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1.4후퇴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25 전쟁 중이던 1951년 1월 4일, 인천 상륙작전의 성공으로 수도 서울을 탈환한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이 압록강 국경에서 북한의 임시수도 평안북도 강계시를 향한 마지막 공세를 준비하던 중, 중국에서 내려오는 중공군의 불법개입으로 인한 대공세로탈환했던 서울을 포기하고 물러나 퇴각한 것을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조선시대 때 면직업이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면포가 조선시대 의생활에서 가장 보편적인 직물로 면포는 견직물처럼 아름답지는 못하나 실용적이었고,면포는 조선 전기 대외무역에 있어서 수입에 대한 지불수단의 주종을 이루는 수출품이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한국사에서 소금의 전매 제도는 언제 폐지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금의 자금자족이 이루어진 것은 1955년이고, 소금의 전매제도가 해제된 것은 박정희 대통령이 집권한 이듬해인 1962년이었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천재 과학자 에디슨의 발명품은 어떤것들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디슨의 발명품으로는 1874년 자동 발신기, 1877년 축음기, 1879년 전화 송신기, 1880년 신식 발전기와 전등 부속품을 개발했고, 1881년 전차 실험을 했으며, 1882년 발전소를 건설하였습니다.
학문 /
미술
23.07.29
0
0
유교의 시작은 어디였고, 이를 종교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 공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는 진리 구현의 방식이 수기치인이다. 수기치인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리는 것으로서 위정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이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교회나 성당에 다닐 때 봉헌은 의무가 아닌 선택이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교가 돈으로 대처가 되고평가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단지종교도 삶의 방식을 따라야 하기에금전이 필요한 것이 아닐까요?강제가 아니라 능력껏 성심을표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조선시대에도 휴대용 시계가 있었다는데 정말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인 1890년(고종 27년) 당시 무관이던 상직현이란 인물이 제작한 해시계로 반구형 모양의 ‘앙부일구’ 등 10여점과 휴대용 해시계인 ‘휴대용 앙부일구’(보물)가 현재 전해지고 있습니다 .
학문 /
역사
23.07.29
0
0
일본 역사에서 일왕이 실권을 가진 때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왕은 일본의 명목상 지배자이며 상징성을 가진 구심점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다른 나라의 국왕과 같은 모습으로 전제 군주로서 스스로 권력을 행사한 시기는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 중기까지 200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 등 길지 않았으며, 가신들에게 이리저리 휘둘리다가 센코쿠 시대 이래로는 권력을 잃은 단순한 얼굴마담 같은 존재로 전락했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한국사에서 화포가 전쟁에 최초로 사용된 것이 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당시 사용된 화포로는전체 길이는 78.5cm. 무게는 43.7kg으로 몸통은 7마디의 죽절과 같이 이루어진 '현자총통'이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우리나라는 고려시대에 호패제도가 처음도입되었다는데 어디서 들어왔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패는 원나라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 공민왕을 거쳐 조선시대에 들어선 후 태종 (13년)에 의해 처음 보급되었으며, 이후 점차 활성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9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