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에 치약의 형태는 언제 처음 역사적으로 등장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치약은 1610년 선조 때 허준의 동의보감에 ‘개치( 齒)’ 혹은 ‘개아( 牙)’라고 칭하고, 치아를 문질러 닦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향약집대성에는 상심산과 동의보감에 백아약 처방이 있어 조선시대의 치마분 즉, 치약이 사용됐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15
0
0
에그타르트의 탄생배경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에그타르트의 원조는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 외곽에 있는 파스테이스 드 벨렝이라는 조그만 베이커리이다. 근처 예로니모 수도원에서 수녀들이 달걀 흰자로 수도복에 풀을 먹이고 남은 노른자로 만들어 먹던 에그타르트 레시피를 전수받아 1832년부터 판매했는데 지금은 세계적인 맛집으로 유명해졌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5
0
0
저출산의 가장 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저출산의 원인으로는°도시화로 인한 개인주의 사상의 확산°경제 사정의 악화와 고용률 감소°독신으로 생활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과 환경 증가(1인가구 증가, 인스턴트 식품 생산, 세탁소, 빨래방, 의류가게 등 각종 서비스업의 확산)°사교육비 등 육아 양육비 부담 증가°아이를 낳을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의 부족°학력과 경제력으로 인한 결혼 포기(집값 상승, 땅값 상승도 이 원인에 포함됨)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5
0
0
천연 기념물은 희귀성으로 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천연기념물이란 자연 가운데 학술적, 자연사적, 지리학적으로 중요하거나 그것이 희귀성, 고유성으로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한 구역'이나 '자연 기념물'을 뜻한다.
학문 /
역사
23.02.15
0
0
국어사전에서 야채와 채소의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야채(野菜)는 들어서 자라나는 나물, 채소를 뜻하고. 채소(菜蔬)는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을말합니다.
학문 /
문학
23.02.15
0
0
무덤에 묘와 능 같이 구분이 되어 있는데 어떤 의미 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당시의 생활양식을 엿볼 수 있다. ( 그림은 1957년 청강 김영기 화백이 그린 「고도의 인상」)경주 시가지에는 다른 도시에서 볼 수 없는 둥글둥글한 작은 산 같은 등성이가 수두룩하니, 경주 사람들이 ‘봉황대’라고 불러오던 것이다. 이게 모두 신라 때, 왕이나 왕비, 왕족, 귀족들의 무덤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무덤은 죽은 이의 주검을 묻은 것이니, 예나 지금이나 별로 변한 게 없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무덤의 개념을 뛰어넘는 엄청난 크기의 더미가 있으니, 산더미인지 무덤인지 구분을 잘 못할 정도다.명칭에 있어서 왕(王)과 왕비(王妃)의 무덤은 ‘릉(陵)’이라 하고, 그 외의 무덤은 ‘묘(墓)’라고 부르니, 예를들어 ‘태종무열왕릉’이나 ‘흥덕왕릉’, ‘김유신 장군 묘’나 ‘김인문 묘’라고 일컫는다.
학문 /
역사
23.02.15
0
0
세계에서 가장인구 밀집도가 높은 도시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세계 인구밀도 순위는1위 마카오인구밀도는 1k㎡당 21,067.3명7위 한국인구밀도는 1k㎡당 515.3명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5
0
0
배의 속도를 나타내는 노트는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배의 속도 단위 노트는배의 선미에 삼각형 형태의 조각을끈에 매달아 흘러보내면서그 끈에 28피트마다 매듭을 만들고28초 동안 풀려나간 매듭의 수를세어 배의 속력을 재는것에유래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15
0
0
최초의 신화는 길가메시 서사시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룩(우루크)의 전설적 임금인 길가메쉬에 관한 영웅 서사시 설화군(群)이다.길가메시는 기원전 28세기경 우루크를 126년 동안 지배한 왕이며, 신화에 따르면 3분의 1은 인간, 3분의 2는 신인 영웅이라고 한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4
0
0
알렉산더대왕이 육군전쟁?에서는 최고라고 하던데 일찍 요절했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정확한 요절의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알렉산더 대왕의 사망 원인은박테리아에 감염돼 길랭-바레 증후군으로 진행성 마비가 발생했고 사망으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