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속적으로 사이비 종교가 생겨나는 이유는 몬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인간이 유한한 존재이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공포와 사후세계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됩니다. 인간의 나약한 마음을 이용하여 스스로가 재림예수라고 칭하며 종교의 형태는 갖추고 있으나 진정한 종교가 이닌 사이비집단이 파생된 것입니다. 신천지 통일교 구원파 JMS 만민중앙교회 등 수많은 사이비종교 집단이 인간을 나락에 빠뜨리고 사회를 현혹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종교가 종교 본연의 역할을 해야하며 정부와 시민사회가 공동의 노력으로 사이비종교가 발붙일 수 없도록 사회를 정화시켜 나가야 합니다.
학문 /
철학
25.11.12
0
0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가 근대 합리주의의 출발점인 이유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중세의 신 중심 사회에서 근대로 넘어오면서 그때까지 굳게 믿고 있었던 것들이 무너지면서 사람들은 앎에 회의를 갖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는 교탁형태로 생겼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면 하데스(지옥)에 빠지게 된다거나 천동설을 믿고 있었는데 지리상의 발견시대가 전개되면서 이런 가설들이 무너지게 되었고 갈릴레이 갈릴레오나 캐플러 코페르니쿠스 등이 지동설을 주장하면서 천동설이 무너지는 것들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참된 앎에 대해 의심하기 시작하였고 어떻게 하면 참된 앎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우리가 의심한다는 것은 생각이 있다는 것이고 생각한다는 것은 존재한다는 것이라고 방법적 회의론을 주장한 데카르트가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것을 사유의 제1원리로 삼으면서 연역적 사고에 바탕을 둔 합리론을 주장한 것이 근대적 사고의 출발점이 된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5.11.12
0
0
동양의 철학은 공동체 주의, 서양의 철학은 개인의 선택에 따른 행복으로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동양철학은 전체론적 통합적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반면 서양은 개체론적인 개별적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동양은 벼농사를 짓고 살았기 때문에 집단적인 공동체주의적 삶을 살았던 것에서 통합적 사고에 영향을 받게 되었고 서양은 유목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개별적인 개인주의에 영향을 준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5.11.12
0
0
요즘들어서 인간관계를 정리하고 싶은데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인간은 혼자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입니다. 특히 나이들수록 친구의 소중함은 크게 다가올 것입니다. 어떤 심경의 변화로 그런 결정을 내리셨는지는 모르겠으나 친구를 포함해서 모든 인간관계를 끊는다는 생각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나이들수록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존재는 친구들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학문 /
철학
25.11.07
0
0
감각적경험과 이성적사고 중에 뭐가 더 중요하다고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이성과 경험은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중세 신 중심사회에서 모든 것들이 신을 중심으로 전개되다가 14-16세기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복고주의 운동이 전개되면서 앎의 회의를 느끼게 되면서 오직 이성을 통해 참된 앎에 이를 수 있다는 대륙의 합리론과 오직 경험을 통해서만 참된 앎에 이를 수 있다는 영국의 경험론이 있습니다. 이성과 경험은 인간이 참된 앎에 도달할 수 있는 양대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5.11.07
0
0
인간의 본질을 지키기위한 인문학 공부 방법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인문학은 관계의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동양의 인문학적 소양이라고 하면 인간관계를 지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국에서도 오륜 즉 다섯가지 인간관계 군신 부자 부부 장유 붕우유신 등을 중요하게 보았듯이 인간관계를 모든 과정의 출발점으로 봅니다.
학문 /
철학
25.11.03
0
0
인간을 인간으로써 있게 해주는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저도 동감합니다. 인간은 동물과 구별되는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이성이 있다는 것이고 그외에도 유희 도구 사회 문화 정신ㆍ윤리 종교적 존재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성만 가지고 살아간다면 그것은 신의 존재나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러기에 인간은 이성 뿐만아니라 감정도 지니고 있는 존재이기에 인간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봅니다. 또한 종교에서 이야기 하듯 신은 인간에게 선한 본성을 주었지만 인간의 선택에 의해 악에 빠질수도 있다고 경고하듯이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니고 있다고 봅니다. 대체적으로 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학문 /
철학
25.11.03
5.0
1명 평가
0
0
좌파 우파 나누는 기준이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과거 프랑스에서 루이14세 시기에 왕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자코벵파(급진개혁세력)이 앉아있었고 우측에는 지롱드파(보수온건세력)가 앉아있던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좌파우파 또는 좌익우익이라고 불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방을 전후해서 극좌세력인 박헌영 주도좌파 여운형 중도파 김규식 중도우파 김구 극우세력인 이승만 등 5명의 지도자가 있었으나 중도좌파 중도파 중도우파 등 민족주의자들인 여운형 김규식 김구 등은 암살당했으며 극좌인 박헌영은 6.25남침 실패를 구실로 김일성에 의해 숙청되어 결국 극좌와 극우세력만 남게 되었습니다. 이는 남북분단의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로인해 남한에서도 극심한 이념적 갈등으로 극좌세력과 극우세력으로 나뉘어 신탁통치를 두고 찬반으로 나뉘어 격렬하게 투쟁이 전개된 결과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5.10.27
0
0
공동체주의적 정의관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정의관의 종류에는 개인의 사적이익을 바탕으로 개인선을 강조하는 자유주의적 정의관과 공동의 가치를 바탕으로 공동선을 강조하는 공동체주의적 정의관이 있습니다. 자유주의적 정의관을 주장한 사상가로는 자유지상주의를 주장한 노직과 평등주의적 자유주의를 주장한 롤스를 들 수 있으며 공동체주의적 정의관을 주장한 사상가로는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서사적자아를 주장한 메킨타이어와 사람들간의 연대를 바탕으로 연고적 자아를 주장한 샌델을 들 수 있습니다. 공동체주의는 개인선보다 공동선 즉 공동의 가치와 규범을 더욱 더 강조하기 때문에 개인의 사적소유와 자유가 일정부분 제약될 수 있으나 공동체의 발전이 개인의 이익으로 직결된다고 보는 측면도 있기때문에 긍정적인 면도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5.10.27
0
0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스승인 플라톤과플라톤의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주지주의(지덕복합일설)를 주장한 반면 주지주의+주의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알면 덕있는 행동을 하고 복을 받는다고 주장했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는 것만으로는 안되고 도덕적 실천의지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또 플라톤은 이원론적 세계관(이데아의 세계와 현상의 세계 공존)을 주장한 반면 일원론적 세계관(이데아의 세계를 부정하고 감각경험에 의한 현상의 세계만 인정)을 주장하였습니다. 이성-중용의 덕-행복(최고선이자 자아실현)으로 이어진다고 보았습니다.
학문 /
철학
25.10.25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