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개인이 코스닥 공매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증권사 어플 접속하셔서 대주주문 메뉴로 들어가시고 대주매도를 하시면 됩니다. 꼭 대주주문을 하셔야겠다고 하면 증권사별로 수수료를 받고 있으니 단기적으로 접근하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26
0
0
금리인하 요구권 신청하면 신용등급에 문제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하요구권은 대출 받은 사람의 신용상태나 상환능력이 나아졌을 시 금융기관에 요구할 수 있는 권리로 개인 신용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경제 /
대출
23.04.26
0
0
기업이 자사주 소각을 하면왜 주가가 올라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요 공급의 원리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업의 주식을 사려고 하는 수요량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기업의 주식수는 공급량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업이 가지고 있는 주식을 소각해 버리게 되면 공급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니 일반적으로 주가는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25
0
0
거치식과 적립식 중 장기적으로 유리한게 뭘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둘 다 장기투자 한다고 가정 했을때 어느 한 방법이 우월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금융위기나 코로나 위기처럼 증시가 폭락했을때 목돈을 넣어 놓고 거치식으로 장기 운영한다고 하면 가장 좋겠지만 보통 그런 기회를 잡는게 쉽지는 않으니 매달 일정금액을 꾸준히 사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거치식이든 적립식이든 워렌버핏 마인드처럼 우량주에 장기투자하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25
0
0
한전이 민영화 되면 경제적으로 이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전력이 현재는 대규모 적자로 국민세금으로 어찌어찌 운영해 나가고 있지만 만약 민영화를 한다면 비용감축, 성과금 축소 등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될 것이고 요금도 현실에 맞게 인상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이 축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04.25
0
0
물가 안정 후에 금리 인하를 하면 다시 물가가 상승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과거 미국에서 물가가 어느정도 안정된 후 금리인하를 했더니 다시 물가가 상승하고 스태그플레이션까지 온 사례가 있었죠. 하지만 연준 위원들도 계속 고금리를 유지하면 심각한 경기침체가 올 수 있으니 계속 경제상황을 주시하면서 적정 금리수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4.25
0
0
인도가 나중에는 경제 1위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도 미국보다 인구가 4배 이상 많고 과거부터 미국 경제를 추월한다는 이야기가 많았지만 추월하지 못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도 향후 15년 안에 중국이 미국을 추월하기는 힘들거라 전망하고요. 현재 미국과 인도의 GDP 차이가 7배가 넘는데 인도가 미국의 경제규모를 따라잡기는 힘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4.25
0
0
레버리지상품중에 x1인 상품이 있던데 이건 왜있는거죠?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X1 은 레버리지 상품은 아니고요. 보통 지수나 원자재의 가격을 추종하는 ETF나 ETN 들입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증시에 상장돼 있는 QQQ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런 상품들이 있는 이유는 개인들이 보통 개별주식에 투자해서 실패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입니다. QQQ의 경우에도 나스닥 상위기업 100개에 분산투자하는 ETF 상품인데 과거 차트를 보면 꾸준히 우상향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25
0
0
사회초년생 돈관리를 어떻게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단 초년생의 경우 절약해서 시드머니를 많이 모으시고 적금 외에도 국내주식과 미국주식 우량주를 모아가는 식으로 주식에도 장기투자 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경제 /
대출
23.04.25
0
0
MOU 체결은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실효성이 있는 계약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치인들의 경우 국민들에게 보여지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일단 MOU체결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고 적지만 실제 계약 사례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04.25
0
0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