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한국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서 금리 인하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결정한다면 한국은 기준금리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많은 투자자들은 금리가 높은 쪽의 국가를 선택하여 투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은 금리가 낮고 한국이 높다면 한국 쪽으로 달러가 유입될 가능성이 큽니다.한국에 달러가 넘쳐 나면 달러는 값이 싸지게 됩니다. 이는 환율의 하락을 의미합니다.한국은 수출로 국가 수입을 버는 나라입니다. 환율의 하락은 원화 강세를 말하는 것이기에, 수출에는 악영향을 미칩니다.그렇기에 한국은 미국 금리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09.17
0
0
한창 엠지세대들의 유행이였던 욜로는 정확히 무슨 개념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욜로'는 'You Only Live Once'의 약자입니다. '인생은 한 번뿐이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미래를 위해 저축하거나 참기보다는 현재의 행복을 위해 소비하고 경험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말합니다.평소 가보고 싶었던 곳을 여행하며 경험을 하고 추억을 만드는 일자신이 좋아하는 취미 활동을 하는 일외국어 학습, 악기 배우기, 요가 등 자기 개발을 위해 소비하는 것콘서트, 여행, 체험 프로그램 등으로 경험을 하는 것 등의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욜로'를 실천하는 사람들은현재, 경험을 중시하고,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17
0
0
각 국가 경제수준을 이야기할때 나오는 지니계수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지니계수'는 한 나라 국민들의 소득 분포가 얼마나 불평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지니계수'가 높을 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니계수'는 사회 불안, 빈곤, 계층 간 갈등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보여줍니다.이것을 참고하여 소득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게 됩니다.'지니계수'를 통해 한 나라의 국민 삶의 질을 볼 수 있어 중요한 지표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17
0
0
우리나라 코스닥 이 주요국 들 중에서 수익률 꼴찌라는데 도대체 원인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 주식 시장은 세계에서 몇 프로 되지 않는 아주 작은 시장입니다.투자자들이 몰려야 주식 시장이 활성화 되는 데 아직 까지는 많은 사람들이 몰리지 않는 시장입니다.그 이유로 낮은 배당금은 항상 문제로 거론되고 있습니다.코로나19 때 시가총액이 몇 배로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주들에게 특별 배당을 한 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배당을 통해 주주에게 환원해 주는 보상 시스템의 붕괴는 한국 주식시장을 가로 막고 있습니다. 분명, 잠재력이 많은 기업들이 많지만, 주주들에게 보상을 주지 않는 시스템 속에서는 세계적인 시장이 되기 쉽지 않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9.17
4.0
1명 평가
0
0
틱톡 라이트 가입 시켜서 10일 연속 출석체크만 하면 리워드가 크네요. 이거 왜 이렇게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신규 진입하는 사업은 가장 어려운 것이 사람을 모으는 일입니다.플랫폼 회사는 사람을 모아서 운영을 하는 사업입니다.사람이 없으면 플랫폼 회사는 운영이 힘들어 집니다.리워드를 크게 해서라도 우선 고객으로 만들면,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고 보는 겁니다.고객에게 리워드를 주고, 충성 고객으로 만드는 과정인 것입니다.분명, 이중에서는 리워드의 수익만 얻으려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다수는 한번이라도 플랫폼을 이용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9.17
0
0
FOMC 위원들은 회의 시작 전에 들어온 정보 위주로 결정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FOMC 회의는 회의 시작 전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됩니다.하지만 회의 중에 실시간으로 정보가 발생한다면 이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집니다.회의 시간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일어나는 실시간 데이터는 최대한 반영하려고 노력합니다. FOMC 회의 결과는 금리 인상 및 인하, 향후 경제 전망에 대한 중요한 지표이기에 정확한 데이터를 반영하려고 노력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17
0
0
보이지 않는 손은 어떤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은 개인의 이기적인 경제 활동이 마치 보이지 않은 손에 이끌리듯 사회 전체의 이익으로 연결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마치 시장이 스스로 조절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수요와 공급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어떤 제품의 수요가 늘면, 그 제품을 많은 사람들이 찾으니 가격이 올라갑니다.제품의 수요가 늘어서 공급을 늘리면 많은 사람들에게 공급할 수 있기에 가격은 다시 내려갑니다. 이렇게 누구도 개입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시장이 스스로 조절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17
0
0
지속가능 발전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기업은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입니다. 이는 지속가능발전에 큰 책임을 지니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은 이윤 추구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합니다.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합니다.취약 계층 지원, 지역 사회 개발 등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수행합니다.윤리적인 경영 활동을 통해 투명성을 확보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9.17
0
0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가 이루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하 한다는 것은 정확한 발표가 나올 때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하를 하여 보게 될 효과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경기 부흥입니다.어느 정도의 금리 인하가 될 지는 모르겠지만, 경기가 활성화 되어야 기업의 투자가 늘고, 가계의 소비가 늘리 때문입니다. 이는 주식시장에도 활력을 불 수 있고, 고용률에도 영향을 미칩니다.만약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지 않으면 경기 부흥에는 빨간불이 켜질 겁니다. 현재 금리 인하를 거론하는 것은 그만큼 미국 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는 미국 투자자의 달러화가 우리나라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 높은 금리를 찾아 투자자들은 자금을 이동시키기 때문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17
0
0
요즘 김값이 많이 올라갔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해양 오염 등으로 김 양식의 생산량이 감소하였습니다.특히 주요 김 생산국인 일본의 김 생산량이 크게 줄어 들면서 전 세계적인 김 공급 부족 현상이 오게 됩니다.일본의 전 세계 김 공급 부족 현상이 오게 되니, 자연스럽게 한국의 김 수출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그만큼 국내에 김 공급량이 줄어들게 되고, 김 값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김은 기후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변동성이 너무 큽니다. 김테크 같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변동성이 최대한 작은 것이 좋은데, 기후 위기는 예측 밖의 일이기 때문에 위험성이 클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17
0
0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