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가우디의 미완성 건축물을 가우디 이후의 사람들이 어떻게 작업해 나갈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우디 살아생전엔 예수의 ‘탄생’과 ‘수난’, ‘영광’을 의미하는 세 개의 파사드 중 동쪽에 위치한 ‘탄생’ 부분만 완성할 수 있었다. ‘탄생의 파사드’를 제외한 외관은 후대의 건축가들이 가우디가 남긴 자료를 복원하고 재해석해 현대적으로 설계했다.-출처 전강용기자의 사진세상
학문 /
미술
23.05.23
0
0
과거시험은 합격등수마다 시작 직급이 같았나요 달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과 복시까지 합격한 사람 중에서 다시 대과를 보기 시작한다. 대과 초시에서 240명을 뽑으면 다시 복시에서 33명만 남기고 다 떨어뜨린다. 이 33명이 최종 임용되는 인물들이며, 이들이 다시 임금 앞에서 면접시험을 보는 전시를 봐서 상위 3명은 갑(甲)과, 4등부터 10등까지 을(乙)과, 11등부터 33등까지 병(丙)과를 받았다. 갑과 합격자는 정7품으로 출발하고 을과는 이보다 2등급 낮은 정8품으로, 다시 병과는 을과보다 2등급 낮은 정9품으로 벼슬을 시작했다.-출처:아시아경제
학문 /
역사
23.05.23
0
0
미술사에서 시대를 나누는 기준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술 제작에 있어서의 근본 태도나 입장을 주의(主義, ―ism)라고 말하며 주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사실주의(realism)와 이상주의(idealism)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사실주의는 객관적인 현상을 실재적인 현실로 받아들이는 태도인데 표현이나 가치 기준을 자연 그 자체에 두는 경우는 자연주의(naturalism)라 부른다. 이상주의는 사실주의나 자연주의와는 반대로 작가의 관념적 이상에 의하여 새로운 형식 · 형태로써 표현하려는 입장이며, 표현주의(expressionism), 추상주의(abstractism), 초현실주의(surrealism) 등은 모두 이상주의 안에 포함된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3
0
0
과거 조선시대에 '공명첩'이라는 것을 통해서 관직을 살수가 있었다는데 그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명첩은 국가에서 부유한 사람들에게 재물을 받고 형식상의 관직을 부여하기 위해 발급해주었던 ″이름이 비어 있는 임명장[空名帖]″이다. 공명첩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임명장과 달리 이름을 적는 난이 비어 있으며, 정3품 통정대부에 올려준다는 글만 보인다.-출처:국립중앙박물관
학문 /
역사
23.05.23
0
0
1964년 중앙정보부의 인민혁명당 사건은 그 내용이 어떻게 됩니까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4년 8월 국가변란을 기도한 대규모 지하조직인 인민혁명당(이하 인혁당)이 ‘북괴의 지령’을 받고 한일회담반대 학생데모를 ‘배후조종’한 것으로 중앙정보부에 의해 발표된 ‘인민혁명당사건’(1차 인혁당사건)과 1974년 4월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하 민청학련) 사건의 배후로 발표된 ‘인혁당재건위원회 사건’(2차 인혁당사건)을 말한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3
0
0
구한말 국학 운동 일환으로 역사와 국어, 국문 연구가 활성화 되었는데 그 전개 양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방 전후의 국학의 정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띄었다.첫째, 국학은 한국인의 자주적인 정신을 강조하였다. 즉, 국학의 정신은 이전의 중국문화를 숭상하여 자기문화를 비하하던 태도에서 벗어나고, 일제의 식민통치에서 생긴 문화적 자기상실감에서 벗어난 강한 민족적인 자기인식을 중시하는 것이었다. 나아가 동아시아문화권에서 차지하는 한국 문화의 위치와 성격을 정당하게 정립하려 하였다.둘째, 국학은 한국인의 새로운 가치관을 모색하고 설정하여 하였다. 이는 한국적인 고전이나 중국과 일본의 관계 문헌을 통해서 한국적인 것을 새롭게 이해하려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문화가치를 새롭게 정립시키려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한국의 특징적인 문화상을 부각시켰고, 한국의 문화적 전통은 계승할 가치가 있으며 또한 이를 계승하여야 한다는 가치관을 정립하였다.셋째, 현실의 비판과 저항정신이었다. 오랫동안 지속된 사대적이고 특권 신분층을 위한 체제와 이를 긍정적으로 옹호해온 의식은 민족사의 바른 전진을 저해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였다.여기서 민족사의 발전에 저해 요소가 되어온 것을 비판함과 동시에,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해서도 저항하여야 한다는 의식을 강조하였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3
0
0
과거 북한은 우리나라 여배우 최은희를 납치 하였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은희는 김정은을 만난 자리에서 손수건을 꺼내며 녹음기의 버튼을 눌렀다. 김정일은 “신 감독을 유인하려고 최 선생을 데려다 놨다. 내가 데려오라고 했다”며 “영화로 서양에 진출해야겠다. 신 감독에게 대한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김정일은 북한 영화의 발전을 위해 두 사람을 납치한 것이었다. ‘꼬꼬무’ 측은 40여 년 전 김정일의 육성이 담긴 실제 파일을 공개하며 충격을 자아냈다.-출처:이투데이
학문 /
역사
23.05.23
0
0
한국인으로서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을 등정한 사람은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8,848m)를 등정한 최초의 한국인이다. 청주상업고등학교를 거쳐 청주대학교를 수료한 뒤 한국전매공사 청주연초제조창에 근무하면서 대한산악연맹 충북연맹 이사를 지냈다. 1965년 충북산악회에 가입한 것을 시작으로 등산인으로서 출발하였다.특히, 겨울등반에 능하여 1977년 한국에베레스트원정대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1977년 9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에베레스트 정상에 오르는 데 성공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여덟번째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한 국가가 되었고, 포스트·몬순 기간의 등정으로는 세계 세번째라는 기록을 세웠다.1979년 (6,191m)원정대 대장으로 참가하여, 5월 29일 우리나라 최초로 정상을 정복하였으나 하산하다 웨스턴 리브 800m 빙벽에서 추락, 이일교(李壹敎)와 함께 현장에서 숨졌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3
0
0
고려시대 혜종은 어떤 왕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의 제2대 대왕. 묘호는 혜종(惠宗), 시호는 의공대왕(義恭大王). 휘는 무(武), 자는 승건(承乾). 후백제에서 태봉으로 전향한 나주인 장화왕후 오씨 소생으로, 태조의 장남이자 공인된 후계자였다.'무'(武)라는 휘처럼 대단한 전투력을 가진 군인이자 장군이었다. 자신을 시해하려고 침소에 날카로운 검을 들고 난입한 자객들을 검을 쓰지 않고 맨주먹만으로 때려잡은 일화가 있을 정도. 실제로 10대, 20대 시절엔 왕건을 따라 여러 전쟁터를 누비며 후삼국 통일에 많은 무공을 세우기도 했다.[4] 그는 왕건의 고려 창업과 통일 대업에 전공을 세웠던 굳센 무장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짧았던 재위 기간과 미약한 권력으로 인해 현대에 와서 나약한 임금이었다는 오해를 자주 받곤 한다.다만 태조 왕건의 적통을 이어받아 제위에 오른 혜종의 위상은 남다른 바가 있었으니 먼 후손인 예종과 공민왕이 제작한 <태묘악장>(太廟樂章)에서 혜종은 어느 제왕들보다 칭송을 받기도 했다. 세간의 평가와는 별개로 그의 성품은 전쟁영웅답게 호방하고 관대했으며 지적 능력도 갖췄다고 하지만 본인을 시해하려는 암살 시도들이 시도 때도 없이 일어나자 이후 성격이 극도로 날카롭고 예민해지면서 조울증이 의심되는 증세도 보였다고 한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3
0
0
박정희 대통령이 단행한 유신헌법은 그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2년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은 대통령 특별선언을 발표해 국회 해산, 정당 및 정치활동의 중지 등 헌법의 일부 기능을 정지시키고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이어 10월 27일, ‘조국의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새 헌법개정안을 공고했다. 국민투표를 거쳐 확정된 이른바 유신헌법(1972.12.27)에 의해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법」이 제정되었고, 이에 의거한 통일주체국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는 박정희가 제8대 대통령으로 재차 당선되었다. 이후 1979년 10월까지 근 7년간 이어진 유신체제는 민주주의의 틀을 완전히 벗어난 ‘한국 민주주의의 최대 암흑기’로 평가된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3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