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행위예술의 시작은 어디인가요? 그리고 예술의 영역에 어떻게 들어갈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는 김찬우 입니다.행위예술로 한국에 번역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 용어는퍼포먼스 아트 로 21세기에 시작된 미술 장르 입니다.보통 작품을 만들때 작품별로 정해진 의미가 있었습니다.회화는 회화 다워야 하고 조각은 조각다워야 하고 무용은 무용다워야 했습니다.하지만 이런 고정관념에 불편함을 느끼고 이러한 개념에 도전하기 시작한게 바로회화가 꼭 평면에만 그려져야 되나, 행위 그자체 도 예술이 되지 않겠냐 는 생각을 바탕으로 시작된것이 바로퍼포먼스 아트 입니다.행위예술, 전위예술, 해프닝 등으로 불리우고 있는데백남준 선생님이 하시던 퍼포먼스들도 행위예술 범주에 포함이 됩니다.시작이 기존 서양의 이성중심, 고정관념에 반하여 시작한 운동이라 아주 급직전으로 표현하는 미술장르가행위예술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처음에는 쉬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 계속 반복이 되고 사람들에게 익숙해지게 되면서 최초의 그 신선함은지금 많이 사라지게 되었죠, 그 이후에 미술관안으로, 미술계로 포함이 되면서 이젠 미술 장르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그럼 도움이 되었기 빌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8.07
0
0
우리나라 최초자동차 시발자동차의 어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욕같아 보일 순 있겠지만 시발 자동차는 시발 자동차 주식회사에서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자동차 입니다.한자로 시발(始發) 입니다. 비로소 시, 필발 자로써 차 따위가 맨 처음 떠남 / 일이 처음 시작됨 / 증세가 처음 생김 이란 의미로써'처음' 이란 의미를 담고 있는 이름 입니다.답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옛날 조선시대에는 살인죄를 어떻게 다루엇나여??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법을 통해 죄를 다루었습니다.조선시대의 인명에 관한 죄는 대명률에 모살, 고살, 희살, 오살, 과실살, 위핍치사 등 7살이 규정되어 있다. 모살은 사전에 세운 살해 계획에 따라 사람을 살해한 경우이고, 고살은 고의로 사람을 살해한 경우이다. 모살과 고살의 형벌은 몸통이 분리되는 참수형으로 같다. 투구살은 다투면서 싸우다고 치고 때려서 사람을 죽게 한 경우로 형벌은 교형인 사형이다. 희살은 처음에는 희롱만 해대었으나 나중에 싸움으로 번져 사람을 살해한 경우이고 오살은 서로다투면서 때리다가 곁에 있는 사람을 살해하거나 모살이나 고살하려다 옆의 사람을 잘못 살해한 경우이다. 투구살의 형벌은 교형인 사형이고, 희살과 오살의 형벌은 투구살의 예에 의하므로 교형인 사형이나, 오살 중 모살 또는 고살 중 오살한 경우는 참수형인 사형이다. 과실살은 투구살은 준용으로 인하여 장100 및 유배형이다. 일반적 과실살 이외 특수한 과실범도 있다. 위핍치사는 상대방을 협박하여 상대방이 자살하게 하는 죄로 원인이 절도나 강간인 경우 참수형이다. 조선시대의 인명에 관한 죄와 형벌의 원칙은 죄형법정주의, 엄형주의라 할 수 있다"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01799"위의 내용을 보면 과실살을 제외하고 사람을 살해하게 되면 전부 사형을 통해 집행을 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답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일본이 메이지유신이후 급성장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메이지 유신을 일본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본의 사건 중 하나입니다.1868년 일본에서 40년간 진행된 혁명적인 사건 이었습니다.정말 간단하게 핵심만 요약을 하면 메이지유신 이전 막부 라 불리는 군부정치 하에 있던 일본이 메이지 유신이을 통해천황 중심인 중앙집권체제를 설립하고 정치, 경제, 문화 전분야 걸쳐 근대화를 일으킨 개혁 운동으로 요약 할 수있겠습니다.일본이 선진국으로 나아가게된 계기가 된 사건으로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잘되면 내덕 안되면 조상탓, 말은 왜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잘되면 내덕 안되면 조상탓 이란 말은일이 잘되거나 못되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만 해석하는 어찌보면 이기적인 마음을 표현한 옛말 입니다.부정적인 모든걸 다른 사람 탓으로 돌려라 라는 의미가 아니라남을 탓하는 걸 경계 하라 는 조상의 지혜로 해석해야 함이 옳을 것 입니다.답변이 되셨길 빌며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천자문'이라는 것은 언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천자문은 조선시대 서예가 한호가 선조의 명으로 1583년에 간행한 교재,즉 한자 학습서 입니다.지속적으로 개간이 되었고 '천자문' 은 학자들의 한자와 글씨 학습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답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패드립이 시작된 것이 일본에서 일제시대때 전파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패드립이란 단어자체는 패륜+드립의 합성어로 2000년대 한국에서 만들어진 단어이지만부모 가족, 친척들을 비하의 표현으로 삼은 모욕성 발언은 그 역사가 아주 오래 되었습니다.인류가 집단 생활을 하는 사회적 동물로써 가족의 존재가 완성된 이후로 부모 형제에 대한 모욕은 가장 큰 모욕중 하나였습니다.심지어 고대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 문명의 쐐기문자나 상형문자에도 부모에 대한 모욕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언어가 존재했을 때부터 시작된 아주아주 역사가 깊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쟁기질 하는 곳에 비가 내린다."라는 표현을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쟁기질 하는 곳에 비가 내린다는 동일한 문자의 속담은 찾기가 어렵습니다.필요한 곳에, 준비된 곳에 비가 내린다는 의미로 '진정 필요로 하고 마음으로 요구를 해야 원하는 바가 이루어진다' 라는 의미로 빗대어 누군가가 말한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8.07
0
0
인도의 굽타 양식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의 굽타 양식은 사실 미술 양식으로 정확하게 적립된 것은 아닌것으로 보입니다.기원전 4~6세기가 인도 북부의 굽타제국에서 발생했던 미술양식을 통칭 하는 것으로써오랜기간 하나의 양식으로 유지되었다기보다 당시 불상을 제작하는 불교예술 작품들을 모아굽타양식 으로 이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8.07
0
0
copycat이라는 단어는 어떻게 나오게 된 것일까여?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피캣의 단어의 유래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문서화 된 것은 없습니다.크게 두가지 설이 있는데요첫번째는 16세기 영국에서 경멸적인 사람을 일컬어 고양이 cat 이라고 불렀는데이에 복사 copy 라는 단어가 더해져 모방하는 사람을 비난 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설도 있고두번째는 새끼고양이가 어미 고양이를 따라하는 것에 빗대어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약간은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요즘엔 패스트 팔로어 fast follower 전략의 하나로써 개발을 위해 필요악인 의미도 포함하고 있습니다.그럼 답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