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미국의 CPI는 수치가 어느정도 되어야 정상화가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연준 목표는 2%대가 올때까지 긴축행보를 계속하겠다고 이미 작년부터 얘기 해왔습니다.시장이 오해하고 자기 마음대로 생각하고 움직였죠.연준 발표 뉴스를 잘 보셔야 합니다.각종 증권회사에서 경제상황이 이러니 이럴 것이다. 예측은 너무 믿지 마십시오.연준 목표인 2%니 3%대로 내려와야 유지기조로 가고 2%오면 천천히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06
0
0
미국의 경제가 회복되기 위해 무엇이 해결되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를 잡는 것이 가장 최우선입니다.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는데요.금리 인상을 하게되면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경기가 안 좋아지죠. 고통을 인내해야할 시기가 올 것이고 그게 2023~2024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연준 목표 물가인 2%~3%대로 오게되면 이후 경제 회복 속도가 굉장히 빠를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06
0
0
최저시급과 금리는 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임금이 증가하면 아무래도 물가를 따라가게 됩니다.물가가 낮아지면 금리인상은 더 이상 하지않고 향후 유지나 내려가게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05
0
0
회사에서 갑자기 직원을 정리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유독 심해질 것입니다.현재 계속적인 무역적자, 물가상승,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기업도 엄청난 현금유동성이 줄고 부채가 늘고 있습니다.가속화되면 결국 덜 필요한 부서를 없애고 신입채용을 줄이고 부장단과 신입을 정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실적이 안나오는 상황에서 사실 인건비가 제일 부담이거든요.
경제 /
경제동향
23.01.05
0
0
부동산 시장에서의 금리인상과 인하의 관계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으로 인해 가계이자부담이 급증함에따라 부동산 매물이 늘었지만 수요 감소로 인하여 부동산 가격은 내려가게되어있습니다.금리를 낮춘다면 이자부담이 낮아지니 부동산은 다시 활기를 띠게될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05
0
0
금리인상이 인플레 감소에 효과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사실상 금리인상밖엔 없습니다.화폐가치가 낮아졌기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한거니화폐가치를 다시 올리기 위해서는 금리인상을 하여야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05
0
0
플라자합의 라는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지금과 같은 강달러 기조로 무역수지감소, 재정적자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미국이 플라자호텔에서 합의한 것을 말합니다.한 쪽으로 치우치면 무너지듯이 경제성장에 맞춰 세계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강달러기조로 그것도 영향력이 제일 큰 미국에서 기울어졌으니 그 불균형을 다시 맞추려고 나라간의 서로 합의를 보는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05
0
0
택시요금이나 상수도요금 인상같은 민생물가 상승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그에 맞게 물가가 상승하면 긍정적입니다.그러나 지금처럼 안 좋은 시기에 오르게 되면 자연스레 가계부채증가와 소비감소로 이어지고 기업은 더욱 축소할 수 밖에 없어 경제순환이 점점 마비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05
0
0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데 빈집도 많아질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전체적인 빈집 즉 공실률의 변화보단 아예 지역 전체가 소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서울,수도권지역으로 계속 몰리고 있는 형국이고 다주택자도 무시 못하기 때문에 이 지역은 공실률의 변화는 많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이 지역을 제외한 지방권은 공실률보다 아예없어지는 형국이 점차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이유는 지금과 같은 0.8명 출산율이면 20년 후면 지금 인구에 300~400만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 /
대출
23.01.05
0
0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파월은 계속해서 물가2% 목표가 도달할때까지 긴축과 금리인상은 계속 될 것이라고 얘기했습니다.그러나 시장이 이것을 마음대로 하였고 저희들이 계속 모르고 있는 것입니다.경기침체가 우려된다고 하지만 결국 물가를 잡아야 경기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파월을 이미 과거를 통해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1970년 오일쇼크 당시 매파적 금리인상으로 생명의 위협까지 받았던 전설적인 폴 볼커의 사례를 찾아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경기와 물가 두 마리 토끼는 잡을 수 없으며 물가를 먼저 해결하고 경기를 해결할 수 밖에 없습니다.물가안정을 위해 경기침체는 어느 정도는 각오하고 긴축행보를 이어나가는 것입니다.지금 당장은 힘들지만 더 악화되기전에 빠르게 회복하려고하는 움직임이라고 생각해주시면됩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05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