사실대로 고지하지 않게 하였거나 부실한 고지를 권유했을 경우에는 해지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또한 보험금은 지급하고 설계사에게 구상됨]
5. 최근 이슈
(1) 10년 전 암 치료 완치 사실을 반드시 알려야 하나요?
암 치료 종료 후 5년이 지나 의사로부터 재발 가능성을 고지 받았거나 재검사 요구를 받은 적이 있다면, 이는 보험회사에 알려야 할 중요한 사항에 해당할 여지가 있으나, 그런 경우가 아니면 고지대상이 아닙니다.[항암제 처방을 계속 받으시는 분들은 완치가 아니라 계속 치료중으로 봄]
(2) 그 외에도 질문항목에 없는 것은 고지할 필요가 없는 건가요?
청약서의 질문항목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계약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에 해당하며, 이를 알고도 악의적으로 알리지 않은
경우와 같이 고의·중과실이 인정되는 경우라면‘계약 전 알릴 의무’위반에 해당할 여지도 있습니다.[분쟁 中]
- NEW보험3대질병 진단비 준비하는 이유안녕하세요~ 보험설계사 서대승 팀장 입니다. 우선 보험 가입순서는 실비3대진단비수술비이렇게 3가지로 구성을 꼭 해야합니다. 혹시 내 보험이 순서 중 1이없고 2,3만 있다던지보험 상담을 하다 보면 "팀장님, 암 진단비만 있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 "뇌 , 심장 쪽도 꼭 넣어야 하나요?" 라는 질문을 정말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실제 청구 데이터를 보면, 암만큼이나 뇌,심장 질환도 갑자기 찾아오고 비용도 어마어마합니다. 그래서 3대질병 진단비는 " 선택이 아니라 필수 " 에 가깝습니다. 오늘은 제가 고객님들께 설명드리는 방식으로, 3대진단비를 왜 넣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구성해야 손해 보지 않는지 정확하게 설명 도와드리겠습니다.1. 3대질병이 전체 사망·후유증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대한민국 성인 질병 구조를 보면가장 많은 치료비를 발생시키는 질환이 바로 암·뇌·심장입니다.암(전체 사망 1위)심혈관질환(협심증·심근경색 등)뇌혈관질환(뇌경색·뇌출혈 등)이 3가지가 의료비 ,서대승 보험전문가・1033
- 보험[배상책임] 자전거 사고의 교훈, PAS 방식이 답이었다!! 인도·횡단보도 자전거 운행, ‘안전불감증’ 여전…전기자전거 사고 땐 사비 배상 우려 인도에서 자전거를 타다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자전거 운전자는 교통법 위반으로 과실 비율이 100%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횡단보도에서 자전거를 내리지 않고 탄 채로 건너다 자동차와 접촉사고가 발생하면, 자전거 측의 과실이 20~30% 정도 가산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이처럼 자전거는 인도나 횡단보도에서 반드시 내려 끌고 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시민들이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시민들의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더 큰 문제는 전기자전거 사고입니다. 전기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와 달리 보험 적용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사고 시 상대방 피해를 운전자가 사비로 배상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전문가들은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차(車)에 해당한다”며 “인도 주행이나 횡단보도 탑승은 명백한 법 위반일 뿐 아니라, 사고 시 법적·경제적 책임이 모두 운전자에게 돌박지연 보험전문가・60932
- 보험[진단비] 자주 가지 않아도 한번 치료시 몇백이상 되는 치과치료비 어떻게 하지?아래의 사유로 치과보험 및 실손의료비의 급 관심이 생기는데요. 사연 보고 치과보험 및 실손의료비에 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그냥 한두 군데 썩었을 줄 알았는데…”“선생님, 어금니 쪽이 좀 시린 것 같아요.”가볍게 치과를 찾은 지민 씨는 진료 후 깜짝 놀랐습니다.“인레이 두 개, 크라운 하나는 해야겠네요.”간단한 충치 치료일 거라 생각했는데, 견적서를 받아보니 70만 원이 훌쩍 넘는 금액.게다가 예전에 했던 레진도 다시 해야 해서 결국 총 금액은 백만 원이 넘었습니다.사실, 지민 씨만 그런 게 아닙니다.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4년 기준으로주요 치과 치료의 평균 비용은 이렇습니다.1. 복합레진 7~15만 원2. 인레이 28~35만 원3. 온레이 35~40만 원4. 크라운 30~60만 원5. 임플란트 110~150만 원치아 하나당 이 정도라면, 두세 개만 손봐도 한 달 월급이 순식간에 사라집니다.문제는,이런 치료 대부분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이라는 점입니다.결국, 모든박지연 보험전문가・50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