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음악관련공부하다보니 모차르트랑 베토벤은 실제로 만났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84년 베토벤 14살 때모짜르트 명성이 자자해서한번 만났다고 함.거기서 작곡 연주 피아노 실력보고모짜르트가베토벤 칭찬해줬다고 함.그 이후로 두 사람 생애동안단 한번도 만난적 없음.
학문 /
음악
23.09.18
0
0
임오군란 이후 흥선대원군이 복귀한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태가 심각하여지자 고종이 이를 해결할 인물은 흥선대원군밖에ㅜ없다고 생각하여 부탁을했고, 당시 구식군인의 지지를 받던 흥선은 그들의 밀린 급료며 권리를 회복시켰으며 임오군란을 정리했다.
학문 /
역사
23.09.16
0
0
김질이 사육신을 밀고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명회가 운검(수양대군 살해)행사를 취소하여 운검 계획은 수정되었는데 김질 이놈은 지 살자고 밀고(같이 상왕 복위운동을 진행하다 계획이 연기되므로 위험을 느껴서)를 하여 6명의 충신(사육신)이 거열형(사지를 찢어죽임)당했고 그 시체의 일부를 각 고을 수령에게 보냅니다(까불면 이꼴나니 꼼짝마라는 경고)
학문 /
역사
23.09.16
0
0
히틀러가 유태인을 혐오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 유럽및 독일의 경제력을 쥐고 있던 민족이 대부분 유대인이었고 히틀러가 어렸을적 어머니가 유대인 과일가게 장사한테 유린당하는것을 목격하고 적개심을 권력을 잡은후 표출한것이지요. 또한 아리아인의 우수성을 강조하기위해 타 민족을 박해했는게 그 타겟이 유대인이 된것이기도 하구요
학문 /
철학
23.09.15
0
0
중세 유럽 시민들이 정치적인 참여를 하는 방식은 어땠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가 알기로는 유럽은 광장문화가 발달했는데, 유럽의 도시 어디에나, 시청이나 관공서 등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원형의 광장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곳에 사람들이 모여서 집회를 하고 요구조건을 표철했던걸로 압니다
학문 /
역사
23.09.14
0
0
중고등학교 때 여행을 왜 수학여행이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닦을수. 배울학여행도 배움의 연결이라고 생각하고 수학여행이라고 했지요!~~ ㅋㅋ 생각납니다ㅡ 신라의 달밤. 경주 ^^
학문 /
역사
23.09.14
0
0
성리학에서 말하는 이와 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리학은 자연과 사회의 발생·운동을 이와 기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에 의해 우주 만물이 생성되며 기는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가 된다. 기에 의해 구성되는 우주 만물은 차별성·등급성을 가지며, 결국 자연·인간·사회가 모두 위계질서를 갖는 것이다. 이의 개념은 인간과 사물의 원리적 보편성을 설명하는 범주이다.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이의 내용은 삼강오상을 비롯한 유교적 윤리도덕이었으며, 관료제적 통치질서, 신분계급적 사회질서, 가부장제적·종법제적 가족질서를 포함하는 명분론적 질서였다. 성리학은 명분론적 질서를 합리화하는 사상체계였으며, 명분론적 질서에 맞는 생활을 하는 것이 모든 인간의 도덕적 의무라고 했다
학문 /
역사
23.09.12
0
0
옛말에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의 속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이가 들수록 자기주장을 버리고 받아들이며 유연해진다는 뜻이지요!파란벼일때는 고개를 빳빳이 들고 마치 자기가 최고인양 의기양양하지요~~~(알곡이 차지도 않았는데도 말이죠) 그러나 익은벼는 겸손함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알곡이 차고 실속이 있는데도 말이죠~~
학문 /
역사
23.09.12
0
0
지방마다 추석차례상 음식이 조금씩 다른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상에는 홍동육서라는 방법적인 제시가 있는데 그 차려지는 음식은 지방마다 다릅니다. 그 이유는 지방의 특산물이나 나는 재료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9.12
0
0
파독 광부하고 간호사는 언제부터 보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올해는 ‘파독(派獨) 광부’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1963년 12월 22일 서독 뒤셀도르프 공항에서 한국인 파독 광부 1진 123명이 처음 독일 땅을 밟았습니다. "파독" 은 독일로 파견한다는 뜻입니다
학문 /
역사
23.09.11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