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인구절벽이 가속화될 경우 사회복지 및 연금제도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46

우리나라 노령층이 된 이후에 경제적 대책을 위해 국민연금, 노령연금 등이 있습니다. 인구절벽이 가속화될 경우 사회복지 및 연금제도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사회복지는 선별적 복지에 근거해서 관련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연금제도 역시 소위 조금 더 내고, 자동안정화장치 등을 도입해서 어느정도 수급금액을 조절하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굉장히 어려운 문제이고, 예민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인데요. 고령사회가 될수록 연금제도를 포함해서 사회복지는 필수적이고 예산도 증가해야하지만, 반대로 그렇게 돈을 지불할 노동인구는 줄어들기 때문에 오히려 복지를 줄이거나 젊은세대의 세금부담률을 올려야하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윗세대가 덜 받고, 아랫세대가 더 내는 접점을 조율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국가가 제공하는 연금은 유지를 하겠지만 이 재원을 마련하기 위하여 정부의

      세금을 추가로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 즉 발전을 위한 자금 사용보다 유지와 복지를 위한 곳에 사용되면서 우리나라 경제

      발전이 멈추거나 뒤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

    • 경제적으로 선진국 반열에 올라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 후진국 반열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최근 개혁도 생각해보면 더 내고 더 받자는 것인데 이러한 개혁으로는 지금 당장 5~10년을

      늘리는 것은 도움이 되겠지만 장기적으로 해결이 되는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구절벽이 가속화되면 국민연금과 노령연금 같은 사회복지 제도에 큰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연금 수급 시기를 늦추거나 연금 납입 기간을 늘리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 더 많은 사람들이 연금에 가입하고 납부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거나, 기초연금을 강화해 노령층을 더 지원하는 방법도 고려돼야 합니다.

    이런 변화가 없으면 미래 세대의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는 것이 더 많고 받는것이 더 적은 형태로 가는게 기본형태가 아닐까합니다. 그 안에서 조금씩의 변화는 있겠지만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구절벽이 가속화될 경우 사회복지와 연금제도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어쩔 수 없이 이렇게 되면 연금제도는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으로 돌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구절벽이 실현된다면 지금의 국민연금 제도는 완전 싹 바꿔야 합니다. 우리는 지금도 국민연금을 낸 금액보다 더 많이 수령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한 달에 20만 원씩 30년을 납부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일년에 240만 원, 30년 이면 7200만 원 입니다.

    65세 부터 10년 동안 국민연금을 100만 원씩 지급받는다고 가정하면 일 년에 1200만 원 10년 이면 1억 2천 입니다.

    지금의 국민연금은 피라미드 형태의 인구구조 일 때 가능한 제도입니다. 저출산 일 때는 다른 방식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지금 국민연금은 우리보다 윗세대에게 돈을 주는 구조입니다. 저출산이면 우리가 받을 때쯤 돈을 주는 아랫 세대는 엄청난 짐을 지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연금 개혁은 인구절벽하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젊은층의 고령인구에 대한 복지제도 부담이 증가하여 사회적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현재보다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국민연금은 2050년 전후로 고갈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