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약·영양제
의료상담
아침에 저혈당 증상을 겪은 이후로 손발 저림 증상이 너무 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손발 저림과 몸 힘 빠짐은 저혈당에 의한 신경 자극 또는 신경 손상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손발 저림과 근력 저하가 계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신경 손상 가능성도 있으니, 증상이 내일까지 크게 호전되지 않으면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0
0
저는 소화가 잘되거나 식욕이 좋아지면 살이 찌더라구요. 침치료로 식욕 억제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침치료도 어느정도 식욕억제가 가능하지만 비만치료의 주는 한약치료입니다 식욕억제와 더불어 기초대사를 높이고 노폐물 배설을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의료상담 /
한의학
25.07.02
0
0
의료기사 면허 결격사유에 정신질환자가 있는데 정확히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정신과 진료기록은 본인 동의 없이 타 기관이나 타인에게 제공되지 않습니다.국가기관(국정원 등)도 법적 근거와 본인 동의 없이 임의로 열람할 수 없습니다.면허 신청 과정에서 정신질환 결격사유가 의심되는 특별한 사정(예: 법원 판결, 행정처분, 반복적 입원 등)이 없으면, 정신과 기록을 제출하라는 요구는 일반적으로 없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0
0
결혼 후 건강검진 어떤항목을 받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기본 건강검진 항목은 꼭 받으시고,허리·목 통증이 반복된다면 척추 X-ray를 우선 시행하고, 필요시 MRI 등 정밀검사 여부를 전문의와 상의하세요.여성 특화 검사(갑상선, 자궁경부암 등)도 함께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0
0
이번에 간 수치가 높게 나왔던데 피로와도 연관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네.간 수치(ALT, AST 등)가 높다는 것은 간에 염증이나 손상, 혹은 간 기능 저하가 있다는 신호입니다.간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피로, 무기력, 집중력 저하, 수면장애 등 다양한 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0
0
물마시고 흉통이 생기는데 문제가 생긴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갑자기 물을 마신 후 가슴이 찢어질 듯 아팠다가 1분 정도 지나서 괜찮아졌고, 이후 다시 물을 마실 때는 정상적으로 마실 수 있었다면, 대부분의 경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증상이 1회성이고 이후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일시적인 식도 경련이나 급하게 마신 것에 의한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0
0
45개월 남아가 요새 부쩍 소변을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특별한 동반 증상이 없고, 주로 낮에만 증상이 있다면 일시적인 심리적 원인이나 습관성 빈뇨일 가능성이 높으며,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됩니다. 하지만 1~2달 이상 지속되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0
0
백혈병은 어떤 원인으로 걸리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백혈병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와 임상 경험을 통해 몇가지 요인들이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유전적 소인: 다운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파타우 증후군 등 일부 유전 질환이 백혈병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방사선 노출: 의료적 X선 치료, 원자폭탄 피폭 등 전리방사선에 노출된 경우 위험이 증가합니다.화학물질 노출: 벤젠, 페인트, 방부제, 제초제, 살충제 등 특정 화학물질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항암제 등 약물: 이전에 항암제(특히 알킬화제,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 치료를 받은 경우.흡연: 성인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위험을 높입니다.바이러스 감염: EBV(엡스타인-바 바이러스), HTLV-1, HIV 등 일부 바이러스 감염이 관련이 있습니다.백혈병의 종류와 환자의 연령, 건강 상태, 유전자 이상 유무 등에 따라 생존율과 완치율은 크게 다릅니다.5년 생존율로 보면만성골수성백혈병(CML) 약 90% 이상 소아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약 75~90%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약 50~60%성인 급성골수성백혈병 약 50~60% 전체 백혈병 평균 약 55% 입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0
0
숨쉬는거 관련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아기가 옆으로 눕혀 있다가 스스로 뒤집어져 코를 박고 엎어진 상황에서, 바로 발견하여 눕혀주셨고, 이후 1주일간 별다른 증상이 없었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소아과에서도 별 증상이 없으면 괜찮다고 안내받으셨다면 더욱 안심하셔도 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5.0
1명 평가
0
0
근력운동 후에 붓기가 오랫동안 지속됩니다(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팔을 심장보다 높게 올려두면 중력에 의해 체액이 잘 빠져나가 붓기가 빨리 가라앉습니다.부드럽게 마사지하거나, 가벼운 스트레칭·움직임을 하면 림프 순환과 혈액 순환이 개선되어 붓기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해당 부위에 침치료를 받으시면 아주 좋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07.02
5.0
1명 평가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