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장례식에서 49제의 의미와 목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9일이라는 숫자는 대승 불교의 전승에서 나왔습니다.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일반적으로 칠칠일(49일) 동안 저승에 머무르며 명부시왕 중 일곱 대왕들에게 7일째 되는 날마다 심판받다가 49일에 최종심판을 받고 환생한다 하여, 심판을 받는 날에 맞추어 49일 동안 7번 재를 지냅니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잡채는 한국의 대표적인 잔치음식인데요 언제부터 먹기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잡채는 17세기 조선시대의 광해군 재위 시절, 궁중연회에서 처음 선보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광해군이 총애하던 이충이라는 사람이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궁중에 바치곤 했다는데, 만들어오는 음식이 얼마나 맛이 있었던지 임금이 식사 때마다 이충의 집에서 오는 음식을 기다렸다가 수저를 들곤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그 중에서도 특별히 임금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음식이 바로 잡채입니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정확하게 삼재란 어떤걸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재란 인간이 9년 주기로 맞이하는 인생에서 가장 위험한 시기를 일컫는 단어이다. 9년이 지나가는 시점부터 3년간 별의별 재난을 겪게 된다고 하며 이를 삼재팔난이라고 별도로 부른다. 삼재에 해당하는 각각의 해를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라고 칭한다. 즉 삼재 1년차는 들삼재, 삼재 2년차는 눌삼재, 삼재 3년차는 날삼재라고 부르는 것. 사주 쪽에서는 삼합의 생지를 충하는 년에 삼재가 들어온다고 한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한 배경과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첫째는 국민이 원하면 대통령직을 사임 할 것이며 둘째는 지난 번 정부부통령 선거를 많은 부정이 있었다고 하니 선거를 다시 하도록 지시하였고 셋째는 선거로 이인한 모든 불미스러운 것을 없애게 하기 위해서 이미 이기붕 의장이 공직에서 완전히 물러가겠다고 결단한 것이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보디빌더의 유래가 궁금하고 왜 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디빌더는 19세기 말, 독일계 영국인인 오이겐 산도프라는 인물이 처음 대중들 앞에서 자신의 근육들이 이루는 육체미를 선보이는 무대를 선보이면서 시작되었으며, 보디빌딩의 목적인 근육의 모양과 크기를 만드는목적을 가진 운동입니다.
학문 /
음악
23.09.22
0
0
방탄국회가 무엇인지 ,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회의원은 현행범인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기 중 국회의 동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않습니다. 회기 전에 체포 또는 구금된 때에는 현행범이 아닌 한 국회의 요구가 있으면 회기 중 석방됩니다. 헌법 44조 1항과 2항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조항을 가리키는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현대사공부하다가 1985년 국제그룹이 해체됬다는데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제그룹의 해체 이유는 무리한 기업 확장과 해외 공사 부실 등의 이유가 있었으나, 실제로는 정치자금의 납부실적이 부족해서 권력층의 눈밖에 난것이 결정적인 원인이었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양꼬치에 찍어먹는 쯔란은 원산지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쯔란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식물의 씨앗이다. 지중해 동부와 이집트 북부가 원산지로, 지중해, 아프리카 북부, 중동, 인도 등지에서 널리 재배된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조선시대 양반에게도 특권이라는게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반은 조선시대의 최고 지배신분층이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특권을 누리고 있었다. 그 중 중요한 것을 든다면 관직상의 특권, 국역에서의 특권, 토지소유에서의 특권 등을 들 수 있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내륙지방인 안동이 간고등어가 유명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냉동시설이 미비했던 시절 영덕에서 잡힌 고등어를 안동까지 운반하려면 꼬박 하루가 걸리는데 중간중간 소금을 뿌려야만 상하지 않기 때문에 안동이 간고등어로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9.22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