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고 세상에 알렸을 때도 한글이라고 불리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글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반포되기 전에는 정음(正音), 또는 언문(諺文)이라고 불렀습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요즘은 토요일 일요일 대체 공휴일까지 해서 공휴일이 너무 많다고 생각하지 않으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사람은 노동을 하기위해 태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하지만 휴식 또한 중요합니다.차츰차츰 노동과 휴식을적절한 비율로 맞춰가는 과정이아닐까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삼국시대나 조선시대 등 모든 시대때 전쟁 중에 악기를 사용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전쟁중 북을 두드리는것은전술적인 전략을 아군에게 전달하거나 군사의 사기를 높이는역할을 하였습니다.
학문 /
음악
22.12.15
0
0
암행어사는 조건은 무엇이고 어떻게 뽑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실질적 암행어사는 중종 4년1509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봅니다.주로 당하관 관리 가운데 왕이 임의로 임명했지만 당상관을임명하는 경우도 있었답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우리나라 판소리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판소리의 유래는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무당이 굿을 할때 늘어놓는 이야기란 설과 광대가평민을 대상으로 풀어놓는 이야기란설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2.12.15
0
0
나라와 나라간에 전쟁은 왜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전쟁이란 이념의 차이가 일으키는 분쟁이기도 하지만 결국 자국의 이익을 도모하기위한다툼이 아닐까합니다.존립의 목적도 있기도 하고 말이죠.우호적 해결책이 있다면 전쟁은일어나지 않겠죠.
학문 /
역사
22.12.15
0
0
나귀와 당나귀는 다른 생명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원래 '나귀'로 재래종 나귀보다중국 당나라에서 들여온 나귀가몸집도 크고 힘이 세 수요가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당나라에서들여온 나귀를 구분해 당나귀라 부르던것이 굳어져 일반화되었다 합니다.
학문 /
미술
22.12.15
0
0
세대간의 갈등이 요즘 심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세대갈등은다를게 없겠지요. 단지 이해의폭이 지금과는 다르지 않을까요?예전에는 인지상정의 너그러움이더했을테니까요. 지금의 우리는예전의 마음을 잊지말아야할것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용의 꼬리보다는 뱀의 머리가 낫다라는 표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창조성이 강한존재입니다.비록 거창하지는 않지만 자기의 주장으로 만든 결과물을이루려고 끌려가는 용의 꼬리보다주도하는 뱀의 머리가 되고자하는것입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처음 피아노를 발명한 사람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698~1700년경 사이에크리스포토리가 발명한 것으로추정되며 피아노 포르테라고 불리다가 나중에 피아노라불렀습니다.
학문 /
음악
22.12.15
0
0
928
929
930
931
932
933
934
935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