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실크로드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지칭하는거인가요? 그리고 동서중 어디서 시작이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비단길 또는 실크로드(Silk road)는 근세 이전 중국 대륙과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의 지중해 세계를 잇던 동서 교역 루트, 또는 이러한 교역 루트를 통해 연결되었던 교역망을 이르며,실크로드의 서양 기점은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플로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0
0
0
발렌타인데이에 왜 초콜렛을 주게 됐나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여성이 남성에게 초콜릿(초콜렛 chocolate) 선물을 주며 사랑을 고백는 날이라는 식의 발상은 일본의 한 제과회사에서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학문 /
역사
23.02.10
0
0
세계 1차대전의 도화선이된 사라예보사건은 어떤 이유에서 일어나게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사라예보 사건(사라예보 事件)은 1914년 6월 28일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위 계승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과 조피 초테크 폰 호엔베르크 여공작 부부가 청년 보스니아라는 민족주의 조직에 속한 18세의 청년이자 대학생이었던 가브릴로 프린치프에게 암살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0
0
0
갑자사화는 어떠한 이유때문에 일어난 것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다. 연산군이 폐비 윤씨의 복위를 추진하면서 성종때 폐비를 찬성한 훈구 원로세력이 대부분 숙청당했다. 이때 희생된 사람들은 중종 반정 직후 대부분 복권된다. - 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0
0
0
중세시대에 마녀사냥은 왜 벌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마녀사냥에 대해 정치학에서는 전체주의의 산물로 보고 있고, 심리학에서는 집단 히스테리의 산물로 보고 있으며, 사회학에서는 집단이 절대적 신조를 내세워 개인에게 무차별한 탄압을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0
0
0
음악관련 책을 읽다가 통주저음이 있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통주저음>은 저음부에서 지속적으로 쉬지 않고 베이스 반주를 곁들여 주는 주법을 말한다. 다른 말로는 '지속저음', '계속저음', '숫자저음'이라고도 한다. 무반주 작품을 제외하면, 바로크 시대의 거의 대부분의 기악곡 및 성악곡들은 이 주법을 사용한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음악
23.02.10
0
0
클라이밍은 어떻게 생겨난 스포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기원전 200년 그림에는 암벽 등반을 하는 중국 남성이 그려져있다. 12세기에 절벽에서 살던 아나사지는 뛰어난 클라이머로 여겨졌다. 근대 유럽인들은 정상에 도착하기 위한 고산등반(Mountaineering) 기술의 하나로 여겨 암벽등반 기술을 단련하기도 했다. 1880년대 유럽인들은 암벽등반을 고산등반의 기술이 아닌 독자적인 분야로 분류하였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0
0
0
남극점에 최초로 도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로알 아문센은노르웨이의 탐험가이며, 지구의 두 극점을 모두 최초로 정복한 사람이다. 인류 최초로 북서항로를 개척하고,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했으며, 최초로 북극점 상공 비행에 성공했다.
학문 /
역사
23.02.10
0
0
로뎅의 작품이 가지는 예술적 가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로댕의 작품을 감상하게 되면 외부 세계와 사물에 대한 뚜렷한 경지를꿰뚫어 보는 그의 표현 시각과 비구상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사물의 본질을 명확하게 이해하려는 작가의 확고한 의식을 느낄 수 있게 된다.그리하여 그의 작품 양식은 고전적(古典的)인 동시에 낭만적(浪漫的)이었으며, 당시의 사회적, 경제적 및 예술 사상에 있어서도 혼란기에 있었던 사람들에게는 또한 가히 혁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학문 /
미술
23.02.10
0
0
이휘소박사님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휘소(李輝昭)는 한국이 낳은 세계적 천재 물리학자이다. 그는 새로 전개되는 소립자 물리학 이론의 선두에 선 물리학자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 반열에 올랐던 과학자였다. 비운의 교통사고로 1977년 42세로 요절했으나 그가 제시한 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는 소립자 물리학의 표준모형을 확립했다.
학문 /
역사
23.02.10
0
0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