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미국에서 금리를 계속 인상하면 우리나라엔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 금리를 계속 올릴경우 미국 경제가 굉장히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고 덩달아 세계적으로도 악영향을 미칠 것입니다.한국도 마찬가지이고요. 극단적으로 말씀드리면 강달러 기조로 무역수지가 박살이 날 것이고 수입물가는 증가되어 기업,가계 부채 증가로 이어지게 되며도산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실업자 증대와 더불어 물건 하나 사기 힘든 시기가 올 것입니다.그러나 이러한 악조건을 한번은 거쳐야 이 악의 순환고리에서 빨리 빠져나올 수 있고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연준은 경제상황이 악화됨에도 매파적으로 금리인상을 하려고 하는 겁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19
0
0
자이언트스텝과 빅스텝, 베이비스텝 이것들이 어디서 나온 말이며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실제로 해외에선 쓰지도 않고 없는 용어인데 기자들이나 증권가 사람들이 대두되고 심각성을 알릴려고 만든 은어입니다.이유는 0.5%금리가 올랐네 1%가 올랐네 하면 그 심각성이 안 와닿으니까자이언트니 빅스텝이니 붙여서 크다라는 의미를 확대해서 사람들에게 더 확 와닿도록 만든 용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1.18
0
0
우선주는 왜 보통주보다 더 가격이 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의결권의 중요성을 몰라서 하시는 소리입니다.저희같은 일반 주주들 개미들 한테는 의결권이란게 사실 의미가 없죠.배당만 먹음 장땡이니까그러나 질문주신 분이 지분의 20~30%를 가지고 있는 수백억대 대주주라면?? 나의 돈을 회사가 막굴리는 걸 볼 수 있을까요??돈을 투자했는데 회사가 말아먹고 있는데 한마디 말도 못하는 상황이면 어떻겠습니까? 저라도 배당을 꾸준히 받을 수 있는 회사로 계속 성장하길 바랄 것입니다.회사가 이상한 길로 못가게 막으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하여야 하기에 보통주로 가는 것입니다. 대주주에게는 보통주가 우선주보다 더 유리하기 때문에 더 많은 유동적 흐름이 우선주보다 보통주로 움직이게 되어있습니다. 도움이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8
0
0
청약통장에 입금 안 하고 있다가 은행가서 10만원씩 분할납부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어플로도 가능하시고요. 분할 납부 가능한 회차가 있으실겁니다.가능한 회차와 금액이 뜨면 그 금액만큼 입금해주시면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18
0
0
PF자금시장이란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은행이 기업의 어떤 사업에 대해 돈을 빌려줄 때 담보가 아닌 사업성을 평가하고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주로 부동산에 은행이 PF를 많이 해줬으며 , 경기가 좋고 부동산가격이 오를 때는 당연히 은행에서도 수익이 늘어나니 좋지만 지금 같은 시기에는 대출한 기업들이 물가가 너무 높아져 도산하고 더 이상 건물을 짓지 못하여 대출 상환이 어려짐에 따라은행도 피해를 보고 파산 위기로 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되면 결국 국민들의 예,적금,투자한 돈들이 사라져 막대한 피해를 끼칠 염려가 있기에 뉴스에 보도되곤 하는 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8
0
0
경기침체가 오면 주식은 무조건 하락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경기침체가 오면 무조건은 아니지만 과반수 이상이 하락을 면치 못 하게 됩니다.이유는 경기침체라는 것은 결국 기업의 성장이 마이너스라는 얘기이고 매출,이익이 적어진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성장가능성,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감과 결과에 주가가 변동되는 것인데 경기침체인데 어떤 세력이 넣을려고 할까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8
0
0
경제를 살리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정부와 기업이 손을 잡고 최대한 수출을 많이 하도록 외국 회사와 접촉을 많이 하여야합니다.그래서 현 대통령이 아랍에도 가는 것이죠.그리고 제한들을 풀고 세금을 줄여주는 등으로 물가를 다소 낮출 순 있습니다.하지만 일시적일 뿐 버블은 터지는 순간 한번은 크게 위기를 맞고 다시 올라가게 되어있습니다.올해 전반기엔 금리인상과 더불어 기업,가계들의 부채가 쌓이고 소비가 굳고 실직자들이 많이 나올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17
0
0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엄청 떨어졌다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삼성전자의 대부분의 매출은 반도체입니다. 그러나 거시적 경제 악재 상황에 높은 물가로 생산량 저하와 수출이 약해지는데 반해 이번년은 구조조정은 하지 않았으니 그만큼 영업이익은 자연스레 줄어들게 됩니다.내년엔 불가피하게 구조조정을 통해 비용감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17
0
0
WEB 3.0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웹1 단순 컴퓨터 문자시대웹2 점,선,면 까지를 합쳐 이미지,동영상으로 화면속에서 2D로 즐기는 현재이며 모바일로도 기능이 확대웹3 면을 합쳐 만든 3D세상 속이며 메타버스세상이라고도 함 고도의 지능형 시대로 ai,블록체인,nft,홀로그램 등을 일컫는다.사용자가 직접 화면속에서 캐릭터,아바타로 활동이 가능한 세상
경제 /
경제용어
23.01.17
0
0
우리나라는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야 좋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여러 조건 다빼고 단순하게 말씀드리면 가장 좋은 것은 달러의 가치보다 살짝 아래에 있으면서도 경쟁국가들이랑 비슷한 구조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강달러가 너무 높아지면 수입의 부담이 너무 크고 반대로 국내화폐가치가 너무 높으면 수출이 안되거든요.달러보다 아래에서 그렇다고 너무 한국 화폐가치가 높지 않는 선이 수출,수입에 가장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17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