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속초팔경에는 어떤 명소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속초팔경으로는 1) 속초등대전망대 2) 영랑호 범바위 3) 청대리 청대산4) 청초호5) 속초해변 조도6) 대포 외옹치7) 설악해맞이공원8) 상도문 학무정 등이 동해안을중심으로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8.02
0
0
과거 우리 조상들은 손톱과 발톱을 처리하는데에도 정성을 들였다고 하던데, 어떻게 처리했는지 그 이유도 함께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손발톱의 일화로 조선 숙종 때 문신 이익(李瀷)은 죽기 전에 중년부터모아 둔 손톱, 발톱을 합쳐 보니, 손바닥 가득 두 줌이 되었다 합니다. 이것을 각각 봉투에 싸서 관에 넣어달라 유언을 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2
0
0
수영복 모노키니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노키니는 비키니와 원피스 수영복, 그 가운데 정도에 있는수영복이라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은비키니가 상의와 하의로 분리된 두 벌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모노키니는 원피스처럼 한 벌로 이루어지지만 허리 부분 등을 절개해 비키니와 비슷한 분위기를 연출할수 있습니다.
학문 /
문학
23.08.02
0
0
궁복에서 왜 장보고로 이름을 바꾼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명은 궁복(弓福) 또는 궁파(弓巴)로, ‘활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골품에 들지못하는 지체가 변변하지 못한 평민 출신이었습니다. 장보고라는 이름은 중국 당나라에 건너갔을 때 대성(大姓)인 장씨(張氏)의이름을 모방해 지은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2
0
0
과거 한강에 다리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어떻게 한강을 건넜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배가 없던시절 한강을 건너기 위해서는 물살이 약하고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용이한 지점을 찾아 배를 이용할 수있는 시설을 설치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장소가 바로 나루였습니다.그 크기에 따라 도(渡)·진(津)이라 표현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2
0
0
전설의 동물 해치의 유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치는 일반인들에겐 ‘해태’로 더 잘 알려진 중국 등 동아시아 고대 전설 속에 등장하는 ‘상상 속의 동물'입니다.시비와 선악을 판단하는 능력을 지녔다고 하고,해치는 분란이 생긴 현장을 보면 어긋난 행동을 한 사람을 골라 뿔로 들이받고, 중죄인은 뿔로 공격한 후 먹워치워 버린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8.02
0
0
이탈리아의 토스카나지역은 왜 와인으로 유명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탈리아 지역에 있는 대부분의 포도밭은 해발 150~500미터 사이에 있습니다. 고도가 높을수록 낮 동안의 온도 변화가 커져 포도의 당도와 산도, 그리고 향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2
0
0
세계 모든 나라가 공통적인 사항이 숫자와 요일외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의 모든나라는 화폐라는 경제도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양도 크기도가치도 다르게 쓰이고 있는데이 화폐를 공통으로 가치를 대체하는 것으로 금이 있습니다.세계 어느나라에서도 그 가치가 있으니까요.
학문 /
역사
23.08.02
0
0
우리나라 새만금에서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개막했는데?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는 4년마다 열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WOSM)의 합동 야영대회 및 각국 문화 교류를 위한 청소년 축제로,원래 잼버리라는 의미는 시바아리(SHIVAREE)라는 유쾌한 잔치, 즐거운 놀이라는 뜻으로, 스카우트의 창시자인 '베이든 포우엘'이 직접 영국 런던 올림피아 경기장(스타디움)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야영대회를 이렇게 칭하면서 전파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2
0
0
바로크양식은 언제 누구에 의해서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세기 후반에 ‘르네상스 문화‘의 고전적인 균형과 조화에 반대되는 당시의 불규칙하고 과장된 양식을 가리켜 “바로크”라고 불렀는데, 미술사 학자 ‘뷜플린 Heinrich Wolfflin’의 연구에 힘입어, 오늘날에는 17세기 유럽의 시대 정신에 부합하던 미술 양식으로 그 독자적인 가치를 인정 받고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8.02
0
0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