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근로자의날은 누가 재정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근로자의 날은 역사적으로는 1958년 이후, 대한노총 창립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로 정했으며, 1963년 4월 17일에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근로자의 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것이 1973년 3월 30일에 제정·공포되었으며, 이후 1994년부터는 다시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1.28
0
0
새터민이란 말 뜻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과거 냉전 시기에는 귀순 용사라는 표현을 쓰다가, 1990년대 이후로는 탈북했다고 해서 탈북자로불리웠고, 참여정부 시기 '새터민'이라는 표현을 법제화했으나, 여전히 탈북자로 많이 쓰입니다.정부 차원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겨울에 우리 조상들은 물을 어떻게 구해서 사용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옛날 마을에는 우물이라는땅을 깊이파서 나오는 물을사용하였습니다. 우물은땅속 지열로 항상 15도 안팍을유지하였기에 겨울에도얼지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우리나라의 내시는 언제부터 궁에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려에서 거세 풍습이 생겨난 것은 몽골 간섭 이후였습니다. 이때부터 고자들이 대거 양산되어 궁중 내시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고자들이 본격적으로 내시가 된 것은 이때부터였던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조선시대 궁에 상주하는 인원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을 수립할 때 정한 궁녀의 숫자는 대전, 대비전, 중궁전이 각 100명, 세자궁 60명, 세자빈궁 40명, 세손궁 50명, 세손빈궁 30명이었다고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신체발부수지부모에 따른 법적인 재제도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에선 문신을 새겨도 신체발부 수지부모라하여 큰 처벌을 받기도 하였는데, 그 이유는 단순히 문신을 새겨서가 아니라 문신을 새김으로서 다가오는 결과 때문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조선시대에도 담배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애연가 정조는 규장각 초계문신들에게 ‘모든 백성이 담배를 피우도록 할 방안을 제시해 보라’(남령초 책문)는 과거시험 문제를 낼 정도로 담배 사랑이 유난했습니다. 본인이 골초였던 정조는 즉위 뒤 기우제 때 술만 금지하고 담배는 허락하도록 합니다. 제사를 앞두고 금연‧금주를 하는 이유는 마음을 재계하기 위한 것인데, 담배를 피우고 싶은 마음이 가득하면 마음이 정제되기는 커녕 괜히 마음만 고통스럽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출처: 스키노뉴스
학문 /
역사
23.01.28
0
0
감자는 우리나라에 언제 유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실록에 정확한 전파 시기가 적혀있는 고구마와 달리, 감자는 정확한 전래 시기가 적혀 있지 않다. 일단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따르면 1824-5년쯤에 청나라를 통해 전래되었다고 한다. 청나라와 교류하며 조선에 전해졌다는 설도 있고, 청나라 사람들이 조선에 인삼을 도둑질하러 넘어왔을 때 먹고 버티려고 감자를 심어 전래되었다는 설도 있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1.28
0
0
아스팔트라는 단어를 지은 인물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점성을가진 액체인 역청(아스팔트)은 유전에서 석유가 오랜 시간동안 휘발하면서 자연적으로 생겨나기도하는데, 유전이 있는 지대에는 석기 시대부터 역청을 사용한 유물이 발굴도기도 한답니다.창세기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의 방수 도료와 바벨탑의 벽돌 사이에 바르는 자재로 역청이 쓰였다고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조선시대 때 왕비의 하루 일과는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내명부의 으뜸인 왕비의하루일과는아침이면 윗어른께 문안드리고후궁들에게 문안을 받고왕자들의 육아교육과 왕비로서갖추어야할 덕을 공부하였으며왕의 배우자로서의 역할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