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임시 정부 내의 서북파와 기호파는 어떤 것에서 대립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윤치호는 내로라하는 기호집안 해평 윤씨였고 사위는 평양, 즉 서북 출신이었다. 윤치호는 “조롱과 비난, 심지어는 욕을 먹게 될 것”을 각오하고 있었다.윤치호는 지역감정 하나로만 봐도 조선은 독립할 자격이 없다고 했다.그의 일기를 보면 안창호는 ‘일본인들은 최근의 적이지만 기호파는 500년간의 적이기에 먼저 기호파를 박멸하고 독립해야 한다’고 했으며 여운형 등은 서북파의 음모를 분쇄하기 위한 기호파 비밀결사를 자신에게 제안했다고 한다. 이에 윤치호는 서북파가 오랜 세월의 억압 속에서 기독교와 근대교육을 받아들여 지도자들로 부상한 점을 인정하면서도 ‘서북인들은 일본인들보다 기호인들을 더 증오하기에 일본인들에 아첨해 기호파에 대한 비열한 계략을 동원’할 것이라는 판단을 내리고 ‘기호인들의 결사는 응집력이 없기에 불가능할 것’이니 ‘허심탄회하게 교류하고 신사적으로 대하자’는 유연한 태도를 보여주는 듯했다.-출처 :팍스넷 증권포털
학문 /
역사
23.06.03
0
0
음악 장르중에 '아카펠라'라는 장르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카펠라"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교회식으로(in the church style 또는 in the manner of the Church)"이다. 중세 시대의 교회에서 대개 반주 없이 합창을 했던 데에서 유래하여, 무반주 합창을 말한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음악
23.06.03
0
0
공자와 관련된 도서를 읽다가 절차탁마(切磋琢磨)라는 사자성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정확히 어떤 뜻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절차탁마(切磋琢磨)는 공예품을 만들어 낼 때의 정성과 노력과 인내심을 가지고 학문과 덕성을 함양하여, 길이 백성들에게 잊혀지지 않는 훌륭한 군자(君子)가 되라는 것을 이르는 것이다. 절차탁마(切磋琢磨)는 못 할지라도 마음의 양식을 쌓을 수 있는 자세를 가졌으면 좋겠다.-출처:시티뉴스
학문 /
철학
23.06.03
0
0
우리 조상들은 언제부터 쌀을 먹기 시작했는지 쌀의 역사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쌀은 벼 열매의 껍질을 벗긴 알갱이이다. 벼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인도 동북부와 중국 윈난 지방에 걸친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쌀은 장립형과 단립형이 있고 아밀로오스 함량 비율에 따라 멥쌀과 찹쌀로 분류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적어도 신석기시대 후기에 쌀농사가 시작되어 삼국시대 때 쌀밥이 보편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생산량이 적어서 조선시대까지도 지배계급인 양반의 주식이었고 국민 대부분이 쌀밥을 먹게 된 것은 1970년대 녹색혁명 이후이다. 현재는 쌀 소비량의 급감으로 남아도는 쌀의 처리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6.03
0
0
기황후는 궁녀에서 어떻게 황후의 자리까지 올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황후는 1340년(충혜왕 후1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순제의 제2황후로 책봉될 수 있었다. 기황후는 원 황실에 친화적인 행보를 보이며 자신만의 세력을 구축한다. 기록에 따르면 기황후는 한가할 때마다 『여효경(女孝經)』과 역사책을 읽으며 역대 황후의 행실 가운데 본받을 만한 것을 탐구하였고, 혹 맛있는 음식을 얻게 되면 우선 태묘(太廟)에 보낸 후 맛을 보았으며, 기근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빈민을 구제하는 데 앞장서 인망을 쌓았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6.03
0
0
문정왕후는 불교를 중흥시켰는데 선비들의 반발은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정왕후의 숭불정책의 중심에는 보우(普雨)가 자리하고 있었다. 문정왕후는 강원감사 정만종(鄭萬鍾)의 추천을 통해 보우를 소개받은 후 보우를 매우 존경하게 되었다. 그리고는 보우를 봉은사[서울](奉恩寺) 주지로 임명한 후 본격적으로 불교를 중창하기 시작하였다. 유신들의 반대에도 아랑곳않고 도첩제(度牒制)를 실시해 선·교 양종에서 각각 30명의 승려를 선발하였으며 전국에 300여개 사찰을 공인하였다. 이러한 숭불정책으로 인해 임진왜란 때 활약한 승려 휴정[서산대사](休靜(西山大師)), 유정[사명대사](惟正(四溟大師)) 등이 발탁되는 등 조선의 불교는 일시적인 중흥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조정의 유신들은 물론 전국의 사림들이 문정왕후의 때아닌 숭불정책에 격렬하게 반대하였으나 그녀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6.03
0
0
바둑은 우리나가 최고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둑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고대중국 전설상의 제왕인 3황5제 때에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5세기~7세기 사이에 삼국시대에 소개되었으며, 순장바둑이라는 형태로, 1950년대 현대바둑이 유행하기 전까지 성행하였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3
0
0
인도처럼 신분제도가 있는 나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은 사회 계층이 확연하게 나뉜 것으로 유명하다. 영국은 아직까지도 혈통에 따른 태생적 특권 계층이 인정되는 군주제 국가고 엄연히 귀족 신분이 존재하는 국가다. 물론 현대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과거 귀족들처럼 봉건적 특권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단지 명예적 특권만 가지고 있다. 또한 과거 귀족 작위(공작, 백작 등)를 소지한 인물은 영국 총리직을 할 수 있는 서민원(영국 국회 하원 의원) 출마 자격까지 박탈당하지만 엄연히 상류층, 유산층, 중산층의 사회적 계급 구분이 확연하고 서로 어울리거나 섞이는 일은 극히 드물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3
0
0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에 어린이 교과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머 헐버트는평상시 사람들이 하는 말을 듣고 3년 만에 한국어를 익혔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지리서를 한글로 간략하게 정리해 1889년에는 《사민필지(士民必知)》라는 책을 쓴다. 이 책은 한국 최초의 세계 지리 교과서이기도 하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3
0
0
우리나라 조선시대 왕의 후손은 한명도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의 손자이자 의친왕의 10남. 이석(李錫)은 황실 족보 상 이름이고, 본명은 이해석(李海錫)이다.황실문화재단의 이사장이다. 그리고 현재 생존해 있는 고종황제의 손자 중 가장 연장자이며 유일하게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인물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3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