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 광해군 시기에 있었던 계축옥사는 어떠한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08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대북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여 역모하였다는 이유로 소북의 영수(領首) 류영경(柳永慶)을 죽이고 소북 인사들을 축출한 사건으로 대북은 또 계속 왕권에 위협이 되는 영창대군과 그 측근들을 제거하고자 하였는데, 때마침 그 계획을 이룰 수 있게 된 사건이 계축옥사(癸丑獄事)이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7.14
0
0
일본 전국 시대에 나오는 다이묘는 어떠한 지위의 계층입니까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이묘(일본어: 大名)는 10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일본 각 지방의 영토를 다스리며 권력을 누렸던 영주를 말합니다. 무로마치 시대부터 전국 시대를 거쳐 에도 막부 시대까지 다양한 계급의 변천사가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쇼군 바로 아래의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7.14
0
0
고려시대 편찬된 이승휴의 제왕 운기는 어떠한 내용을 다룬 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왕운기』는 중국과 우리 민족과의 지리적·문화적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우리는 중국과 구별되는 독자성·자주성·주체성을 가진 우수한 문화민족임을 국민 각자에게 자각하게 하여 몽고의 정치적 지배에 대항하는 정신적 지주로 삼기 위하여 제작, 기록된 것입니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7.14
0
0
교황청의 아비뇽 유수는 어떤 배경 때문에 일어난 사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비뇽 유수( Avignon Papacy)는 14세기 당시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던 서방교회의 교황청을 신성 로마 제국이 강제적으로 프랑스 남부 아비뇽으로 옮겨 1309년부터 1377년까지 머무르게 한 사건을 말하며, 고대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에 빗대어 쓰인 표현이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일본의 수도는 교토인가요 도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쿄(東とう京きょう都と, Tōkyō-to) 는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이다. 혼슈 동부에 있는 도쿄 광역권의 핵심 도시로 일본의 중심지이다.도쿄도만 놓고 보면 인구는 약 1400만 명이며, 이 중 구 도쿄시 지역 23개 특별구의 인구는 약 970만 명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7.14
0
0
삼국지의 여몽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몽은 중국 후한 말 손권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자명이며 예주 여남군 부피현 사람입니다. 바닥에서부터 치고 올라온 무인이었는데 손권의 권유로 시작한 공부가 일취월장해서 노숙이 놀랐다는 괄목상대라는 고사와 관우가 지키던 형주를 손에 넣은 것으로 유명합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7.14
0
0
발해를 세운 대조영은 고려인 즉 우리 민족의 핏줄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太)씨는 발해 고왕 대조영(大祚榮)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입니다. 태(太)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063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12위이며,본관은 협계(陜溪), 영순(永順), 남원등 14본이 있습니다. 인구의 대부분이 함경북도에 밀집되어 있습니다.2010년부터는 협계와 영순의 두 본관이 통합하여 백주 태씨가 되었으나, 모르는 후손이 많아 실질적으로는 분리되어 있습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7.14
0
0
고려나 통일신라시대 때 도축일을 하던 사람들은 대우가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정은 조선시대 이래 가장 천대받는 계층중 하나였습니다. 조선시대는 모든 생활체계가 신분 위계질서에의해 철저하게 구속되었는데 이들은 가축 도살과 유기제조업에 종사하며 천민으로 궁핍한 생활을 살아가야만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신라 장 보고는 어떻게 죽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보고의 세력은 매우 강성하여 신라에서 그를 어쩌지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이때 염장(閻長)이라는 사람이 계략을 써서 장보고를 암살합니다. 인재를 아끼는 점이 장보고의 약점이라 보고, 거짓으로 귀의하는 척 하며 방심한 그를 죽인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무슨 무슨 칙령 이라고 할 적에 칙령의 정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칙명(勅命)은 동양의 봉건 군주국가 중에서 황제국 단계의 군주(황제)가 발급하는 명령서입니다. 중국에서는 흔히 성지(聖旨)로도 불리며, 고급 관료를 인사 임명할 때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밖에도 과거 급제자, 토지 노비 전답을 하사할 때에도 사용됩니다.
학문 /
역사
23.07.14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