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악기기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1. 기억력·집중력 향상단기 기억력 & 작업 기억: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 과정에서 눈 → 두뇌 → 손·입의 협응이 이루어지며, 순간적인 기억 처리 능력이 크게 강화됩니다.장기 기억력: 곡을 암보하면서 반복적으로 기억을 저장·호출하는 훈련이 되어, 학습 능력에도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실제로 알츠하이머나 치매 예방 프로그램에 악기 연주가 포함되기도 합니다.2. 두뇌 발달 & 인지 능력 강화좌뇌 + 우뇌 동시 활성화:좌뇌 → 이론, 리듬, 계산(박자 맞추기, 음정 분석)우뇌 → 감정, 이미지, 창의성(음악적 해석, 즉흥연주)이로 인해 "신경망 연결(뉴런 시냅스)"이 촘촘해지고, 두뇌 전반의 처리 속도와 유연성이 좋아집니다.아동은 언어 능력, 수학적 사고력 발달에, 성인은 문제 해결력, 멀티태스킹 능력 강화에 효과적입니다.3. 감정 표현 & 정서 안정악기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을 소리로 풀어내는 통로가 됩니다.스트레스를 줄이고, 긴장된 심리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우울감 감소, 자존감 회복에도 긍정적입니다.뇌에서 도파민, 세로토닌 같은 ‘행복 호르몬’ 분비를 촉진해 기분을 좋게 만듭니다.4. 사회성·소통 능력 향상합주·앙상블을 통해 다른 사람의 소리를 듣고 맞추는 과정에서 공감 능력이 커집니다.아이들에게는 협력·질서 학습, 성인에게는 교류·팀워크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5. 신체·운동 능력 발달피아노, 바이올린, 드럼처럼 손·발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악기는 소근육 발달, 반사 신경, 손발 협응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관악기는 호흡법을 익히면서 폐활량 증가, 발성 안정에도 좋아서 노래나 말하기에도 도움이 됩니다.님께서도 악기 하나 정하셔서 행복하고 풍성한 삶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학문 /
음악
25.09.19
0
0
음원의 저작권은 몇년간 지속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작곡가·작사가 사망 후 70년(모짜르트.베토벤은 맘대로~~ 돌아가신지 오래라..)실연·음반 제작은 발표/발행 후 70년(1955년 이전것만 프리하겠네요..)그 이후에는 자유롭게 이용 가능
학문 /
음악
25.09.19
0
0
가수는 직접 만든 노래를 자주 부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가수가 작곡까지 해서 부르는 사람은 소수입니다.그러니 자기곡을 부르는 가수는 적다고 볼수 있지요. 주로 작곡가의 곡을 받아서 부르는 가수가 많습니다. 자기곡을 부르며 힛트를 치는 가수는 정말 대단한거랍니다.
학문 /
음악
25.09.19
0
0
2025 현재 대한민국에서 연주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멋진일이지요!~ 연주에 통달하고 개인의 철학까지 넣어서 표현할수 있다면 음악으로 세상을 보는것이니 이보다 더 아름다운 인생이 있을까요?그러다보면 경제적인것도 자연스럽게 해결이 됩니다.
학문 /
음악
25.07.12
0
0
왜 녹음어플로 제 목소리를 들으면 그렇게 어색하고 거북하게 느껴질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훈련되지 않은 사람이 자기 목소리를 녹음햇을때 그런 느낌을 받습니다ㅡ 그 이유는 녹음된 내 목소리는 나를 울려서 내 진동을 통해 귀로 울려져 느낀 목소린데 반해, 실제로 녹음되는 목소리는 공간과 바깥을 울리는 파장을 녹음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즉, 나는 맨날 내몸을 울리는 소리에 익숙해 있는데 실제 녹음된 소리는 내몸아닌 공간을 울리는 소리를 녹음했기 때문인거죠!~~그러나 잘 훈련된 가수나 성악가는 자기 목소리와 녹음된 소리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습니다.왜냐하면 평소에 공간을 울리는 공명이 익숙해 있기때문이죠!~~ 님께서도 공간을 울리는 소리에 집중해본다면 녹음된 본인의 소리가 조금 더 익숙해 질겁니다. ㅋㅋ
학문 /
음악
25.06.17
0
0
헨델과 바흐는 비교자체가 의미가 없이 둘 다 매우 훌륭한 음악가인데 서로의 음악이나 등등 여러 특징같은 거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둘 다 바로크 시대의 거장으로, 같은 해(1685년)에 태어났지만 서로 다른 길을 걸었습니다. 두 사람은 실제로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지만, 종종 비교되며 각각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습니다. 비교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존재’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점에서, 말씀하신 대로 “비교 자체가 의미 없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한줄로 요약한다면~~바흐는 "하나님을 향한 깊은 신앙과 수학적 구조미의 음악가"헨델은 "세계를 무대로 감동을 전달한 드라마틱한 예술가"
학문 /
음악
25.06.16
0
0
음역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발성과호흡 연습및 방법을 좀 배우셔야합니다.고음은 너무 무리하시면 목소리 건강에 안좋으니 좋은선생님을 만나시던지.... 유투브 고음 내는법, 또는 발성법등을 보시면서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학문 /
음악
25.06.05
0
0
초보가 오페라 감상하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오페라입문자는 누구나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오페라는 어렵지않고 감동적이며 매력있는 분야입니다. 입문자에게 처음 추천되는 오페라는 멜로디가 아름답고 줄거리가 비교적 쉬운 모짜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비제의 카르멘, 푸치니의 라보엠 등을 먼저 추천합니다.오페라 감상에 도움이 되는 팁은 줄거리나 등장인물을 먼저 숙지하고 유명한 아리아를 먼저 듣고가면 좋겠네여!~~ 성악가의 얀기나 표정, 음악표현등도 눈여겨보면 좋구요~~~~오페라 감상에티켓은....특별할건 없구요, 의상을 좀 단정히 입고, 아리아 끝날때 같이 박수 쳐주고, 핸드폰 무음 정도!~~~즐감하세요!~
학문 /
음악
25.06.04
0
0
오케스트라 연주 들으며 수경재배 식물 키워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정말 흥미롭고 아이디어가 반짝이는 질문입니다ㅡ ㅋㅋ이미 음악이 식물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은 익히 들어 알고 있습니다만 구체적으로 음악의 사용방법이 이렇다고 합니다.🎧 수경재배 환경에서 오케스트라 음악을 활용하는 팁1.볼륨 50~60dB (말소리 수준), 절대 70dB 이상은 피하세요2.재생 시간 하루 1~3시간 정도, 야간은 피하세요 (식물도 ‘휴식’이 필요해요)3.장르 추천 바흐, 비발디, 모차르트 – 주로 현악기 중심의 부드러운 클래식4.스피커 위치 너무 가까이 두지 마세요 – 수평 거리로 최소 50cm 이상 떨어뜨리기5.수경재배 조건 물 온도와 산소 농도가 일정할수록 음악 효과도 안정적으로 나타남꼭~~~~ 성공하세요!~
학문 /
음악
25.06.02
0
0
동요 "반짝반짝 작은별" 의 원작자는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반짝반짝 작은별..... 그렇네요 ~ 이곡의 원작자도 모르고 부르고 있었네요...ㅋ 덕분에 저도 알게되었습니다!~ ☆"반짝반짝 작은 별 (Twinkle, Twinkle, Little Star)"원작자 및 유래원곡 멜로디: 프랑스 민요 "Ah! vous dirai-je, maman" (1761년경 발표)작곡가: 모차르트가 이 멜로디로 변주곡(K. 265)을 작곡하며 더욱 유명해짐영어 가사 작사자: 제인 테일러 (Jane Taylor), 1806년 영국원곡 가사 내용아이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당신은 누구신가요?” 하고 묻는 내용원문: Twinkle, twinkle, little star,How I wonder what you are!한국 전파 배경일제강점기 이후 서양 유아용 동요가 번역되며 학교와 유치원에서 보급‘반짝반짝 작은 별’은 번안가사를 통해 국민적인 동요가 되었고, 교육방송(EBS)과 동요집에서 널리 사용됨그외에 ~~~ "곰 세 마리"이 곡은 한국 창작동요로 보이지만, 유사한 멜로디가 외국에 있습니다.멜로디 유사곡: 미국 민요 "Three Bears", 혹은 러시아 동요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음하지만 현재의 ‘곰 세 마리’는 한국 창작곡으로, 1980~1990년대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널리 퍼짐또 다른 유명유명으로– "Auld Lang Syne" (올드 랭 사인 / 석별의 정)원시 가사: 스코틀랜드 시인 로버트 번즈 (Robert Burns), 1788년멜로디: 스코틀랜드 민요 기반가사 내용오래된 친구와의 추억, 이별과 회상에 대한 정서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And never brought to mind?한국 전파 배경일제강점기 및 해방 후 서양곡이 학교 음악 교재에 실림‘석별의 정’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졸업식, 송별회에서 널리 부름~~~졸업식때마다 불렀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학문 /
음악
25.06.02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