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아리랑, 아라리 같은 의미로 쓰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랑의 아리는, 고운, 이라는 뜻의 옜말이고 랑은 님을 가르킨다고볼 수 있습니다.아라리는 근 현대에 뜻을 몰라 잃어버린말로 이는 상사병의 고대 우리말로 판단됩니다. 근대 한국어에는 상사병을 나타내는 말로 가슴아리(가슴앓이) 에서 어렴풋이나마 그 흔적을 엿볼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6
0
0
안중근에 아들 안준생은 친일파였다는데 그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39년 10월 16일, 박문사에서 사죄와 함께 일제에 충성을 바치겠다고 한 후로는 제 부친께서 어리석은 생각으로 당신의 아버님을 죽게 만들었는데 이에 아들로서 아버지의 오만방자한 만행을 진심으로 사죄한다고 했으나,현재까지는 이후 뚜렷하게 친일 활동을 한 행적이 없기에 그를 명백한 친일파라고 확정하긴 어렵다. 다만 그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그보다 더했을 상황의 독립운동가들도 자신들의 목숨을 바쳐가며 독립에 투신했던 만큼 그 안중근의 아들로서 이토 히로부미의 유족에게 사죄를 하는 행적 자체는 사실이자 기록으로 남아있기에 비판을 받는 것 자체는 피할 수 없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26
0
0
뱀 같은 놈의 유래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에덴동산에는아담과 이브가 살고있었는데그곳에는 창조주가 따먹지 못하게금지한 선악과가 있었는데 이를이브를 꾀어 아담에게 먹게 만든것이뱀으로 사악한 의미의 존재였기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6
0
0
마이클 셔머가 말하는 믿음엔진이란?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믿음 엔진이란?과학자들이 우리의 의식과 일상을지배하는 믿음의 본질과 기원을설명할 때 이용하는 심리적 시스템을 말합니다.
학문 /
철학
23.06.26
0
0
조선시대에도 통행 금지 제도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통금제도는 조선왕조실록에는 1401년(태종 1) 5월에 처음 기록이나오고, 이때에 “초경3점(初更三點) 이후 5경3점(五更三點) 이전에 ( 오늘날의 시간으로는 대개 오후 8시에서 오전 4시 반경까지) 통행을 범하는 자는 모두 체포할 것”을 명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6
0
0
학익진은 누가 만든 전법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학익진(鶴翼陣)은 부채꼴 모양으로 적을 감싸는 진법의 하나로 동양과 서양, 옛날과 오늘날 모두 두루 쓰이는 전술의 하나로 학이 날개를 편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학익진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한산대첩 등의 해전에서 사용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6
0
0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에 하수도 시스템은 언제 처음 도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근대적 하수도는 1918∼1940년에 이루어져, 이 기간에 225㎞의 간·지선 하수도가 형성 되었습니다. 1954년 전쟁 복구사업으로 하수도 개수가 시작된 이래, 하수도 사업은 서울의 발전과 더불어 발전되어 왔으며, 1976년 6월에 처음으로 청계천(중랑)하수종말처리장이 준공되었습니다.출처:환경관리사업소
학문 /
역사
23.06.26
0
0
00에 대한 로망이 있다 할 때, “로망”은 어떻게 이런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어 사전에서 로망(ロマン)이란 단어를 찾아보면 ‘일본어의 독자용법’이란 설명과 함께 ‘꿈이나 공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란 뜻풀이를 해놓았습니다. 프랑스어 로망은 독일로 건너가 낭만주의(romantik)의 어원이 됐으며, 마찬가지로 영미권에선 달콤한 연애로 변신하고, 일본에선 오래된 꿈이나 공상의 대상으로 변신하여 쓰게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6
0
0
조선 말기 광혜원은 어떤 성격의 기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왕립병원으로설립 당시에는 명칭이 광혜원(廣惠院)이었습니다. 개원 13일만인 4월 23일 고종은 '대중(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濟衆院)이란 이름을 하사하여, '광혜원'의 이름이 '제중원'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6
0
0
고려후기 건축양식인 다포식 건물의 대표적인 건물은 어떤게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후기에는 다포식 건물도 등장하여 조선 시대 건축에 큰 영향을 끼쳤는데,그 예로 황해도 사리원의 성불사 응진전은 고려 시대 다포식 건물로유명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6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