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보험
자격증
경제
예적금금리 , 세금규정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일단 이자발생소득은 비과세를 제외하고 지방세를 포함해서 15.4%입니다. 단, 금융소득이 2천만원을 넘어가게되면 개인 종합과세를 하기때문에 이때는 개인소득수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도 기본적으로 15.4%보다는 세율이 올라가는게 일반적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4.27
0
0
이자소득 15.4% 는, 금액에 상관없이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비과세 상품을 제외하고는 이자소득세는 지방세 포함 15.4%가 맞습니다. 단, 금융소득이 2천만원 이상이 되면 종합소득이 되니 이떄부터는 개인소득에 따라 이자소득의 세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개인소득과 합산하기떄문에 세율이 올라가게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4.27
0
0
금리와 채권투자의 상관 관계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금리가 오르면 일단 기본적으로 이자수익에 대한 채권투자는 긍정적이게 됩니다. 단, 제가 산 금리보다 시중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채권가격의 하락이 예상되기 떄문에 일반적으로 시중금리가 오를떄는 단기 채권금리를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집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4.27
0
0
실비보험 통원비 청구할경우 연말정산때 토해내야 한다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실비보험을 청구할 경우 실비보험금을 지급받은 만큼 의료비 공제 혜택을 받지는 못하지만, 지급받은 보험금 만큼 연말정산시에 반납하지는 않습니다.기본적으로 실비보험은 1개 보유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보험 /
의료 보험
22.04.26
0
0
보험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를때 계약자 사망시 보험계약 효력은 유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계약자가 사망한다고해서 피보험자의 보험 효력이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만약 계약자가 사망하고 아직 보험료 납입이 필요하다가면 기본적으로 피보험자가 계약을 승계하며, 또한 제 3자를 지정하여 계약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보험 /
저축성 보험
22.04.26
0
0
유럽은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금리인상을 할만큼 심하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유럽도 세계트렌드와 함께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이 심해 금리를 인상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단, 유럽의 경우 저금리 현상이 심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에 대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측면이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4.26
0
0
자동차 보험을 갱신해야 하는데 저렴하게 드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보험은 온라인 보험이 저렴하고, 자동차를 많이 타시지 않으면 특약에 따라 할인을 받으실수 있는 경우도 있는듯 자신의 특성에 맞게 보험을 가입하는것도 방법입니다.또한, 무사고가 계속되면 보험료 할인도 되니 알아보시고 가입드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험 /
저축성 보험
22.04.26
0
0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채권가격은 일반적으로 금리가 하락할때 올라가고 상승할떄 내려갑니다. 금리와 가격은 상반되게 움직이니까요예를들어 제가 들고 있는 채권의 금리가 10%라고 가정하면, 시중의 금리가 10% 이하일떄는 제가 가치고 있는 채권의 가치가 올라가 가격이 상승하고, 시중금리가 10%이상일 경우에는 제가 가지고 있는 체권의 가치가 하락해 가격이 내려가게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4.26
0
0
스파게티볼 효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한국가가 다른 몇개의 나라와 동시에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 각 나라마다 다른 원산지 규정 적용, 통관절차, 표준 등을 확인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더 들어 거래비용 절감이라는 애초 기대효과가 반감되는 현상을 일명 스파데티볼 효과라고 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2.04.26
0
0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의 차이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1금융권 2금융의 차이는 금융관독원 기준에 따라 구별됩니다. 일반적으로 1금융은 시중은행 / 2금융은 캐피탈, 단위은행, 보험사가 속합니다. 금융권의 차이에 따라 규제 등을 달리하는게 이유입니다.질문자님꼐서 말씀하신거처럼 일반 국민들도 금리, 대출액, 기간 등의 차이를 느낄수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4.26
0
0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