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적금과 예금의 차이를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적금은 일정 기간 동안 월 마다 일정금액 납입을 통해 납입한 금액에 대해 이자가 붙는 것을 말합니다.예금은 일정 기간 동안 큰 목돈을 넣어두고 납입한 금액에 대해 이자가 붙는 것을 말합니다.적금 매달 50만원씩이라고 하면 첫 째 달 50만원에 대한 이자 두 번째 달 은 100만원에 대한 이자이런식으로 해서 최종 1년이면 600 + 50만원에 대한 첫 달 이자* 55를 받습니다.예금은 600만원이라면 처음부터 600만원에 대한 이자가 붙기에고스란히 600 + 600만원에 대한 첫 달 이자*55 입니다.훨씬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01
0
0
기업이 적자를 보면서 어떻게 유지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적자를 보면 안좋긴 하다만 처음엔 다 적자로 시작하죠.크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은 - 사업계획에 대한 대량의 투자금 유치- 장,단기 채권 발행특히 장기 채권 발행시 금리를 높게 주더라도 크게 보면 10~15년씩 오래 가니까 채권발행을 많이 해서 자본을 만듭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1
0
0
정글 경제주의 라는 용어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정글 경제주의, 자본주의라고 하는데 원래는 정글처럼 자유롭지만 그 안에서 굉장히 복잡한 것을 나타내는 시장을 뜻하는 용어였으나사실상 지금은 약육강식을 나타내는 말입니다.강자가 결국 약자를 잡아먹는 경제라는 것이죠.아시다시피 미국이 전세계 시장을 좌지우지하는게 그러하구요.
경제 /
경제용어
23.02.01
0
0
미국 금리와 한국 금리의 차이가 심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국과의 금리 차이로 보시면 안되고 전 세계 나라의 금리 차이로 보셔야 합니다.미국이 먼저 금리를 대폭 인상하면서 상대적으로 한국이나 다른 타 국가들이 낮은 금리로 적용되었고 이에 강달러기조가 발생하였습니다.강달러라서 외국인 자본이 미국으로 쫙 들어갔죠.그러다 점차 타국가들이 따라서 금리를 인상으로 강달러기조가 꺾였고 높은 금리로 인한 경제악화공포기대로미국에 있던 외국인 자본들이 차익 실현과 함께 금리가 인상되는 타 국가로 다시 들어오는 것입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1
0
0
금리가 오르면 투자자산이 왜 떨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투자자산 주식으로본다면 내가 즉 기업에 투자한다는건데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움직임은 당연히 둔화될 수 밖에 없습니다.부채가 많아지고 그만큼 투자,설비,인건비가 줄고 생산량이 적어지면 매출은 당연히 낮아지겠죠.미래기대가치로 오르는게 주식인데 이러면 굳이 불안한 주식에 넣어놓을까요?예외적으로 경제악화로 인한 오르는 주식이 있을거지만일반적으로 당연한 순리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1
0
0
왜 물가가 많이 올랐는데, 명품관은 북새통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명품관이 몰릴지언정 실제 구입 수요가 많은지는 모르는 것이고 가장 큰 이유는 예전에 비해 소득수준이 많이 올라왔기 때문에 보다 구입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긴 것이죠.급격히 성장하고 시급도 많이 올랐는데 비해 명품의 가격은 그렇게 많이 오르지 않았습니다. 다양한 브랜드들이 쏟아져나오고 물량도 많이 나오면서 공급이 많아졌죠.몇 천만원짜리는 그래도 상위층만 구입하겠지만보통 100~200선은 돈 좀 모으면 살 수있는 정도가 되었으니 차라리 싼것보다 있어보이는 명품을 사는게 낫고 나중에 팔때도 돈이 되니까 더욱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2.01
0
0
왜 금값은 계속해서 오르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돈의 흐름이 현재 주식,코인,부동산이 폭락이고 경제가 침체될 것으로 예상되니변동성이 극히 작은 금이나 보다 안전자산인 채권,은행 등의 시장으로 몰리는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31
0
0
주택청약을 얼마나 해야 효과가 있는지?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래와 같은 이유로 계속 넣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1. 금액 : 10만원 (매월 10만원까지만 인정)2.기간 : 15년까지 최대 17점 가산점3. 청약금을 담보로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대출 가능ㄴ돈이 부족 하시면 해지 말고 담보대출로 가세요.청약은 어지간하면 10~15년 묵힌다 생각하고 꾸준히 넣으세요.
경제 /
대출
23.01.31
0
0
적금 가입 후 기준금리 오르면 적금 금리도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예,적금은 고정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기존 가입한 것은 변동 없습니다.더 높은 것을 새로 들어야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31
0
0
난방비 많이 올랐데요. 근데 국제가스값 내리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그동안 너무 안 올려서 그렇습니다.기존에 국제기준 가스비와 국내 가스비 요금을 적정한 비율로 올르면 함께 올라야 하는데국제는 올랐지만 국내는 전,현 정부에서 정치적 민심잡을려고 올리지 말라고 하여 못 올렸던 것입니다.그러니 지금 전기든 가스공사든 부채가 심해지고 더 이상 안되니 국제는 내려가도 국내는 갑자기 많이 올려버리니까 사실상 적정 가격임에도 국민들 입장에서는 폭탄을 맞은 셈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31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