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6-3-3 학제 도입은 언제부터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8-4-4제는 1850년쯤부터 시작된 가장 오랜 제도. 그런데 초등교육 8년은 아동기와 청년전기가 같은 환경에서 교육을 받아야한다는 불합리 때문에 1910년쯤부터 초등교육을 6년으로 하는 6-3-3제가 등장, 오늘날 기간학제가 되고 있다.-출처:중앙일보
학문 /
역사
23.05.31
0
0
대한민국 임시정부 침체기와 임정 개헌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1차 개헌은 대통령 지도제로서, 대통령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그러나 불합리한 점이 있어, 6년 만에 제2차 개헌을 통하여 국무령 중심의 내각 책임 지도제로 전환하였다가, 2년 뒤에 제3차 개헌을 통하여 국무위원 중심제로 바꾸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31
0
0
고구려의 제천행사 풍습은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 고구려의 종교 의식(추수감사제)이자 제천 행사이며 원시 종합 예술인 매년 10월에 열리던 명절로 하늘에 제사지내고 또 여러 사람이 가무를 즐겼다 하며, 이를 동맹(東盟) 또는 동명(東明)이라고도 한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31
0
0
미술에서 키아로스쿠로 기법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키아로스쿠로는 명암의 대비 효과를 사용하여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3차원적인 물체나 사람을 묘사할 때 입체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명암의 효과를 사용하는 것에 사용되기도 한다. 사진술이나 영화 제작에서도 명암법이라는 말이 쓰인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5.31
0
0
학교 학급의 반장이 일제의 잔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반장이란 제도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다. 일제시대 학교에서 조별로 조장을 뒀던 데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조선시대 서당에서 학생들 가운데 나이 많고 학식이 풍부한 사람인 '접장'에서 생겨났다는 견해도 있다. 유래와 관계없이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권위주의가 짙게 뱄다는 데는 이견이 없는 듯하다.-출처:부산일보
학문 /
역사
23.05.31
0
0
맨하튼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맨해튼 계획(Manhattan Project, 맨해튼 프로젝트)은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미국이 주도하고, 영국, 캐나다가 참여한 핵무기 개발 계획이다. 계획은 극비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은 세계 최초로 핵분열 반응을 이용한 원자폭탄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계획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3]을 포함한 미국 과학자 아카데미의 제안으로 시작하여 당대 미국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닐스 보어, 엔리코 페르미, 존 폰 노이만,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해롤드 애그뉴 등이 차출되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31
0
0
은력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고대의 상나라에서 사용됐다는 역법 중 하나. 태음태양력이며 365일과 1/4일을 1회귀년으로 정하고 있는것이 특징이다. 사분력(四分曆)이라고 부른다. 상나라의 도읍지인 은(殷)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되었지만 실재로는 상나라에서 사용하지 않고 전국시대 이후에 만들어진것으로 추측되어 한나라 초기까지 사용한것으로 보인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31
0
0
퍼블릴리어스 사이러스는 어떤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퍼블릴리어스 사이러스 ' 는 기원전 1세기 로마 작가로서 많은 명언으로 유명한 사람입니다.명언으로 " 목표에 도달했을 때 돌아서지 마라. "" 모든 사람은 죽음 앞에 평등하다. "" 교육을 무시하는 것은 무지한 사람뿐이다.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31
0
0
관자라는 책은 어떤 내용의 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자》는 춘추시대 제의 재상이던 관중의 저작으로 믿어졌으나 현재로는 전국시대 제에 모인 사상가들의 언행을 전국시대부터 전한 때까지 현재의 형태로 편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31
0
0
우리나라의 신문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종 때에 이르서야 박문국이라는 관청에서 발행한 한성순보가 발행된 것이 한국 최초의 근대적 의미의 신문이다.이후 구한말에는 독립신문, 매일신문, 제국신문, 대한매일신보, 시일야방성대곡으로 유명한 장지연의 황성신문등 꽤 많은 언론사가 난립했다.이후 언론사의 전개는 각각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서울신문, 경향신문 등 해당 신문 문서를 참고할 것.1957년 4월 7일 한국 최초의 민간지 독립신문 창간 61주년을 맞아 신문의 날이 제정되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31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