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빨갱이란 말은 어떻게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산주의자를 비하하는 멸칭 중 하나인 빨갱이는 본래 당원이나 유격대원을 뜻하는 파르티잔(partisan)에서 빨치산과 빨갱이가 유래되었다고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짭"이라는 말의 어원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짭'은진품을 일컫는 속어인 '진퉁'과 달리짝퉁이라는 가짜제품을 일컫는 말로축약된 형태로 변형되어 '짭'이라는 말이생겨나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문학
23.07.13
0
0
서커스가 최초로 시작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커스는 라틴어 키르쿠스(Circu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최초의 서커스 공연은 고대 로마의 전차경기장인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열려 검투사의 대결 같은 잔혹한 대결이 펼쳐지기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지중해 고대문명인 페니키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페니키아 인은 해상 민족으로 항해술이 뛰어나 지중해를 무대로 활발한 교역 활동을 하면서 곳곳에 식민 도시를 건설하였습니다. 그중 아프리카 북부에 세운 카르타고는 페니키아가 멸망한 후에도 남아 훗날 로마와 지중해 무역의 패권을 다투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서울 남산타워는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9년 12월, 봉수대를 대체하기 위해 남산의 현재 위치에 종합송신소를 위한 220m의 송신탑을 세울 계획을 민방협에서 발표하였으며,동아방송, 동양방송, 문화방송의 3개 민간방송의 합작 설립투자에 의해총 233m, 해발 고도 490m로 동양에서 가장 높은 타워가 만들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고려시대 서민들이 즐겼던 놀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서민들의 놀이로는명절놀이와 일상적 놀이로 크게 나누고, 풍농기원놀이, 풍어기원놀이, 辟邪進慶·除厄招福을 위한 놀이, 오락을 위한 놀이를 명절놀이에 넣고, 비승부놀이·승부놀이·전문인놀이로 일상적 놀이를 나누기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3
0
0
그림자를 판 사나이에서 그림자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책에서 말하는 그림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의미합니다. 내면의 가치를모르고 언제든 팔아 처분할 수 있는존재임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학문 /
미술
23.07.13
0
0
길갈 레파임은 어떤 목적으로 지어진 유적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동 지역의 스톤헨지로 불리는 길갈 레파임(Gilgal Rephaim)의구조물은 지금부터 약 5,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길갈 레파임(Gilgal Rephaim)은 하나님과 그의 택한 백성들을 대적하는 왕들의 운명이 어떻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기념비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신안증도의 태평염전은 등록문화재360호로 지정되었다고 하는데요. 염전시작은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소금에 관한 기록으로는 『삼국지』 위지동이전 고구려조에 소금을 해안지방에서 운반해 왔다는 대목이 있을 뿐입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1288년(충렬왕 14) 처음으로 염전에서 세금을 거두었고, 1309년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도염원(都鹽院)을 두어 염분(鹽盆)주4을 국가에서 관장하여 직접 소금을 제조·판매하는 전매제도로 재정수입원을 삼았습니다. 19세기 말 우리나라의 소금 생산량은 150만 톤 이었고 소비량은 210만 톤으로 부족분은 일본, 타이완, 청나라로부터 수입하여 충당하였습니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7.12
0
0
조선 세종대왕을 성군이라고 하는데요 명군 정도가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 역사상 보통 성군이라 하면 광개토대왕과 세종대왕이라 할 수있습니다. 특히 세종대왕은글자없는 나라에 한글을 만들어백성들의 소통을 도운 유일한왕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