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역사적으로볼때 중공은왜 티벳을 공격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적으로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입장이중국 황제들은 13세기 이래 티베트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해 왔고, 이는 탄생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중화인민공화국에 티베트를 침공할 명분이 되고도 남았습니다. 때마침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중국공산당의 마오쩌둥 정권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중국 대통일"을 완성함으로써 중국의 티베트 통치를 정당화하고자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조선시대세종대왕의 한글창제말고 다른업적들은 없는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대왕의 업적으로는 한글창제와 더불어 나라의 기틀을 바로잡기 위해유교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제도를 정하였고, 편찬사업을 활성화시켰으며또 농업과 과학기술의 발전, 의약기술과 음악 및 법제의 정리, 공법의 제정, 국토의 확장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세계근대사보니 달라이라마 란분이 대단하시던데 어떤인물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는 몽골의 알탄 칸이 3대 달라이 라마 소남 갸초에게 봉헌한 이름입니다. 그는 겸손의 의미로 자신의 스승과 그의 스승에게 1대, 2대 달라이라마의 칭호를 올리고 자신은 3대 달라이라마가 되었습니다. 그 이래로 그 법통을 잇는 모든 화신들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몽골어 ‘달라이’는 갸초(Gyatso, 지혜를 가진 영혼)와 함께 ‘바다’를 뜻하며, 티베트어 ‘라마’는 산스크리트어의 ‘구루(grub, Drup)’에 해당하는 말로 ‘영적인 스승’이라는 뜻입니다. 즉 "바다와 같은 지혜를 가진 스승"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장녹수가 연산군의 마음을 어떻게 사로잡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녹수가 연산군의 마음을 사로잡게 된 비결은 용모가 아닌 그녀의 언행과 교태였습니다. 연산에게 반말과 조롱, 하대까지 하였으나 이또한 장녹수가 연산의 기분을 알고 부린 교태에 지나지 않았습니다.그래도 연산은 화를 내기는커녕 맞춰주며 오히려 기분이 좋아졌다고 합니다. 노래 실력 역시 출중해서 연산군이 궁중으로 불러 들이게 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팔만대장경이 만들어진 배경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가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조성한 초조대장경의 경판은 안타깝게도 1232년(고종 19) 몽골의 2차 침입 때 몽골군에 의해 남김없이 불태워지고 말았습니다. 나라의 보물을 잃은 고려는 불타 소실된 대장경판을 다시 새기기로 결정하였으며, 새긴 대장경이라는 뜻의 재조대장경이라고 불렀습니다. 그 경판의 수가 무려 81,258매에 달하여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부르며 오늘날 해인사 장경판전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독립운동가 박열이 개명한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명은 박준식이었으나 스스로 개명한이름이 바로 박열입니다. 박열은 부모가 지어준 호적상의 이름을 거부하고 직접 자신의 이름을 정한 것이 불과 8살의 어린 나이였는데, 한자로 열(烈)은 '맵다', '세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결심한 것은 이루고야 말겠다는 포부가 담겨있습니다. 이름처럼 실제로도 박열은 어릴 때부터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다혈질의 열혈 소년이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왕권신수설이 탄생하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권신수설이란 국왕의 권한은 인간이 아닌 신(神)으로부터 나온다는 정치이론으로유럽 절대주의 시대를 뒷받침해 온 정치사상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영국 스튜어트 왕가의 찰스 1세가 바로 이 왕권신수설의 신봉자였습니다. 신의 권한을 부여받은 그는 마치 자신이 신이라도 된 것처럼 행동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사람을 "사람" 이라고 칭한것은 어떻게 정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대 국어 ‘사람’의 옛말인 ‘사’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는 말입니다. ‘사’은 동사 ‘살-’에 접미사 ‘-’이 결합한 파생 명사입니다. 16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바뀐 ‘사람’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는 ‘ㅡ’로 바뀌는 경향이 있었지만, 간혹 ‘ㅏ’로 변하기도 하였습니다. ‘사’의 경우는 제2음절의 ‘ㆍ’가 ‘ㅏ’로 바뀌어 ‘사람’이 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10.08
0
0
팔만대장경이 역사적으로 위대한 유산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만대장경은 총 무게는 280톤으로, 4톤 트럭 70여 대를 동원해야 옮길 수 있는 양입니다. 당시 고려인구로 추정되는 300여 만 명 가운데 약 20%에 해당하는 50만 명이 동원된 대작불사이자 거대한 기록유산입니다.더욱이 팔만대장경 본문의 내용은 동양의 어떤 한문번역 대장경보다도 우수하다는 것이 국내외 학자들의 공통된 평가입니다. 또한 수백 년이 넘도록 원형을 잃지 않고 보존되고 있어, 경판 자체가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증명해 주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0.08
0
0
이란과 아랍국가는 왜 싸우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국은 국민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나 이란은 그 중 80% 이상이 시아파고 이라크는 시아파와 수니파로 2등분되어있으나 전통적으로 수니파가 상대적으로 다수인 시아파를 지배함으로써 양국은 과거부터 갈등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란 혁명 성공으로 강경 급진 시아파가 집권함으로써 양국 관계가 격화되기 시작했습니다.이란 혁명 이후 이란의 시아파 정부는 이라크가 후제스탄 지역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라크 내 시아파를 박해한다고 비난하는 등 설전을 했고 이라크는 내정 간섭 중지를 경고함과 동시에 이란이 이라크 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맞받아치는 등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되어 마침내 국경에서 무력 충돌로 확대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10.07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