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화성학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화음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렸을 때의 합성음을 말한다. 음의 수직적인 배열로 단음보다 더 풍부한 음의 느낌을 가지고 기본적으로 화음의 기본위치에서 맨 밑음이 대표음(기본음)이 되며 나머지 음은 음정의 성질에 따른 역할을 수행한다.
학문 /
음악
23.09.18
0
0
원나라가 만든 쌍성총관부는 어떤곳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는 1258년(고종 45) 12월부터 1356년(공민왕 5) 7월까지 몽골이 고려의 동북면에 설치·운영하였던 통치기구이다. 원간섭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고려인 조휘(趙暉)와 탁청(卓靑)의 몽골 투항을 계기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으며, 화주(和州)에서 정주(定州)에 이르는 지역을 관할하였다.
학문 /
역사
23.09.18
0
0
이성계의 부대인 가별초는 어떤부대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별초(別抄)는 특별히 뽑은 정예 병력을 의미하며 가별초는 말 그대로 '가문의 정병'을 의미한다. 여말선초 권문세족과 신흥 무인세력들은 크던 작던 가별초들을 보유했지만 조선 태조 이성계가 거느리던 가별초가 가장 유명하고 군공도 많았기에 흔히 가별초하면 이성계 가문이 이끈 동북면 병사들을 일컫는다.
학문 /
역사
23.09.18
0
0
국지불국이란 사자성어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지불국이란 옛날 원나라의 간섭으로 국민들의 삶이 사는 것이 사는 게 아닐 정도로도탄에 빠져 힘들었을 때 생긴 말로 "나라가 나라 아니다"라는 말은 정권을 잡은 자의 횡포를 빗대 하는 말이다.
학문 /
역사
23.09.18
0
0
규곤시의방 이라는 책의 내용과 역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규곤시의방≫은 집안의 딸과 며느리를 위하여 쓴 것이다. 안동장씨는 겉표지 안에 “새색시가 삼 일 만에 부엌에 내려가 손을 씻고 국을 끓이니, 아직 시어머니의 식성을 몰라서 시누이를 시켜 먼저 맛보게 하였다(三日入廚下 洗手作羹湯 未諳姑食性 先遣少婦嘗).”라는 한시가 있다.
학문 /
역사
23.09.18
0
0
문벌귀족이 권력을 얻을 수 있었던 이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벌귀족은 비슷한 부류끼리 혼인 관계를 맺어 권력을 더욱 단단하게 장악하였다. 특히,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어 외척으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정권을 장악하기도 하였다.
학문 /
역사
23.09.18
0
0
음악관련공부하다보니 모차르트랑 베토벤은 실제로 만났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베토벤이 빈에 가서 모차르트로부터 장차 세상을 놀라게할 아이라는 찬사를 받았다는 일화가 있는데, 하지만 베토벤이 빈을 찾았을 무렵의 모차르트는 돈 죠반니의 작곡에 몰두하여 어지간한 사람은 만나주지 않았다고 합니다.그러나 후일 베토벤이 모차르트의 피아노 연주 솜씨에 대해 평한 말("투명하지만 공허하다")로 보아 만남 자체는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학문 /
음악
23.09.18
0
0
뮤지컬에서 딕션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딕션이란 단어의 뜻은 간단하게 말하면 발음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단순히 발음이라고 해석하기 보다는 또박또박 정확하고 유창한 발음, 혹은 영어 발음을 의미합니다.
학문 /
음악
23.09.18
0
0
조선시대 신하들의 의복색깔은 직급에 따라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색, 비색 옷은 고위직만 입었으며,조선 영조 20년(1744)에는 2품 이상은 비(緋)색, 당상 3품은 홍(紅)색, 종3품 이하는 청(靑)색, 7품 이하는 녹(綠)색 도포(袍)를 입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18
0
0
조선시대 왕들의 초상화는 어떻게 사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진 제작의 원래 의도는 성자신손(聖子神孫)이 보은사상(報恩思想)에 근거한 추모의 정례로부터 행하여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9.18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