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을미의병이 일어나게 된 사회적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95년 10월 8일 일본의 만행으로 인해 청일전쟁 이후 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을 견제하려던 명성황후가 시해되었다.유생들은 일제에 격분하여 친일 역적을 처단하자는 내용을 담은 상소를 올리고(10월 8일, 음력 8월 20일), 명성황후의 복수를 위해 의병들을 규합했다(10월 10일, 음력 8월 22일). 마침 고종이 각지의 유명 유림들에게 의병 궐기를 촉구하는 밀서들을 보내면서, 같은 해 10월 18일, 충청도의 의병장 문석봉이 유성 장터에서 맨 처음 유성 의병을 일으키면서 마침내 근왕창의(勤王倡義)의 기치를 걸고 의병 활동이 시작되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4
0
0
삼민주의라는건 어떤 이념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05년에 중국의 쑨 원(孫文)이 제창한, 중국 혁명의 기본 이념. 국내 여러 민족의 평등과 반식민지(半植民地) 상태의 독립을 역설한 민족주의, 주권 재민(主權在民)을 역설한 민권주의, 경제적 불평등의 시정을 목표로 하여 사회주의를 역설한 민생주의의 3원칙으로 이루어짐. 국민당이 재조직된 이후에는 신삼민주의라고 불림. 손문주의. 쑨원주의.
학문 /
역사
23.05.24
0
0
발해시대의 가장 가치있는 건축물로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의 사찰터가 전면적으로 발굴되지 못했기 때문에 건물 배치에 대한 전체적인 비교를 해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상경 용천부 제1 사찰터와 제9 사찰터를 통해서 정전 건물의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두 사찰터의 건물은 속 칸과 겉 칸으로 이루어져 있고 속 칸의 북쪽 중심에는 발상이 있었고 그 주변에 작은 불상을 두었고 그 앞에는 불공을 드리던 장소가 있었습니다. 또한 이 두 사찰터에서는 이전 시기 정전 건물과 평면 계획상 다른 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것은 삼국 시대 금당들은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 단순한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발해의 정전에서는 크고 작은 방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건물을 이루었습니다. 한마디로 발새 시대 사찰의 특징을 요약하면, 금당의 본 건물은 겉칸과 속 칸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한 건물 안에서도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했다는 점입니다.-출처:티스토리
학문 /
역사
23.05.24
0
0
프랭크 스톡턴은 어떤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랭크 리처드 스톡턴(Francis Richard Stockton, 1834~1902)미국의 소설가, 유머 작가. 특히 19세기 후반의 10년간에 걸쳐 많은 인기를 얻었던 일련의 혁신적인 동화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표작으로는 『여자일까 호랑이일까』, 『포모나 여행기』, 『연해에 나타난 해적들』 등이 있다.-출처:리디
학문 /
역사
23.05.24
0
0
거란의 건국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란국은 당나라 말과 오대십국의 혼란기를 틈타 8부족을 통일한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에 의해 916년에 건국되어, 9대 210년동안 존속하다가 1125년에 천조제(天祚帝)가 여진에 생포되면서 멸망하였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3
0
0
우리 나라 역사상 기준금리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금리를 기준금리라고 합니다. 기준금리는 매우 중요하지만, 일반인들의 경제활동에 기준금리가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한국은행과 거래할 일이 없는 것처럼 말입니다. 기준금리는 중앙은행과 민간은행 간의 거래에 적용되는 금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민간 경제주체들에게 실제로 적용되는 금리는 시장에서 결정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기준금리에 가산금리가 붙어 시장금리가 형성됩니다. 중앙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는 누구나 받아들일 수밖에 없지만 가산금리는 시장에서 결정되는 매우 가변적인 값입니다. 시장금리는 경제주체들의 신용이나 미래의 성장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망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출처:통화정책방향
학문 /
역사
23.05.23
0
0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수용량이 가장 큰 댐은 1973년 완공한 소양강댐으로 저수용량이 29억 ㎥ 규모로 우리나라 최고라고 할 수 있죠. 연간 12억 ㎥의 용수공급과 5억 ㎥의 홍수 조절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발전시설용량 20만kW로 전국 총가구의 3.3일 간 전력 사용량에 해당하는 연간 353만 kW의 무공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저수용량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본다면 소양강댐(29억㎥) > 충주댐(27.5억㎥) > 대청댐(14.9억㎥) > 안동댐(12.5억㎥)이 되네요. 그러나 발전 용량으로 볼 때 충주댐은 41.2만kW로써 소양강댐 보다 2배나 커 우리나라 전력공급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답니다.아울러 국내에서 가장 높은 댐도 소양강댐으로써 높이가 123m이며, 2위는 주암조절지댐(99.9m), 3위는 충주댐(97.5m)입니다.-출처:티스토리
학문 /
음악
23.05.23
0
0
십자군 전쟁의 배경, 교전 세력, 영향 및 평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리상 발견의 촉진 십자군전쟁은 지리상의 발견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십자군전쟁을 통한 동서세계의 교접과 이를 통한 동방물산에 대한 수요의 증대와 항해기술의 발달, 그리고 세계관의 전환은 지리상의 발견을 이룩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학문 /
역사
23.05.23
0
0
구엘 공원은 언제 시민들이 다닐 수 있는 공원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건설 후원자인 구엘의 죽음 이후 1922년 바르셀로나 시청에서 구엘공원을 매입해 대중에게 개방했습니다. 현재 구엘공원은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과 함께 바르셀로나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매년 수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3
0
0
연복사 종이 만들어진 당시 시대 배경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나라 지배하에 들어가게 된 고려 후기에는 금강산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불교미술품이 제작됐다. 원나라의 순제(順帝)와 기황후(奇皇后)가 금강산 장안사(長安寺)를 중창하고 무진등(無盡燈)을 발원한 내용이 대표적이다. 또 금강산을 배경으로 고려 태조(太祖)가 담무갈보살(曇無竭菩薩)을 친견한 장면을 그린 노영(魯英)의 담무갈·지장보살 현신도(1307년)를 비롯하여 금강산에서 출토된 두 구의 금동보살좌상, 이성계(李成桂) 발원 사리기 등과 같이 라마 양식을 따른 불교미술품이 금강산 일대에서 제작됐다. 이는 원(元)과 고려 왕실이 금강산을 신성시 한 불교적 배경과 연관할 수 있겠다. -출처:불교신문
학문 /
역사
23.05.23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