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지하철역사도 오래되었다고 하는데 최초의 지하철은 언제 어느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수도권 교통난 해소 및 대도시 교통수단체계 조정에서 비롯된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은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 청량리)이다. 1971년 4월 12일 착공하여 1974년 8월 15일 개통하였는데, 이는 세계에서 22번째로 지어진 지하철 노선이다.
학문 /
역사
23.01.29
0
0
우리나라 김씨가 많아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본격적으로 김씨가 많아지기시작한 것은 조선후기에 들어오면서족보를 사고 파는게 유행이되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9
0
0
흑사병하면 떠오르는 새부리 가면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중세 유럽에서 흑사병이 유행할 때 의사들이 사용했던 마스크라고 합니다. 당시 병이 공기를 통해 감염된다고 믿은 의사들은 흑사병의 전염을 우려해 새부리 모양의 가면을 쓰고, 가죽 옷과 가죽 모자를 써서 공기 유입을 최소화했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9
0
0
붉은색으로 이름을 쓰지말라는 것은 어디서 유래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붉은색으로 이름을 쓰지않는 것은6.25 전쟁 당시 사망한 사람들을 확인할 때, 명부에 붉은색으로 이름을 적거나 붉은색으로 줄을 그었다고 하여, 붉은색으로 이름을 쓰는 것을 불길한 징조로 여겼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9
0
0
신혼여행의 문화는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신혼여행이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습니다. 경제적으로 풍족한 양반가라고 해도 신혼여행을 따로 가거나 하지 않고 첫날밤은 주로 신부집에서 보냈습니다. 이런 이유로 ‘장가간다’라는 말이 나온 것이다. 즉, 처갓집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것으로 신혼여행을 대신했습니다.처음 신혼여행을 거론한 사람은조선 최초의 여성화가나혜석 화백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9
0
0
미국의 총기 소지에 대한 헌법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미국의 수정헌법 2조에는 "잘 규율된 민병대는 자유를 지닌 주(州)의 안보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는 미국 국민의 권리는 침해받을 수 없다"고 규정돼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9
0
0
위화도회군은 이성계에게 어떤의미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결국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고려의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조선 건국의 핵심이 되었던 신진 세력도 이 사건을 계기로 권력의 중심부에 진입하게 되었다. 이성계와신진 사대부 세력은 위화도 회군을 통해 권력을 장악함으로써 조선 건국을 위한 정치적 교두보를 확보하게 되었다.-출처: 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1.29
0
0
고려말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을 감행하였는데 위화도는 지금의 어느지역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광복 당시 행정 구역으로는 평안북도 의주군 위화면이다. 북한 행정 구역으로는 신의주시에 속하며, 면적은 12.2㎢이다. 서울특별시의 여의도가 둔치를 포함한 면적이 4.5㎢임을 감안하면, 위화도가 작은 하중도는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휴전선 이북 지역에서 위화도보다 넓은 섬은 비단섬과 신미도, 초도 셋뿐이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1.29
0
0
현대 미술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현대 미술》은 회화, 조각, 드로잉, 판화, 콜라주, 디지털 아트, 사진, 비디오 아트, 설치 예술, 토지 예술, 공공 미술과 공연 행위 예술 등 다양한 유형으로 표현 됩니다.
학문 /
미술
23.01.29
0
0
창을 할때 옆에서 북을치는 사람을 고수라하는데 고수의 의미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전통음악을 연주할 때 북을 치는 음악인. 일명 '북재비'라고도 한다. 흔히 판소리나 산조에서 장단을 치는 사람이다. 산조에는 주로 장구를 사용하고 판소리에는 소리북을 사용한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음악
23.01.29
0
0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