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 시대 서산대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휴정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이다. 속성은 최(崔), 본관은 완산, 이름은 여신, 아명은 운학, 자는 현응, 호는 청허·서산, 별호는 백화도인 또는 서산대사·풍악산인·두류산인·묘향산인·조계퇴은·병로이다. 휴정은 법명. 제63대 조사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5
0
0
역사에서 일어난 반란들을 지칭할때, 난과 반정은 어떻게 구분지어서 명칭을 붙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반정(反正)은 돌이켜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명분상) 실정을 하는 왕을 폐위시키고 새로 왕을 세우는 일이다. 즉 오늘날로 치면 쿠데타이다.반란은 특정 권력 및 무력 집단이 기존의 권력과 국가를 정복할 목적으로 벌이는 행위. 물리적이며 정치적인 행위다. 반란에 동조하거나 이용되는 무력집단을 반군이라고 칭하고 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5
0
0
사회성이라 것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들의 유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회성(社會性)의 학술적인 정의는 "사회적 성숙, 타인과 원만하게 상호작용하는 능력, 다양한 사람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말하며, 장애 진단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따르면 사회성은 사회적 능력 (social competence)과 사회적 기술 (social skill)로 나뉜다. 다른 의미로는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으로서 Sociability를 의미한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5
0
0
십자군 전쟁의 주 원인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의 제후, 기사, 상인, 농민 등이 모여 십자군을 결성하고 약 200년에 걸쳐 8차례의 십자군 전쟁이 시작된다. 초기 회차에는 종교적 신념을 유지하고 한때 예루살렘 회복에도 성공한다. 그러나 점차 각자의 세속적 목적을 추구하는 군대로 변질되고 성지 탈환에도 결국 실패한다.-출처:똑똑
학문 /
역사
23.06.05
0
0
고려장은 우리나라 역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효자전孝子傳>의 원곡(原穀) 이야기가 고려장 설화의 원형으로 보이며 불경 <잡보장경雜寶藏經>의 '기로국연(棄老國緣)조의 설화'에서 기로국이 고려로 와전된 이야기가 고려장 설화의 원형으로 추정되고 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5
0
0
일제강점기즈음 조선에 신분제도가 사라지게 되었을텐데, 노비계급은 어떻게 생활을 하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민사관론자들의 주장과 달리 일제강점기 내내 현실적인 노비 계급이 실존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탈하는 걸 법적으로 막을 수는 없었으므로 신분제 폐지 이후 많이 줄어들긴 했으나 대신 이들에게 땅을 빌려주고 대신 인신까지 어느 정도 통제하는 소작농 형태로 부려먹는 경우가 급격히 늘어났다. 주인은 이들이 부당한 대우에 저항하면 해고하겠다는 위협으로 여전히 인신을 통제했으며, 어떻게 벗어난다고 해도 20세기 전반 모든 나라가 다 그렇듯이 도시 공장에서 부려먹히는 저임금 노동자 신세였기 때문에 딱히 벗어나는 것이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도 아니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4
0
0
중세시대 유럽에서는 군주와 교황 중 누가 힘이 더 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 시대를 보면 교황이 세속 군주와 끊임없이 경쟁을 하긴 했지만 대부분 굴욕의 역사였다. 11 ~ 13세기 정도를 제외하면 교황의 권력은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다. 11세기까지 교황은 황제의 하수인으로 인식되었고, 11세기 중반 이후 교황의 권력이 급격히 강해졌지만, 교황이 일으킨 십자군 전쟁의 실패가 이어지고, 13세기 대공위 시대 때 독일 제후들이 담합하여 교황을 왕따시키며 이후로 교황의 영향력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얼마 후 아비뇽 유수가 일어나며 더 이상 교황은 역사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4
0
0
역사와 전통이 깊은 비폭력 시위방법중 하나인 촛불집회때 왜 초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에서 촛불은 세상의 빛인 예수를 상징한다. 부활절이나 성탄절 때 촛불을 밝히고 예배 또는 미사를 드리거나 행진하는 의식도 여기서 비롯했다. 불교에서 촛불은 무명과 탐욕을 몰아내서 어두운 사바세계를 밝히는 지혜와 광명의 불씨로써 진리와 정의, 희생과 자비를 상징한다.-출처:영광신문
학문 /
역사
23.06.04
0
0
커피를 우리는 많이 마시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커피의 원산지인 아비시니아(현재의 에티오피아)에서 최초로 홍해를 건너 남부 아라비아로 전달된 과정에 대한 기록은 아직 발견된 것이 없다. 그러나 에티오피아가 525년 남부 아라비아를 침공한 것을 근거로 이때, 아라비아로 커피가 처음 전파되었으며 이후 메카, 카이 등지로 퍼져 나갔을 것이라 추측하는 사람이 많다. 참전했던 흑인 노예들이 비상식량으로 커피를 지니고 아라비아로 건너가 아라비아에서 커피가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몇몇 역사학자들은 기원전 1000년 경에 아프리카를 침략했던 노예상에 의해 이미 커피가 아라비아에 전파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출처:동서식품
학문 /
역사
23.06.04
0
0
미식축구는 축구에서 갈라져 나온 스포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럭비와 축구를 바탕으로 하여 1870년대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만든 축구경기. 럭비와 축구를 바탕으로 하여 1870년대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만든 축구경기. 미국에서는 '풋볼(football)'이라고 부르나 그 외의 나라에서는 '아메리칸 풋볼(American football)'이라 한다.https://encykorea.aks.ac.kr › Article미식축구(美式蹴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사전
학문 /
역사
23.06.04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