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진작업장, 광산에서 일하고 얻은 진폐증, 산재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법률사무소 봄볕 이덕재 노무사입니다. 😊
진폐증은 미세한 분진이 폐에 흡착되어 섬유화되는 질병입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광산, 건설업, 시멘트 제조업 등 분진작업 환경에 노출된 분들은 진폐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을 통해 진폐증 산업재해 보상 절차와 방법을 쉽게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1. 진폐증 산업재해 보상 방법
진폐증으로 인해 산업재해 보상을 받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법)적용 ✅진폐의 예방과 진폐근로자의 보호 등에 관한 법률(진폐법)적용
이 두 가지 방법은 적용 대상과 보상 내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산재법 적용 대상
✔ 요약
진폐법 적용 사업 외의 분진 작업 근로자
진폐법 적용 사업장이라도 1985.3.31 이전 퇴직자 또는 분진작업 1년 미만 근무자
✔ 구체적 대상
진폐법 적용 사업장이 아닌 분진작업 경력자
분진작업이 주 업무가 아닌 직종 근로자
1985.3.31 이전 퇴직 후 장해보상을 받지 않은 자
진폐법 적용 업종 종사자 중 분진작업 1년 미만 근무자
📌 진폐법 적용 대상
✔ 요약
8대 광업에 종사하며 분진작업 수행 근로자
분진작업 1년 이상 종사 근로자
✔ 구체적 대상
재직자: 진폐법 적용 사업장에서 근무하며 건강진단에서 진폐 소견을 받은 자
이직자: 1985.4.1 이후 이직한 자 중 분진작업 1년 이상 경력자
1985.3.31 이전 퇴직자: 진폐로 인해 산재법상 장해급여를 받은 자
✔ 진폐법 적용 8대 광업
석탄광업, 철광업, 텅스텐광업, 금/은광업, 연/아연광업, 규석채굴광업, 흑연광업, 활석광업
📌 진폐법 적용 8대 광업 외에 건설업, 조선업, 시멘트 제조업, 석면 관련업 등은 산재법 적용
2. 진폐증 산업재해보상 신청 절차
✅ 산재법으로 신청하는 경우
근로복지공단에최초요양급여 신청접수
진폐심사회의심사를 거쳐 산재 여부 결정
승인 시 요양급여 및 보상 지급
💡일반적인 업무상 질병 산재 신청 절차와 유사
✅ 진폐법으로 신청하는 경우
근로복지공단에이직자 건강진단 신청
근로복지공단 병원에서 건강진단 실시
진폐 정밀 진단(2박 3일 소요)
진폐심사회의 심사후 결과 통보
과정은 다소 다를 수 있으나 어느 것이든 진폐심사회의를 거쳐 최종 판단을 받게 됩니다.
3. 진폐증 보상 규모
진폐증으로 인정되면 장해등급(1급~13급)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진폐보상연금을 지급받습니다.
📌 진폐보상연금 산정 방식
✅진폐보상연금 = 진폐기초연금 + 장해등급별 진폐장해연금
✅2025년 진폐기초연금: 1,464,380원
✅장해등급별 진폐장해연금: 진폐장해연금일수 × (평균임금 또는 진폐고시임금 중 큰 금액)
📌 2025년 진폐고시임금: 143,407.15원
예상 진폐보상연금 예시:
1급: 약3,041,858원
13급: 약1,751,194원
1급 = 기초연금 + 장해등급별 진폐장해연금(월 11일분 * 진폐고시임금)3급= 기초연금 +(월 11일분 * 진폐고시임금)
5급= 기초연금 +(월 6일분 * 진폐고시임금)
7급= 기초연금 +(월 6일분 * 진폐고시임금)
9급= 기초연금 +(월 2일분 * 진폐고시임금)
11급= 기초연금 +(월 2일분 * 진폐고시임금)
13급 = 기초연금 + (월 2일분 * 진폐고시임금)
📌 진폐법 적용 시 추가 보상
✅진폐재해위로금(진폐보상연금과 중복 수급 가능)
📌 2025년 진폐재해위로금 예시
1급: 약149,143,436원(진폐고시임금 × 1,040일)
13급: 약30,832,537원(진폐고시임금 × 215일)
1급 : 진폐고시임금 * 1,040일3급 : 진폐고시임금 * 849일
5급 :진폐고시임금 * 677일
7급 :진폐고시임금 * 526일
9급 :진폐고시임금 * 387일
11급 :진폐고시임금 * 288일
13급 :진폐고시임금 * 215일
4. 결론
진폐증 산재 신청은산재법과 진폐법 중 선택해야 하며, 적용 대상에 따라 보상 차이가 있습니다.
✅산재법 보상: 요양급여, 간병급여, 장의비, 직업재활급여, 진폐보상연금, 진폐유족연금
✅진폐법 보상: 산재법 보상 포함 + 작업전환수당, 진폐재해위로금 지급
진폐증 산재 신청이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 올바르게 진행하여 정당한 보상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 고용·노동근로계약서는 언제까지 작성하면 되나요?안녕하세요 김지훈노무사입니다. 근로계약서를 언제까지 작성하면 되는지 알려드립니다. Q: 신규로 직원을 채용했는데, 근로계약서는 언제까지 작성하면 되나요? 며칠은 일을 잘 하는지 살펴본 뒤에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싶은데 문제가 될까요?A: 근로계약서는 일을 시작하는 동시에 작성해야 합니다. 일하기 시작하기 전에 근로계약서를 먼저 작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시작한 이후에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일을 잘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수습, 시용이라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니, 일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근로계약서는 꼭 일을 시작할 때 같이 작성해야 하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김지훈 노무사・201,575
- 고용·노동직장 내 괴롭힘, 성립 여부보다 중요한 것은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말, 직장 생활을 하시는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텐데요. 그만큼 이제는 우리에게 익숙한 개념이 되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라는게 있다는 사실 정도는 대부분의 근로자나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으니까요.직장인 3명 중 1명은 갑질 경험을 당한 적 있다고 합니다. 사실 이러한 방식의 설문조사 자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설문조사로 ‘직장 내 갑질/괴롭힘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방식으로 묻는 것은 주관적 경험에 근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이러한 설문조사는 실제 ‘근로기준법상의 직장 내 괴롭힘 성립요건’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직장 내 괴롭힘‘간의 인식 차이에서 오는 간극을 극복하기 어렵습니다.근로기준법상의 직장 내 괴롭힘 성립요건1. 우위성이 존재할 것2. 업무상 필요성이 없을 것3. 괴롭힘 행위로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입었을 것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사는 계속되어야 하고, 공론화되어야 합니다. 저 수치에 대한옥동진 노무사・101,323
- 고용·노동노동위원회 구제신청 이유서 작성법(부당해고, 부당전직, 부당인사발령 등)안녕하세요.노무법인 늘품의 옥동진 노무사입니다.오늘은 노동위원회 이유서 작성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열심히 다니던 회사에서 갑자기 징계 해고를 하거나, 그 외 다른 징계(경고 / 감봉 / 정직 등)처분을 했는데 이를 납득할 수 없다며 상담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회사에서 갑자기 이번달 까지만 나오라고 해서, 싫다고 했더니 징계를 했습니다.어떻게 해야하죠?이런 상황에서 근로자가 할 수 있는 법적인 대응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하나는 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등 구제신청'을 하는 것이고,다른 하나는 지방법원에 '해고 무효확인 소송(또는 근로자지위확인소송)'을 하는 것입니다.물론 둘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하지만, 해고 때문에 곧바로 법원에서 소송으로 다투는 것은 근로자 입장에서 쉽지 않습니다.소송은 기본적으로 시간도 오래 걸릴 뿐더러, 금전적인 비용 부담도 크기 때문입니다.이러한 노동 분쟁의 현실을 고려하여 법원보다신속하고 간편하게 권리구제를옥동진 노무사・60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