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조선 시대부터 지금까지 전해져오는 문화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조선 시대부터 내려오는 문화라 하면 바로 법 입니다. 동일한 법이 지금도 존재한다면 그건 문화가 이어져 오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고조선의 법률로 8조법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 다음의 3조문만 전해지고 있습니다. ①다른 사람을 죽이면 죽음으로 배상한다. ②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면 곡물로 배상한다. ③남의 물건을 훔친 사람은 노비로 삼는데, 노비가 되지 않으려면 1인당 50만을 내야 한다.이 세 조문은 사람의 신체나 재산에 대한 침탈을 가장 중요한 죄로 규정하였는데, 이는 이는 현재 법률 체제에서 흔히 보이는 모습입니다. 물론 고조선 시대 훨씬 처벌이 강력하였으나 지금도 법률로 사유재산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져있기에 이런 지점에서 문화가 이어져 오는 증거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8
0
0
왜 우리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실제 속도로 느끼지 못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로 속도는 빠르지만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지구의 중력때문에 느끼지 못합니다. 결론만 말씀드리면 지구 상의 모든 물체도 나와 똑같은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가령 창문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있고, 그 엘리베이터의 줄이 끊어져 자유낙하하게 되었다고 합시다.그럼 분명히 엘리베이터 안의 모든 물체는 지구 중력에 의해 중력가속도 9.8m/s^2로 가속운동할겁니다. 하지만 그 안의 사람들은 아무도 자기가 그런 속도로 가속운동하고 있다는 걸을 알 수가 없습니다. 왜냐면 엘리베이터 안의 모든 사람과 물체가 다 같이 똑같은 가속도로 운동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심지어 자유낙하하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물을 엎질러도 물이 쏟아지지 않습니다. 떨어지는 물과 같은 속도로 자기도 떨어지니까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28
0
0
웹툰 원작으로 만들어지는 드라마는 원자작에게 비용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물론 입니다. 보통 원작 웹툰이 드라마나 영화, 연극 등으로 만들어지게 되면 당연하게도 원작자에게 허락을 구하고 일정 금액을 지불하게 됩니다. 이런걸 보통 판권이라고 하는데 판권의 가격은 원작 웹툰의 인기도 등에 따라 틀려지게 됩니다. 과거 일본에서 만화를 원작으로 영화, 게임, 드라마, 굿즈 등을 만들어 판매하는 전략을 원소스 멀티 유즈(OSMU) 라고 부르게 되면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음악
23.08.28
0
0
우리나라 독립운동가 중에 알고 싶은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타까운 답변이 되겠지만 실제로 독립운동가 가운데 등록되신 분 보단 등록안된, 소위 이름없는 영웅들은 셀수 없이 많을거라 생각됩니다. 일제 치하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본에 대항하여 활동을 하였는데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 열사는 유명하고 누구나 알 수 있지만 안중근이 활동하기 위해 도움 준 많은 사람들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데 그분들은 독립운동가가 아닐까요? 안타깝지만 그런 분들을 발굴 할 수 있는 사료들조차 많이 남아있지 않기에 우리는 8/15 광복절에 당시 독립을 위해 힘썼던 많은 분들을 기리는 자세가 필요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8
0
0
조선시대에 승병이 언제 활약을 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승병은 조선시대 이외에 삼국시대, 고려시대에도 활약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숭유억불 정책으로 불교가 고려시대 대비 많은 억압을 받아 승려의 수는 부족한 상태 였습니다. 하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당시에 휴정대사, 유정대사 같은 수많은 고승들이 승병을 조직하여 일본과 맞서싸운 기록이 남아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8
0
0
그리스로마 신화는 언제 누구에의해 쓰여진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리스 로마신화는 한명의 개인이 집필한 내용이 아닙니다. 말그대로 신화이기때문에 고대 그리스 부터 시작하여 헬레니즘 시대, 로마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입에서 입으로, 글에서 글로 전해져 내려오면서 많은 각색, 희곡 들이 더해져 내용이 풍부해졌습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내용도 아예 없다고 단정할순 없는게 시대를 흘러오면서 사실을 기반으로 한 내용들도 포함이 되어졌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이긴 하지만 거의 그리스 신화 내용만 있고 로마신화의 내용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8
0
0
자전거 바람 넣는 방법 좀 가르쳐 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거 바람을 바람을 넣으실때 바퀴의 벨브 모양별로 바람넣는 기구의 벨브 모양도 틀린데 해당 내용은 확인하셨는지요?자전거 바퀴의 벨브와, 바람넘는 펌프와 모양이 맞아서 바람이 들어가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물리
23.08.28
0
0
비행기가 하늘에 날아가는 것은 어떤 원리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가 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지구의 중력, 비행기 엔진에서 나오는 추진력, 비행기가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막는 저항력, 마지막으로 비행기가 뜨는데 제일 중요한 양력 이렇게 4가지 힘이 작용 합니다. 비행기 엔진에서 나오는 추진력은 비행기가 앞쪽으로 빠르게 나가도록 힘을 주는데요, 이렇게 엔진의 힘을 받아 비행기가 앞으로 움직이면, 날개로 닿는 공기의 흐름도 빨라지게 됩니다. 이상태에서 계속 추진력을 받아 어느정도 빠른 속도가 되면 비행기가 공중으로 뜰수 있을 정도로 양력이 강해지게 되고 이 힘들이 서로 작용하면서 비행기가 하늘위로 날 수 있게 됩니다.비행기가 하늘을 날때 날개를 통과하는 한 갈래의 공기는 날개 위 곡면에 따라 흐르고, 다른 하나는 날개에 부딪혀 날개 아래쪽으로 꺾이게 되는 됩니다. 이때 날개와 꺾인 공기는 작용 반작용 법칙인 뉴턴의 제3법칙에 의해 상호작용을 하여 비행기를 공중으로 띄우는 힘인 양력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 양력으로 비행기가 하늘을 날을수 있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27
0
0
엄청나게 비싸게 팔리는 작품들은 공통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는 김찬우 입니다.미술작품의 가격에 대해서 가장 쉽게 설명하는 방법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요즘 신발 리셀 시장을 예로 들어보면 희소할수록 가격이 비싼것과 동일합니다. 작가가 현재 세상에 존재하지 않아 더이상의 작품이 만들어지지 않으며 미술사적으로 크게 영향을 끼친 작가일수록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시는 피카소의 경우 현재 생존해 있지 않고 미술사적으로 입체파 라는 양식을 만들어내어 위으 조건을 만족시키는데요, 생존당시 작품수가 보통작가들보다 훨씬 많은 3만여점이나 되다보니 작품에 따라 가격차이가 큽니다. 하지만 고흐의 경우도 현재 생존해 있지 않고 후기 인상주의의 대표로써 위의 조건들을 만족하는데요 남긴 작품수가 피카소보다 적은 1100점이라 가격은 상대적으로 피카소보다 비싸게 형성이 됩니다.미술작품의 가격이 다른 물건들과 다르게 측정되는 것 같지만 인기와 관심, 희소성 등 수요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건 동일합니다. 하지만 그 시장이 다른 시장들보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주로 경매를 통해 진행되다보니 예상가격과 낙찰가격 의 차이가 크게 벌어지고 더 비싸게 보이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미술
23.08.27
0
0
우리나라의 전통악기의 종류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악기의 진동체의 형태와 그 연주법에 의한 분류로 서양악기와 같이 현악기·관악기·타악기로 나눌수 있습니다.현악기(絃樂器)는 통에 명주실 혹은 철사를 매어 뜯거나 켜는 악기이다. 연주법에 따라서 탄현악기·찰현악기·타현악기로 나뉩니다탄현악기(彈絃樂器)는 손가락이나 술대로 줄을 뜯는 현악기이다. 거문고·가야금·향비파·당비파·월금·금·슬·공후·대쟁 등이 있습니다찰현악기(擦絃樂器)는 막대기나 활에 송진을 발라서 줄을 그어 소리내는 현악기로, 해금·아쟁 등이 있습니다타현악기(打絃樂器)는 채로 줄을 쳐서 내는 현악기로, 양금 등이 있습니다관악기(管樂器)는 관에 입김을 넣거나 서(혀, reed)를 꽂아 부는 악기로 목관악기·금관악기로 나뉘고, 목관악기는 홑서악기·겹서악기·무황악기(無簧樂器)로 나뉘는데 한국악기에는 홑서악기는 없습니다. 무황악기는 횡취악기·종취악기로 나뉩니다겹서악기(複簧樂器)는 겹서(혀)를 꽂아 부는 악기로, 향피리·세피리·당피리·태평소 등이 있습니다횡취악기(橫吹樂器)는 가로 부는 악기로, 대금·중금·당적·지 등이 있습니다종취악기(縱吹樂器)는 세로 부는 악기로, 단소·통소·소·약·적·생황 등이 있습니다생황은 황엽 또는 금엽이라 불리는 금속 떨판을 가지고 있는데, 혀라고도 한다. 따라서 생황은 홑서악기로 분류됩니다금관악기(金管樂器)는 쇠붙이로 된 긴 관에 달린 취구에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내는 악기로, 나발 등이 있습니다타악기는 진동체를 채로 쳐서 소리내는 악기로 음높이가 없는 무율타악기와 음높이가 있는 유율타악기가 있습니다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는 음높이가 일정하거나 여러 음을 내는 타악기로, 편종·편경·방향·운라 등이 있습니다무율타악기(無律打樂器)는 음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타악기로, 꽹과리·징·바라·장구·북·소고·좌고·진고·용고 등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음악
23.08.27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