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최저 시급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되면 경제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저시급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경제가 성장함에 따른 맞는 방향인데 너무 가파르게 상승한다면 문제가 됩니다.경제성장에 비해 너무 가파른 최저임금 상승은 기업의 비용부담을 가져와 고용이 줄고 투자가 줄어 생산활동이 타격을 입는 등 경제활동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2.15
0
0
경제학자들중에는 부자가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일반인과 경제학자 중 부자 비율을 계산해보면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분석이 있죠. 지식과 부자가 되는 감각은 별개인것 같습니다.경제학자는 아니지만 천재로 불렸던 뉴튼도 주식에는 실패했고 전도유망한 경제학자들 중에도 주식으로 파산하거나 도박에 빠져 파산한 사례도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09.08
0
0
반도체 슈퍼사이클 현재도 적용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로나19가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세계인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졌고 원격수업, 재택근무 등으로 PC, 태블릿 등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반도체가 호황을 맞이했었죠. 하지만 다시 리오프닝 시대가 도래하면서 작년에 피크를 친 반도체 시황이 점점 안좋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시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도래하려면 코로나로 인한 전자기기의 수요 폭발처럼 VR, AR 기기의 보급 확대, 메타버스의 시대 도래 등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9.02
0
0
인도가 중국처럼 성장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도는 이미 세계 GDP 6위로 세계경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요. 인구도 조만간 중국을 따라잡는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미국의 중국 견제로 인한 반사이익 아직 경제에서 발전 가능한 분야가 많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향후 계속해서 고속성장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9.02
0
0
금리 인상과 주식 간의 관계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의 성격에 따라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데요.적정한 수준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완만한 수준의 금리인상은 주식시장에 호재로 받아들여지지만최근 금리인상은 러우전쟁,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급격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금리인상으로 주식시장에 악재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9.02
0
0
금리가 오르면 왜 주식시장이 하락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오르면 대출비용이 오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빚을 내서 부동산을 사거나 주식을 사지 않습니다. 또 예적금 금리가 오르기 때문에 주식보다는 예적금에 가입하려는 수요가 오르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내려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9.02
0
0
전세계부동산시장도 하락중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미국 등 선진국 부동산 시장도 작년 코로나 발 대규모 돈풀기, 저금리 환경 속에서 급등하다가 최근에 단행되고 있는 금리인상으로 부동산 시장 하향추세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8
0
0
인플레이션이 오면 주가가 다 올라야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도 좋은 인플레이션이 있고 나쁜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경제성장에 따라 소득이 늘고 수요가 늘어 생기는 인플레이션은 좋은 인플레이션인 반면에최근 인플레이션은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교란 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주식시장이 그다지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8
0
0
금리가 상승하면 일반 서민들에게는 좋은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가계 자산을 보면 부동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데 대부분 대출 받아서 아파트를 삽니다. 그러다보니 다른 나라에 비해 가계대출도 높고요. 그런데 금리가 계속 올라가면 이자상환 부담이 높아지니 소비를 줄이게 되고 거기에 집값까지 떨어지게 되면 하우스푸어들이 생겨나면서 경기침체로 갈수도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16
0
0
앞으로 한국의 미래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 경제는 성장률이 높던 개발도상국 시기는 이미 지났고 인구감소 영향도 있어 과거 70~90년대 처럼 고도성장은 힘들것 같습니다.반면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같은 나라는 인구도 많고 생산가능 인구도 앞으로 늘어날 예정이라 경제 전문가들이 경제전망을 좋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16
0
0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