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이런 경우 원룸 계약이 묵시적 갱신에 해당되나요?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묵시적 갱신 상태에서는 임차인만 계약해지를 요구 할 수 있습니다.다만, 이런 경우라도 말씀하신대로 3개월뒤에 효과가 발생하니 그 사이에 부동산을 통해서 다른 세입자를 구하지 않는 이상 임대인은 3개월뒤에 보증금을 내어줄 의무가 있습니다.불가피하게 먼저 나가셔야 하는 경우 3개월 월세를 내고 먼저 나오는 경우도 있긴 있습니다.원만히 해결 되시길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9
0
0
전세 재계약시 법적으로 몇퍼센트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차인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면 5%까지로 제한되고 계약갱신청구권 사용하는게 아닌 재계약은 서로 협의 가능한 부분까지 증액 가능합니다.혹시 주택임대시업자라면 무조건 5% 제한입니다.부동산 중개보수는 보통 재계약은 처음 계약했던 부동산에서 그냥 써주거나 약간의 비용정도만 받을겁니다.근데 이부분은 그 부동산 사장님 마음이라 정해진건 없습니다.중개보수는 기본적으로 임대인 임차인 모두 지불합니다.임차인이 새롭게 전세대출을 받거나 하는게 아니면 부동산 끼지 않고 두분이서 같은 서류 작성해서 만나서 도장찍으셔서 괜찮습니다.그럼 재계약 잘 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임대차3법 4년종료후 재계약시 중개수수료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중개보수는 협의 가능한 부분으로 매수를 하신거면 매수한 부동산에 잘 말씀드려서 적정선에서 협의해보시기 바랍니다.보통 전세 연장건은 계약했던 부동산에서는 그냥 해주는 부동산도 많고 약간의 보수만 받는곳도 있습니다.다만, 내용을 보니 기존에 전세대출을 안받다가 받게 되는것인 것 같은데 전세대출의 경우는 은행에서 중개사 직인이 들어간 계약서를 요구합니다.중개사에게 직인은 중개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의미가 강해 보통 직인이 들어가는 계약서 작성시는 보수를 다 받고자 하는 부동산도 많이 있습니다.다만 그 또한 협의는 가능한 부분이니 부동산 사장님과 잘 말씀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원만히 일이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임대인인데 임대계약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연장 계약시 서로 합의를 했다면 2년 연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2년 연장시 임차인은 만기를 채워야 합니다.임대인은 만기전까지 임차인이 다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이상 보증금을 내어 줄 의무는 없습니다.다만, 연장이 묵시적갱신으로 되었거나 임차인이 갱신청구권을 사용한 경우에는 임차인은 계약 기간중이라도 계약을 종료하고 나갈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럴경우에도 임차인이 나가겠다고 얘기한 날로부터 3개월뒤가 계약의 종료일이 됩니다.일단 계약이 정상적으로 연장된 부분인지 아니면 묵시적갱신이나 갱신청구를 사용한것인지 확인해보시고 그에 맞게 대응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일이 원만히 해결되길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지역주택조합의 장점과 단점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하지 말라는거는 안하시는게 좋습니다.일단 지역주택조합은 저 땅이 좋아 보이는데 저기다 아파트를 짓자~해서 사람(조합원)을 모으고 조합원에게 돈을 받아서 땅(집)을 95% 이상을 사면 그곳에 아파트를 지을 수 있습니다.대게는 95%의 땅을 매입을 못해서 사업이 망합니다.그 사이에 조합원들은 계속 돈을 갖다 바치고 그 돈은 홍보비, 사업비등의 명목으로 나중에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가장 큰 이유가 땅 매입이 안되서입니다.지주택 성공한곳들은 대게 토지주 수가 적은 곳이 대부분입니다.토지주가 100명만 넘어가도 95명 이상의 집을 산다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그 지역 그 사업에 대해 진짜 잘 아시는게 아니라면 그냥 다른 사람들이 하지 말라고 할때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비과세 혜택을 받을때와 안받을때의 차이를 확인해보세요.현재 거주하고 계신곳을 오래전에 구입하셨다면 아무래도 최근 몇년간 많이 올랐으니 한번 팔고혜택을 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지금 사는 동네가 좋으시면 한번 파셔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보시고 바로 지금 사는 아파트의 다른 매물을 바로 다시 구매 하셔서 취득원가를 올려두는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일단 비과세 액수를 한번 산정해보세요^^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전세 재 계약시 복비는 누구부담 입니까?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보통 재계약시 보증금 증액으로 인해 계약서를 다시 작성하는경우부동산에 따라서 일정 비용을 받는데도 있고 그냥 서비스로 해주는 곳도 있습니다.처음 계약했던 부동산에 문의해보세요.보통은 그냥 써주는데 사실 정해진건 없고 부동산 사장님 마음입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부동산 거래시 누굴 믿고 거래 하나요?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대출을 알아보는건 매수의 사정이지 안나온다고 계약 못한다하면 계약금 포기하면 됩니다.그 부동산이 좀 웃기게 일처리를 하는것 같네요.다른 내막이 있을지 모르겟지만 올려주신 글만 봤을땐 계약금 몰수 후 계약 해지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중개수수료 계산방법을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중개보수는 (보증금+(월세×100))×중개요율로 계산 됩니다.중개요율은 매물 가격에 따라 다르고 지역 마다도 조금씩의 차이는 있습니다.예로드신 1억에 100월세의 경우 1억 + 100만×100 = 2억이므로 서울 기준 2억의 0.3%의 수수료인 60만원을 내시면 됩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8
0
0
실거주 목적으로 갱싱권을 거부 당했을경우 무슨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나가시기전에 할 조치는 없습니다.퇴거 하신 후 실제로 집 주인이나 가족등이 거주 하는지 확인 하시어 다시 세를 주거나 했다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다만 실제로 누가 거주 하는지 알아내는게 쉽지 않기는 합니다.
경제 /
부동산
22.07.17
0
0
1513
1514
1515
1516
1517
1518
1519
1520
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