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전통 운동에는 태권도 말고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또다른 전통무술로는 유연하고 율동적인 춤과 같은 동작으로 상대를 공격하거나 다리를 걸어 넘어뜨리는 한국 전통 무술로, 우아한 몸놀림의 노련한 택견 전수자는 직선적이고 뻣뻣하기보다는 부드럽고 곡선을 그리듯이 움직이지만, 엄청난 유연성과 힘을 보여주는 '택견'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4
0
0
충무김밥의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945년 광복 이후 통영에서남편이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느라 제 때 식사하기 어려운 남편을 위해고깃배는 냉장시설이 없어 아내가 상하기 쉬운 김밥 대신 김에 밥만을 넣어 간편한 김밥을 만들고, 그것만 먹으면 밍밍하니까 거기에 잘 안 상하는 반쯤 삭힌 꼴뚜기무침과 무김치를 만들어 주었다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4
0
0
서울을 수도로 정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을 세운 태조 이성계는 즉위한지 2년 후인 1394년 8월 새로운 왕조의 도읍지로편리하고 안성맞춤인 '한양'을 조선의 새로운 도읍지로 정했습니다. 이 한양이 지금의 서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4
0
0
우리나라의 노비제도는 어떻게 생겨 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노비의 시초로고조선의 법률에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는다.”고 하였으며, 부여의 법률에 “살인자의 가족은 노비로 삼는다.”고 했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노비(奴婢))]
학문 /
역사
23.01.24
0
0
과거의 책은 세로쓰기였는데 왜 가로 쓰기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한반도에서는 한문의 영향으로 세로쓰기가 주류였다. 가로쓰기를 할 때도 있었는데 주로 현판을 쓸 때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썼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이후에 한국어를 한글로 쓸 때도 마찬가지로 세로쓰기가 기본이었다. 최초로 한국어 한글 표기에 가로쓰기를 시도한 사람은 영국 스코틀랜드의 존 로스(John Ross, 1842~1915) 선교사이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1.24
0
0
조선 시대에도 우리나라 경찰처럼 범죄 수사하는 기관은 어디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의 검시제도>조선시대에도 범죄는 골칫거리였다. 살인 등 변사(變死) 사건이 발생하면 신중하고도 엄격한 절차를 거쳐 수사가 진행됐다. 시체를 검사하는 검시 책 임자는 고을 수령이었는데, 초검(初檢, 1차 검시)은 시신이 놓인 장소의 관할 수령이 담당하고, 복검(覆檢, 2차 검시)은 이웃 고을의 수령이 나섰다. 검시를 위해 수령이 사건 현장으로 출동할 때는 고을 아전을 보조 인력으로 데리고 가, 시신을 다루는 일부터 관련자 신문(訊問)까지 제반 실무를 지시했다.수사의 핵심은 첫째로 사망원인을 밝히는 것, 둘째로 목격자나 관련자들의 증언을 확보하는 일이다. 검시를 맡은 수령은 왜 죽었는가를 밝히는 문제에 더 집중했다. 사망에 이르게 된 직접적 원인을 알아야 억울한 죽음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출처:문화재청
학문 /
역사
23.01.24
0
0
일제강점기때 활약하던 의열단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의열단(義烈團)은 1919년 11월 김원봉의 주도 하에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된 항일 무장 투쟁 단체였다. 의열단은 의로운 일(義)을 맹렬히(烈) 행하는 단체(團)의 약자로, 주로 일본 제국의 고위층에 대한 암살 활동이나 주요 시설에 대한 파괴 공작을 거행하였다. 이 단체를 발족한 약산 김원봉은 3.1 운동의 대중화 단계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독립 만세 시위를 전개한 조선인을 보고 크게 감동하였다. 이로써 의열 투쟁 결사대를 조직하여 암살ㆍ파괴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국내 동포들의 독립 정신을 환기시키고, 나아가 이를 통하여 국내외 한인을 중심으로 혁명을 촉발함으로써 민족의 독립과 조국의 광복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구상 아래 김원봉은 1919년 11월 윤세주, 이성우, 곽경, 이종암 등의 동지들과 지린성(吉林省)에서 의열단을 발족하였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1.23
0
0
고려시대 왕건에게 몇명의 자식들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각지방의 유력 호족들과강력한 동맹을 맺는 방법이었던혼인을 왕건은 29명의 부인과 혼인을 하였습니다. 낳은 자녀들은 왕자가 25명, 공주가 9명으로 총 34명이었습니다. 29명의 부인 중 왕건의 자녀를 가장 많이 낳은 왕비는 제3 비였던 신명순성왕후 유 씨로 총 5남 2녀를 두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일제강점기 시절 활약했던 여성 독립운동가들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3.1운동 이후 문맹퇴치운동과함께 민족교육을 실시한 여성계몽가로는(근우회)의 조신성,(대한민국 애국부인회)의 김 마리아,(최초 여자비행사)인 권기옥,(상록수)의 주인공 농촌계몽가인최용신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고려시대 대표적인 발명품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의 대표 발명품은금속인쇄 기술이 서양보다무려 200년이나 앞선8만 1,258장의 나무판에 불교 경전을 조각해 종이에 인쇄한 최초의 금속활자인 '팔만대장경'으로 고려인이 발명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