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증권회사가 파산하면, 소비자가 가지고 있던 주식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남아있습니다.다만 팔지를 못할 뿐이죠. 종이쪼가리란 표현이 맞습니다.일정기간 정리매매가능한 기간을 주는데 완전 헐값에 팔수 밖에 없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3
0
0
해외주식은 몇시부터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프리마켓은 한국시간으로 18시부터이고본 시장은 11시30분~06시입니다.프리마켓부터 사실 수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3
0
0
1월 미국 CPI가 6.5%라고 하든데 이 기준이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정확한 수 까진 알 수 없는 몇 백가지의 소비자가 소비하는 여러 다양한 형태의 집합을전년 대비하여 나타낸 수치입니다.에너지, 부동산, 일반상품류 등 엄청 포괄적이죠.
경제 /
경제정책
23.02.03
0
0
주식 상한가와 하한가는 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국은 30%로 막고 있습니다. 미국은 없구요. 가상화폐도 없습니다.한국이 막는 이유는 정말 쉽게는 너무 외국인 자본에 흔들리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패닉셀이나 작전세력으로 부터 기업을 지키고 주식피해자를 줄이고자 만든 것입니다. 국력이 약한 것이니 어쩔 수 없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3
0
0
2023년 금리의 방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서서히 하락하는 구간은 2023년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다음 cpi에 물가가 엄청 떨어진다면 모르겠으나 4.75% 고금리에도 6.5%에서 연준 목표 물가인 2%에 도달할려면 굉장히 많은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또한 어떤 리스크가 또 나올지 모르고 지금 현재 리스크도 끝나지 않은 이유도 있습니다.대부분 예상 하는 것은 금리의 정점을 찍고 한동안 변동 없는 기간이 2023년 하반기에서 2024년 상반기까지로 보고 있습니다.그 이후 별다른 리스크가 없고 2%대로 내려온다면 그제서야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2.03
0
0
주택청약 2만원에서 10만원 변경?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10만원인 이유는 국민주택에 경우 월에 10만원 까지만 청약금이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민영은 상관없음)아무리 많이 넣어도 인정이 되지 않죠. 자동이체금액을 변경하시면됩니다.
경제 /
대출
23.02.03
0
0
금리가 오르는데도 주식시장이 상승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그동안은 미국만 금리를 폭등해서 강달러 기조였기 때문에 전세계 해외 자본들이 미국으로 쭉 빨려 들어갔었습니다.그러다 뒤늦게 물가 폭등을 맞은 동아시아, 유럽, 남아메리카 등 많은 나라들이 금리인상을 하여 화폐가치를 높였기 때문에이제는 미국에 있던 자본들이 차익실현과 함께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경제침체국면을 예상하고 있어서자연스레 금리 인상한 다른 나라로 흘러 들어가는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3
0
0
한국은행이 이번에 금리인상을 결정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번 달은 애매하지만 6:4 정도로 금리 동결로 예상됩니다.어제 발표된 cpi 5.2%로 이전 보다 0.2% 상승한 것이 걸려서 애매하긴 합니다만소폭 수준이고 여러 선행지수인 수입물가, 생산자 물가가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것 미국금리를 0.25% 베이비스텝을 한 것경기침체가 급속도로 되고 있다는 점을 미뤄보아 이번 달은 지켜보는 관점에서 동결로 가고 추후 5.2%에 안떨어진다면 0.25%는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2.03
0
0
디플레이션의 주된 논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디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화폐가치가 너무 높아져 상품가치가 하락하고 오히려 소비가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논리는 고금리인상으로 인하여 화폐가치가 너무 오르게 되고 물가가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잡혔는데 조절을 안한다면 올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상품가치가 하락하여 싸게 구입하면 좋은 거 아니냐는 생각이 드실텐데화폐가치가 너무 높아져 버리고 이미 살건 다샀다면 오히려 상품,부동산,주식 등을 구매하는게 손해이기 때문에 소비가 줄어드는 것이고 시장에 극심한 정체가 오고장기간 지속되면 계속 기업은 적자로 인하여 망하게 되며 엄청난 버블이 생기면서 터지면 초고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겉잡을 수 없는 극심한 경제위기에 봉착할 수 있기에 일반적인 인플레이션보다 더 위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2.03
0
0
연준이 금리를 낮출수도 있다고 하는데 진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2023년은 사실상 낮출 순 없고 여기서 0.25%정도는 더 올리거나 빠른 속도로 잡힌다면 하반기엔 동결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1월 연준 성명서에 적힌 것을 보면아직 물가가 높고 계속적으로 긴축 기조로 갈 것이라고 하였습니다.인상폭을 줄인 것뿐이지 물가행보를 지켜보고 올릴 수 있으면 더 올리고 괜찮아진다면 2%목표로 갈때까지 동결로 가겠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02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