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추석 연휴에 경제 이야기들 많이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추석 연휴에는 정치 및 경제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서로 성향이 안 맞는 분들끼리 이야기를 하면 다투기도 하구요. 맞는 분들끼리는 더 열띤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경제는 서로 힘들다는 얘기를 많이 하곤 합니다. 우리가 느끼는 소비자물가는 더 와닿기 때문입니다. 명절에는 야채, 과일, 육류 등등 많은 먹거리를 구입하기에 체감이 확 오기도 하구요. 전문적인 논리를 펼치는 경우도 있고, 뉴스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할 때도 있습니다. 감정적인 대화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14
0
0
인구절벽이 가속화될 경우 사회복지 및 연금제도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인구절벽이 실현된다면 지금의 국민연금 제도는 완전 싹 바꿔야 합니다. 우리는 지금도 국민연금을 낸 금액보다 더 많이 수령하는 제도입니다.예를 들어, 한 달에 20만 원씩 30년을 납부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일년에 240만 원, 30년 이면 7200만 원 입니다.65세 부터 10년 동안 국민연금을 100만 원씩 지급받는다고 가정하면 일 년에 1200만 원 10년 이면 1억 2천 입니다.지금의 국민연금은 피라미드 형태의 인구구조 일 때 가능한 제도입니다. 저출산 일 때는 다른 방식으로 바뀌어야 합니다.지금 국민연금은 우리보다 윗세대에게 돈을 주는 구조입니다. 저출산이면 우리가 받을 때쯤 돈을 주는 아랫 세대는 엄청난 짐을 지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연금 개혁은 인구절벽하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정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4.09.14
0
0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추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금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집중해야 합니다. 아이를 낳는 다는 것은 지금 내가 살기 좋다고 판단될 때, 아기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라고 생각될 때 입니다.지금 우리는 과연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사람이 행복한 가를 집중해서 봐야 합니다. 아이를 무조건 낳으면 금전적인 것으로 보조하는 것보다, 살고 있는 사람이 더 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어야 합니다.취업이 잘 되고, 인간답게 일을 할 수 있는 환경, 휴일이 보장되고, 억압되지 않는 삶, 모든 것의 경쟁, 전쟁 같은 입시 등등 과연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사회 환경인지를 돌아봐야 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14
0
0
큰 세력들이 있는데 코인, 주식이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과 코인 시장에 큰 세력이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큰 세력들 때문에 주식과 코인 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의미없다고 할 수 없습니다.투자를 할 때에는 단기적인 목표와 장기적인 목표가 있을 것입니다. 단기적인 목표를 갖고 있을 때 큰 세력의 흐름에 당할 확률이 높습니다.우량주 장기투자의 수익을 얻으려는 것이 아닌 테마주의 흐름만을 쫒아 투자하여 단기수익을 얻으려고 할 때 큰 세력의 흐름에 휩쓸려 갈 수 있습니다.자신의 소신을 갖고 장기적인 목표 수익을 추구한다면 주식과 코인은 훌륭한 투자 시장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9.14
0
0
보통 투자전문가들은 주식/가상화폐 수익선은 몇 %로 잡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투자전문가들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익선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투자는 개인적인 판단으로 이 정도 수익이면 매도하겠다는 소신이 있어야 합니다. 아무리 투자전문가라고 해도 남의 방식을 따라하는 것은 위험이 있습니다. 투자는 나의 노하우와 소신 그리고 목표 수익을 정하고 시작해야 합니다. 매도 했는데 더 상승한다고 해서 아쉬워 하지 마시고, 매수 했는데 잠시 하락한다고 아쉬워 하면 안 됩니다. 전문가들도 본인만의 판단으로 투자하는 것이기에 자신의 판단이 제일 중요합니다. 투자전문가 수익률의 범주가 워낙 넓어 따라하기에는 혼란만 올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9.14
0
0
파킹통장과 예금을 비교하면 어떤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파킹통장과 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로운지에 따라 비교할 수 있습니다.파킹통장은 말 그대로 돈을 통장에 잠시 주차해 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킹통장의 장점은 입출금이 자유롭고, 일반계좌보다 높은 금리를 줍니다. 대게 하루하루 금리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예금은 돈을 년수를 정해서 은행에 맡깁니다. 은행은 이 돈으로 대출을 진행하여 이자로 돈을 법니다. 은행은 그 대가로 예금 가입자에게 높은 금리를 주게 됩니다. 예금은 파킹통장과 달리 입출금이 자유롭지 않고 출금을 하려면 상품을 해지해야 합니다. 년수를 지키지 못해 약속한 금리를 지급받지 못합니다.결론적으로, 파킹통장과 예금은 입출금의 자유로움이 다른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그리고 대게 예금이 일정기간동안 돈을 빼지 못하기에 금리가 높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09.14
0
0
연준의 빅컷 기대가 크다?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연준의 빅컷 기대가 크다는 의미는 0.5%이상의 금리인하를 의미합니다. 연준은 금리인하에 대해 인색한 입장이기 때문에, 빅컷에 대한 기대를 하는 것입니다. 만약 연준이 빅컷을 단행한다면 경기 부진을 끌어올리기 위함입니다. 대규모 금리 인하는 경기 활성화 정책으로 시중에 돈이 돌아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입니다.금리를 인하하면 기업 및 가계는 대출을 활발히 일으킵니다. 금리가 낮아진다는 건 대출이자가 적어진다는 것이니 더 많은 대출이 시행됩니다. 시중에 돈이 풀리고 소비가 일어납니다. 기업은 돈을 벌고 고용을 늘리고 투자를 하게 되죠. 이것이 경기 부흥이 되는 과정입니다.금리 인하의 또 다른 이면은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돈의 가치가 싸져 물건 값이 비싸지게 됩니다. 잘못하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수 있으니 적절한 선을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14
3.0
1명 평가
0
0
알바하면서 돈 모으는 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알바하면서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선저축 후소비'가 습관이 되어야만 합니다.작은 수입에 소비를 해야하니 어떤 식으로 저축 계획을 세워야 합리적일 수 있을지 고민이 될 겁니다. 그럴 때는 항상 급여를 받자마자 저축부터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선저축을 하면 그 당시에는 돈이 없어지는 느낌이 들겁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계좌에 돈이 쌓여서 나중에 보면 깜짝 놀랄 겁니다. 돈을 천천히 조금씩 모으면서 습관이 들어야 합니다. 그냥 파킹통장에 넣지말고 적금에 가입하는 것이 좋으며, 이자도 높기 때문에 실용성이 좋습니다. 그러니 적금을 들어 재미있는 저축 습관을 들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4.09.14
0
0
최근에 우리나라 2분기 성장률을 보닌까 -0.2%로 역성장을 했는데 하반기에도 이런 역성장이 계속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반도체 및 주력 상품들에서 타국의 대체 상품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만의 특별한 기술 및 품목이 있어야 하는데, 기술은 많이 따라잡혔으며 역전당하고 있습니다.삼성전자의 반도체를 봐도 TSMC 및 다른 기업들에게 생산을 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직까지는 경쟁력이 있다고 하나 향후 그 격차는 더 좁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출을 통해 돈을 벌어야 하는 우리나라는 우리만의 기술력 및 품목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하루 아침에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니, 당분간 하반기에도 역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09.14
0
0
코인으로 꾸준히 돈 벌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과 코인으로 계속 수익을 낼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없습니다. 특히 코인은 주식보다 규제를 덜 받는 상황에서 위험 요소가 더 많습니다. 갑작스런 코인 상장폐지로 투자한 돈을 모두 잃을 수도 있는 시장입니다. 그래도 주식은 몇 번의 경고와 각종 규제를 받아 미리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코인으로 계속 수익을 내고 싶다면 장기적인 목표를 봐야 하며, 감정적인 투자를 지양해야 합니다. 코인으로 수익을 얻었다면 안정적인 자산으로 옮겨 계속 된 수익을 볼 수 있게 해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9.13
0
0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