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자격증
학문
5v1a 어댑터와 동봉되어 있는 케이블만 사용해야하는 미용기기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5v1a 저전류케이블 판매하고 구입할수있습니다. 미용기계및 정밀 기기들이 고전류보다 저전류 케이블을 사용하는 기기들이 있습니다. 쿠팡이나 인터넷에 검색하면 쉽게 찾을수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시간 전
0
0
핸드폰을 계속 켜 두는 것과 쓸때마다 키는것과 어떤게 더 휴댜폰 관리에 좋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게임용폰으로 사용하시는거라면 계속 켜두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 스마트폰은 항상 켜져있는 상태기준으로 제작하여 판매하고있습니다. 즉 휴대폰을 끄지마시고 절전모드로하여 켜두시는것이 시스템이 안정적일것 같아요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0
호신용 전기충격기의 전압은 어느정도로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실제 인체에 전달되는 전압 전류는 훨씬 낮고 짧은 펄스로 작동 합니다. 이런 효과로 몇초 몇분의 시간 확보가 가능하지만 효과는 불확실하며 건강 위험 법적문제도있으므로 무작정 의존하시는것은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5.0
1명 평가
0
0
AI가 발전되어서 산업이나 일자리에 영향을 줄꺼 같은데 우리는 어떻게 대비를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ai가 사람을 대체하는게 아니라 ai를 다루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을 대체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는 ai를 관리할수 있고 함께 일할수 있는사람이 되는게 우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0
전기는 왜 먼 거리를 이동하면 많은 부분이 사라지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전선의 저항 떄문에 드렇습니다. 전선에도 저항이 있습니다 구리나 알루미늄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저항이 있습니다. 이 저항은 열로 바뀌어 전력손실을 일으킵니다. 그리고 전류가 많아지거나 전선의 저항이 크면 큰수록 손실이 커져서 그래서 고전압으로 송전을 하는것입니다. 고전압으로 송전을 해야 전력손실을 줄일수 있기 떄문이죠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0
혈압계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가정혈압계는 이미 임상 참고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되어 있습니다. 나아가 앞으로는 커프없는 웨어러블 ai기반 분석 24시간 모니터링 등 원격진료연동이 될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도구로 필수도구가 될가능성이 높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0.03
5.0
2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모든 전자기기는 처음 작동할때 전력이 가장 많이 사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모든 전자기기는 켤때가 가장 전력 소모가 크다는 말은 그럴수도 아닐수도 있습니다. 일단 모터 대형 콘덴서가 있는 기기들은 켤때 가장 큰 전류를 보냅니다. 가장 가까운예로 에어컨이 있죠! 가열기 같은경우 동작중에 최대 전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온풍기 같은것을 예로 들수 있겟제뇨 즉 기기의 구조와 용도에 따라 켤때와 작동중에 최대전력이 되는 시기가 다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6
5.0
1명 평가
0
0
전기히터가 일정 온도를 넘어가면 자동으로 꺼지는데, 내부적으로 어떤 안전 회로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전기히터는 일정온도 올라가면 내부회로에서 차단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온도퓨즈는 온도가 일정 이상 올라가면 퓨즈가 끊여서 전류를 차단 하여 작동이 되지않도록합니다. 서모스탯이라고 해서 자동적으로 일정온도시 차단되었다가 자시 일정온도 내려가면 다시 켜지는 자동제어 기능도 있습니다. 히터는 내부를 따뜻하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위험한 기기입니다 그렇기에 안전장치는 무조건 있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6
5.0
1명 평가
0
0
스마트 플러그는 사용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꺼지고 원격으로도 끌수 있다고하는데 그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내부에 타이머가 있는것이 아니라 릴레이라는 부품이 있습니다. 전기적 신호를 주면 릴레이가 닫혀서 플러그를 사용할수있게 되고 열리면 전기를 사용할수 없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그리고 안에 통신모듈이 있어서 휴대폰과 연결하여 전력사용량 일일 사용량 등등을 알수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6
0
0
선의 굵기가 얇으면 열이 더 많이나나여?? 아니면 굵으면 더 많은 열이나나여??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어떤 부하를 사용하고 어느정도 전류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선이 굵으면 굵을수록 열발생이 낮고 얇으면 어느정도 전류에도 열이 발생합니다. 이는 p=i^2r 로 이해할수 있는데 같은 전류가 흘렀을시 저항이 커질수록 발열이 심해진다는 뜻입니다. 그럼 저항은 뭐야 바로 r=pl/a 입니다. 단면적이 크면클수록 저항이 낮고 낮을수록 저항이 커집니다. 그렇기에 굵을수록 열발생이 낮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9.26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