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겨울이 되면 왜 내부에서 문을 만지것보다 외부에서 문을 만지는게 더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나요??

요즘 갑자기 추워져서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는데요. 신기한게 내부에서 문을 만지것보다 외부에서 문을 만지는게 더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나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외부에서는 내부보다 건조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전도되어 빠져나가지 못해 잘 쌓입니다.

    공기중이나 여러 경로로 습도가 높으면 방전이 되는데 건조한 경우에는 어렵죠.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외부의 날씨가 더 건조하고 그로인해서 전자가 더 많이 쌓이기 때문에 더 그런것입니다. 내부에서는 입김이나 가습기 가타 등등 수증기가 있어서 덜 건조해서 그럴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정전기는 건조할수록 잘일어납니다. 즉 내부보다 외부가 더 건조하죠 바깥 습도는 20-30%밖에 되지 않습니다. 건조하면 공기중의수분이 적어서 전기가 공기중으로 새어나가지못하고 몸에 축적이됩니다. 바깥에서 움직일수록 축적이 되고 이때 금속을 만지면 정전기가 일어나는 것이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겨울에 외부에서 문을 만질 때 정전기가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겨울철 외부 공기가 더 건조하기 때문입니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공기 중 수분이 적어 정전기가 쉽게 사라지지 않고 몸이나 물체에 쌓이게 됩니다. 반면, 실내는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아 정전기 발생이 적습니다. 즉, 외부의 낮은 습도와 건조한 공기 때문에 마찰 시 전자가 쉽게 이동해 정전기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또한, 피부가 건조할수록 정전기 발생이 더 잘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외부는 겨울철에 습도가 매우 낮아 공기와 표면이 더 쉽게 건조되기 때문에 몸에 정전기가 더 많이 축적되고 금속 문을 만질 때 한번에 방번되어 강하게 느껴집니다 반면 실내는 난방을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아 정전기 축적이 덜 하고 방전도 약하게 일어나 덜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