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한국의 기준금리도 미국을 따라 올라갈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과의 금리차가 2%나 나는 상황이지만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수준이 너무 높아 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만약, 미국의 경기가 계속 좋아서 1, 2차례 더 금리를 인상한다면 우리나라도 금리를 따라 올릴것이라 생각됩니다.
경제 /
대출
23.10.10
0
0
이스라엘-하마스 전면전으로 인하여 향후 유가의 흐름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기적으로는 이미 하마스의 기습공격으로 유가가 4%이상 상승했습니다. 향후에는 전쟁의 기간, 확전 가능성 등에 따라 유가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0.10
0
0
퇴직연금계좌(dc형)에서 디폴트 옵션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퇴직연금계좌에서 디폴트옵션이란 가입자가 일정 기간 동안 적립금 운용 지시를 하지 않을 경우, 사전에 지정된 운용방법으로 자금이 자동 운영되는 제도를 말합니다. 보통 디폴트 옵션 유형을 가입자가 지정할 수 있으며 적립율 증가형, 수익률 추구형, 안정형 등이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0.05
0
0
퍼플잡은 무엇을 뜻하는 경제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퍼플잡은 일과 가정의 조화를 위해 근무시간이나 근무형태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일자리를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시차출퇴근제, 재택근무제, 시간제 근무제 등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0.05
0
0
채권은 무엇이 국채라는 것이 있던데 이건 국가 채권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채권의 종류는 발행주체에 따라 국채, 지방채, 회사채 등이 있습니다. 국채는 국가에서 발행한 채권을 말하며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방법으로는 국내증시 또는 미국증시에 상장된 미국채권 ETF를 사거나 아니면 국내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미국채권을 매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0.04
0
0
본주와 우선주의 괴리는 무엇 때문에 발생하나요? 가격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는 본주가 우선주보다 비쌉니다. 본주는 우선주보다 우선하여 배당을 받을수 있고 회사가 청산될 시 우선적으로 자산을 배분받으며 의결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매우 드물게 우선주의 배당이 본주보다 훨씬 높거나 우선주에 상환권이 있거나 테마 장세로 수급이 우선주에 쏠리는 경우 우선주가 본주보다 더 비싸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0.04
0
0
신용점수를 평가는 어디서 하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의 대표적인 개인신용평가회사는 NICE평가정보와 KCB입니다. 개인신용평가회사는 금융회사, 신용카드사, 통신사 등에서 제공받은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의 신용을 평가합니다.
경제 /
대출
23.10.04
0
0
일본은 왜 그렇게 저금리를 유지하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본은 장기간 저성장 국가로 금리를 낮게하여 민간소비와 기업투자를 촉진하려는 이유가 있습니다. 또한 국가부채도 높은 편이라 쉽사리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0.04
0
0
금리가 오르면 주가가 하락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상승하면 대출에 따른 비용이 올라가기 때문에 가계와 기업의 대출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투자를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금리가 올라가면 위험자산인 증시에 비해 안전자산인 예적금이나 국채금리가 올라가 사람들이 주식보다는 안전자산에 투자를 하게되어 증시의 상대적 매력도가 감소해 증시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0.04
0
0
경제가 안 좋으면 집값도 내려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모든 자산가격은 경제상황이 좋지 않으면 내려갑니다. 그동안 부동산은 우리나라 경제가 계속 성장하고 그에 따른 국민소득 증가와 통화량 증가에 따라 계속해서 상승해 왔는데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이 더뎌 부동산 시장 또한 과거 같은 폭등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0.04
0
0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