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좀비도 인간처럼 굶으면 죽는다고 봐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과학적으로 좀비도 장기간 굶으면 죽는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영양분을 섭취하고 체내에서 대사가 이뤄져야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20
0
0
미세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생물 농축은 어떤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미세플라스틱은 먹이사슬에 따라 플랑크톤 -> 물고기,조개류, 바닷새, 포유류 등 상위 포식자로 갈수록 농축됩니다.특히 바다에서 서식하는 굴, 홍합 등과 같은 여과섭식성 연체동물 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높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20
0
0
사람은 왜 몸에 땀은 왜 냄새가 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땀 수분 자체는 거의 무취이지만, 피부 표면의 세균이 분비한 휘발성 노폐물(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악취 물질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20
0
0
노화를 과학적으로 풀어내면 어떤 메커니즘으로 볼 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텔로미어는 세포 노화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 염색체의 끝 부분에 의치하며 세포 분열 횟수를 제한하고 세포 노화를 유발하게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20
0
0
날씨가 더워지니 날파리가 기승을 부리는데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날파리와 같은 벌레들은 피톤치트와 같은 천연 살충제 향을 싫어합니다. 편백수 스프레이를 이용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20
0
0
Ph농도별 아밀레이스 활성화 실험에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아밀레이스와 같은 효소의 활성에 있어서는 최적 pH와 온도 조건이 존재하나 다른 조건하에서도 활성이 나타나긴합니다.이 조건의 차이에 대한 활성의 차이는 첨가된 효소의 양과 기질의 양에 따라서도 달라질 순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20
0
0
달팽이인가요..? 벌레인가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사진상으로 보이기에는 민달팽이로 보여집니다. 제 경험상으로 혹시 최근에 미나리를 드신적 있으신가요?종종 미나리에 붙어서 집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20
5.0
1명 평가
0
0
도마뱀이 꼬리를 자르고 도망가고 재생되는건 무제한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영양 공급만 원활히 이뤄진다면 꼬리는 무수히 많이 다시 재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양 공급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꼬리가 다시 재생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11
0
0
기름쟁이와 미꾸라지는 무슨 차이로 나누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둘 다 미끈미끈한 몸을 가진 민물고기이지만 기름쟁이는 잉어과에 속하고 미꾸라지는 미꾸리과에 속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11
0
0
피부로 어떻게 비타민D를 합성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전문가입니다.사람의 피부에 존재하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라는 물질이 자외선 B(UVB)를 받으면 프리비타민 D3로 변하게 됩니다. 이는 체온에 의해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전환되는데, 비타민 D3는 간과 신장을 거쳐 활성형 비타민 D로 변하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5.11
5.0
1명 평가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