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위급 상황에서 생존을 위한 과학 상식 (1편)
위급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서는 체내 수분 배출을 최소화하고 물을 모으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인간의 생존에 있어서 물은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기 때문인데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물 없이 3일에서 7일 이상을 생존하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단 체내 수분 배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는
땀의 배출을 최소화, 호흡 조절, 음식 섭취 줄이기가 있습니다.
활동량이 늘어나 땀의 배출이 늘어나면 체내 수분이 빠르게 배출되어 갈증이 심해지기에, 활동량을 낮춰 땀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호흡을 코로쉬어 구강 내 수분 손실을 줄이고 음식 섭취를 줄임으로써 갈증을 줄 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물을 모으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는데요.
대표적으로 알려진 빗물 모으기, 이슬 모으기 등 외로 다른 방법을 소개해드리자면
식물의 증산작용을 이용한 물 모으기 방법입니다.
큰 나뭇가지에 비닐봉지를 묶으면 식물의 증산작용으로 인해 봉지 내에 물이 모이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성현 전문가
전북대학교

0/ 500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
- 학문What we shoud do in order to expand more so-called K-culture industry?!!K-Culture, K-Pop, K-Ramyun...We are facing K-revolutions in every corners of our society in these days.However, we can see more rooms in these booming of K-waves, as well as some improvements which we should have implemented in more elaborate details.For a dimensional aspect of K-waves, we see some lacks in a depth, in a more embracing of traditional cultural assets by the possibility aspect.When mentioning a depth word, we want more originality of our own Korean style in any kind of K-medias an신필욱 전문가・30660
- 학문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안녕하세요!과학으로 세상과 소통하는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중철 전문가입니다. 👩🔬 요즘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손가락질 받는 물질, 바로 플라스틱이죠. 🥤💧🧸 페트병, 일회용 컵, 장난감까지 우리 삶 어디에나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플라스틱은 인류가 상상만 하던 '꿈의 신소재'였다는 사실!1950년대, 플라스틱 개척자 ‘락희(樂喜)화학’의 탄생?!그리고 국내에서는 국내 최초,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도입과 플라스틱 가공 제품을 생산한 바로 그 기업!우리에게 익숙한 LG라는 대그룹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지요~.🫣과연 이 물질에는 어떤 과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기에, 인류의 혁신을 이끌었다가 환경의 적으로 전락한 걸까요? 원유 한 방울의 변신, 플라스틱의 탄생🛢️➡️♻️혹시 플라스틱이원유(crude oil)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아시나요?이중철 전문가・51864
- 학문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김지호 전문가・60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