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의 세계를 더욱 더 완벽하게 해주는 삽화의 기능 - Gustave Doré, John Tenniel
Preface
금주의 잉크는 무엇을 써야하는가...라는 또다른 흥미진진한 사유의 게임이 시작이 된지는 이미 일주일이 넘어가버렸지만, 사유의 게임에도 결론을 내야하는 타이밍이 있는데 이를 놓쳐버렸습니다.
결국, 금주의 잉크라는... 문구에 함축된 weekly라는 주기의 정의를 저버리는 꼴이 되어버렸고.... 아뭏튼 각설하고, 다시 무엇을 써야하는가 고민하는 와중에, 왜 이 시대는 무엇을 써야하는가 고민하는 것이 어려운 시대가 되었는가라는 또 다른 Tail에 Tail (아니면 Tale에 Tale을 무는 것인가..)을 무는 사유게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대의 오후와 저녁이라는 것은, 각종 동영상사이트 스트리밍사이트 등의 미디어소비를 통해서 45억명에게서 1원씩만 광고료를 뽑자는 정책으로 전세계 최고의 부자가 된 모 기업, 혹은 그를 Copycat 하는 MultiNational 새로운 정보-권력주체들에게서 나의 생각할 권리를 박탈당하는 시간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이 미디어의 침탈로부터 자유로운 아침의 세계야말로 샤유게임의 Player에게는 가장 완변학 시간대가 아닌가라는 가결론에 도착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Alice in Wonderland 시리즈를 더욱 빛나게 하는 멋진 삽화를 선사한 John Tenniel
우선, 이 환상, 즉 비현실이라는 주제로 일관되게 관통하는 본 작품의 한면한면마다 이렇게 잘맞추어서 삽화를 표현했는지 감탄이 절로 나오는 삽화가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꼽으라고 한다면, (재버위키-You're Old, Father William, 바다사자와 목수..등 수많은 멋진 삽화가 많지만...)
역시 압권은 체셔고양이라고 하겠습니다.
이 체셔고양이의 삽화는 단지 캐릭터를 표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원작에서의 그 작품전체를 흐르는 환상의 컨셈을 왼벽히 표현했다는 것이 너무 신기하다고 하겠습니다.
특히, 웃음만 남기고 사라지는 그 장면은, 마치 익숙한 디지탈시대의 모니터화면에서 이미지가 사라지는 장면을 연상되게 하는데, 150년 정도는 훌쩍 지나서야 이런 장면을 알수 있을텐데.... 과연 저명한 수학자였던 Lewis Carrol과 John Tenniel은 시간여행자라도 되는 인물들이었을지요? (본, Writing in Writing에 대한 추가 사유게임은 다시 글미 The End of Writing에서 다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The Raven과 단테의 신곡- 작품의 웅장함과 신성함에 영혼을 불어넣은 삽화가 Gustave Doré
The Raven과 신곡에 들어간 그의 삽화는 마치, 신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 같은 웅장함과 깊이를 보여줍니다. The Raven의 미스테리컬하면서도 한 여름밤의 어떤 멋진 서사시와 같은 내용에 후~ 하고 글에 영혼을 붙어넣어주는 천사의 펜으로 그린듯한 미칠듯한 Quality의 삽화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신곡에서는, 한 차원 더 이 영혼의 숨결의 레벨을 올려서, 신곡의 그 웅장하고 심오한 내용을 읽고 있는 자애개 산의 길을 보여주는 듯한 인도자의 가르침....과 같은 삽화의 웅장하면서도 심오한 내용을 선사합니다....
추가 사유게임1) 본 글에 언급된 삽화를 글속에 삽입할지 안할지 고민과 고민을 거듭하였는데, 직접 작품을 읽어보며 삽화를 보아야 그 진정한 감동을 느낄수 있을 것 같아서, 샤유게임1의 결론은 이 글에는 삽입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마치 주식창의 매수를 누르려하는 내 손가락을 억누르듯이, Copy & Paste를 하려는 오른손을 억누르는 이 고통도, 이성이 인간의 탐욕이라는 본능을 이기는 그 영광의 순간과 같다고 하겠습니다.
추가 사유게임2) 체셔고양이를 그린, John Tenniel과 Lewis Carrol은 시간여행자인가? Lewis Carrol은 당대 세계최고의 지식과 학문의 전당인 Oxford에서 수학자로 근무했던 자이기도 한데, 당시 세계최고의 기술들이 모인 그 장소에서 과학과 수학에 관한 최고급 기술연구자료를 접하였을 것이며, 그는 과연 양자역학의 불확실성이 실제적 기술화 단계에 이르는 21세기에 다녀온뒤 작품을 서술하였을까요? 그리고, 이를 당대의 기술/생활상에서는 도저히 찾기어려운 Motive로 삽화화한 John Tenniel도 그의 시간여행 동반자였을까요?! 아니면, 단순히 이들은 디지탈우주의 Easter Egg를 문학작품 속에 남겨놓은 시공간 관리자....일런지요? (시공간관리자 - 디지탈우주의 시공간에서 디지탈우주일지 아닐지 고민하는 일반 캐릭터인 우리와는 레벨이 다른, 온라인게임의 제작사 인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학문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안녕하세요!과학으로 세상과 소통하는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중철 전문가입니다. 👩🔬 요즘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손가락질 받는 물질, 바로 플라스틱이죠. 🥤💧🧸 페트병, 일회용 컵, 장난감까지 우리 삶 어디에나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플라스틱은 인류가 상상만 하던 '꿈의 신소재'였다는 사실!1950년대, 플라스틱 개척자 ‘락희(樂喜)화학’의 탄생?!그리고 국내에서는 국내 최초,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도입과 플라스틱 가공 제품을 생산한 바로 그 기업!우리에게 익숙한 LG라는 대그룹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지요~.🫣과연 이 물질에는 어떤 과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기에, 인류의 혁신을 이끌었다가 환경의 적으로 전락한 걸까요? 원유 한 방울의 변신, 플라스틱의 탄생🛢️➡️♻️혹시 플라스틱이원유(crude oil)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아시나요?이중철 전문가・41750
- 학문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김지호 전문가・60899
- 학문산과 염기산(Acid)과 염기(Base)의 정의1)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Proton 기준)산(Acid):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내놓는 물질 ex) HCl → H⁺ + Cl⁻염기(Base):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받아들이는 물질 ex) NH₃ + H⁺ → NH₄⁺2) 루이스 정의 (전자쌍 기준)산(Acid): 전자쌍을 받는 물질 (전자 수용체) ex) BF₃염기(Base): 전자쌍을 주는 물질 (전자 공여체) ex)NH₃즉,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H⁺ 이동에 초점, 루이스 정의는 전자쌍 이동에 초점을 둔 것입니다.김지호 박사・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