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동서양을 통틀어서 최초의 문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쐐기 문자(cuneiform) 또는 설형 문자(楔形文字)는 수메르인들이 기원전 3000년경부터 사용했던 상형문자로, 현재 기록/발굴 중 가장 최초의 문자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2.14
0
0
팔만대장경은 어떻게 파손없이 보관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바람이 남쪽의 큰 창으로 들어와 경판 사이를 돌아 위로 올라가 북쪽의 큰 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를 굴뚝 효과라고 부르며, 장경판전 안으로 들어온 공기가 경판과 실내를 돌아서 빠져나가도록 설계한 창 덕분에 팔만대장경은 상하지 않고 원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이슬람교의 발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슬람교 또는 회교(回敎)는 무함마드가 유일신 알라의 사도이자 예언자라고 가르치는 아브라함계 유일신교로, 불교, 기독교, 유대교, 힌두교와 함께 세계 5대 종교의 하나이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서유기나 불교 관련 경전들을 보면 '천축국' 이라는 곳이 나오는데 위에서 말하는 천축국이 인도를 일컫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대 인도를 일컬어 '천축국(天竺國)'이라고 했다. '축'이란 단어는 불교와 관련이 있다. 중국에서는 축법(竺法)은 불법(佛法), 축수(竺書)는 불경, 불교학문을 축학(竺學)이라고 쓴다. 천축이란 이름은 하늘의 불국, 즉 부처의 성지란 뜻이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흐지부지'라는 단어의 원래 의미를 알고 싶은데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흐지부지는 부사이며어원은 흐지 + 부지 < 휘지비지> (한자 諱之祕之) 입니다. 뜻은 확실하게 하지 못하고 흐리멍덩하게 넘어가는 모양.동사로써는 흐지부지되다, 흐지부지하다형용사는 흐지부지하다가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윤달?.정확하게 설명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년 12개월 외에 몇 년만에 한 번씩 들기 때문에 윤달을 여벌달·공달 또는 덤달이라고도 부른다. 그래서 보통달과는 달리 걸릴 것이 없는 달이고, 탈도 없는 달이라고 한다. 속담에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없다.’고 할만큼 탈이 없는 달로 되어 있다. 윤달이 아니면 집안에 못을 하나 박아도 방위를 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수리나 이사도 윤달에 하면 가릴 것이 전혀 없다고 한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2.14
0
0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유물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단양 금굴>현재 한반도에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 중 가장 오래된 곳(최고(最古)의 유적)으로 약 70만 년 전의 것입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2.14
0
0
선교사 알렌의 제안으로 설립된 제중원은 왜 광혜원에서 개칭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제중원은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으로설립 당시에는 광혜원(廣惠院)이었다. 개원 13일만인 4월 23일 고종은 '대중(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濟衆院)이란 이름을 하사하여, '광혜원'의 이름이 '제중원'으로 바뀌게 되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아포리즘이라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아포리즘은 본래 그리스어로 정의를 뜻하는 'aphorizein'에서 파생한 단어입니다. 아포리즘은 우리가 흔히 아는 명언이나, 속담, 격언, 잠언 등과 같이 우리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교훈을 간결하게 표현한 말들을 의미합니다.
학문 /
문학
23.02.14
0
0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무엇에서 모티브를 얻어 만든 건축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개 껍질처럼 생긴 오페라 하우스 건물의 지붕 모양은 국제 디자인 공모전의 우승작 작가인 덴마크의 건축가 '이외른 우촌'이 오렌지 껍질을 벗기던 도중에 떠올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