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최초의 시인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96년 11월 30일 평안북도 곽산에서태어나 1914년 도쿄 유학생들이 발간하는 《학지광》에 시 〈이별〉 등을 발표하여 창작 활동을 시작한 시인 김억입니다.
학문 /
음악
23.09.08
0
0
세계역사공부하다가 인도의 카스트제도가 있었다던데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의 카스트는 고대 인도부터 시작된 전통적 사회계급으로 현대 인도는 산업화를 겪음에 따라 도시에서는 카스트가 유명무실하나 소도시나 여러 지방에서는 아직 사회문화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한국의 최초 지폐는 언제 만들어 졌으며 얼마짜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건국 이후 태종(太宗, 재위 1400~1418) 대에 본격적으로 화폐 사용이 추진되어 저화가 발행되었는데, 저화 발행의 표면적 이유는 유통의 편의를 위한다는 것이지만, 실제 이유는 저화와 민간의 쌀을 바꾸어 나라의 미곡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한국이 OECD 국가에 들어간 이유와 역사적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0년대 말 한국은 민주화와 더불어 점차 무역 갈등이 커지자, 한국정부는 90년대 초 세계경제질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한다는 명목으로 OECD 가입을 구체적으로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제암리 학살은 무엇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암리 사건은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堤岩里)에서 발생한 일본군의 민간인 학살 사건입니다.시위에서 분노한 군중에 의해 일본인 순사부장이 사망하였고, 주재소와 일본인 상점도 불에 탔다. 일본군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제암리 주민을 교회에 가둔 후 불을 질렀으며, 마을 전체를 불태웠다. 기록에 따르면 교회에서만 23명이 사망하였고, 인근의 고주리 주민도 6명이 사망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권불십년(權不十年) 이라는 사자성어의 의미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권불십년 화무십일홍'이라 하여십 년 가는 권력은 없고, 열흘 붉은 꽃은 없다’는 뜻으로 ‘한번 성하면 반드시 쇠하고, 권력은 유한하다’는 의미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미국이 중국에 수행했던 데탕트 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데탕트(Détente)는 '긴장의 완화(Relaxation of Tensions)'를 뜻하는 프랑스어 입니다.1970년대 초부터 약 10년간 지속된, 냉전기에 제1세계인 미국과 제2세계인 소련의 대립이 다소 완화되었던 현상을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한자의 영향력이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자어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한자교육은 필요합니다. 특히 한자는 우리 한글 속에 존재하고 있기에, 한글만을 공부하게 되면 문장의 속뜻을 이해하는데 어려울 수 있기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공공미술에서의 조형물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형물은 차갑고 딱딱한 현대 건축물의 외관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주기도 하고, 건물과 조화되어 보는 사람에게 시각적 인 쾌감을 일으켜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꾸민다는 심미적인 역할과, 인간적인 공간을 만들어 내어 심리적 위안을 제공한다는 사회적인 역할도 수행하게 됩니다.
학문 /
미술
23.09.08
0
0
홍건적의 수는 얼마나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홍건적의 병력은1359년의 1차 침공은 모거경이 4만여 명의 병력으로 침공했다가 70여 일 만에 대부분의 병력을 잃은 채 압록강을 건너 패주하는 것으로 끝났다.2차 침공은 반성, 사류, 관선생, 주원수가 이끄는 20만여 명을 이끌고 침공하여 개경을 함락시키는 등 위력을 발휘했으나 안우, 김득배, 이방실 등의 활약으로 3개월 만에 10만여 명이 죽고, 10만여 명은 다시 압록강을 건너 도주하는 것으로 끝났다.
학문 /
역사
23.09.08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