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자합의 라는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넉넉한반달곰160입니다.
플라자 합의 라는게 무엇 인가요??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플라자합의란 1985년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재무장관이 달러화를 엔화와 독일 마르크에 대해 절하하기로 합의한 것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엔화가치가 상승하여 일본의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일본의 장기 경제 불황의 단초가 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의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G5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합의된 환율조정협정 입니다. 당시 달러가치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 가치를 높이는 대신 상대적으로 약세였던 미국 달러화 가치를 낮추기로 한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지금과 같은 강달러 기조로 무역수지감소, 재정적자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미국이 플라자호텔에서 합의한 것을 말합니다.
한 쪽으로 치우치면 무너지듯이 경제성장에 맞춰 세계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강달러기조로 그것도 영향력이 제일 큰 미국에서 기울어졌으니 그 불균형을 다시 맞추려고 나라간의 서로 합의를 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플라자 합의란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에 있는 플라자 호텔에서 G5 경제선진국(프랑스, 서독, 일본, 미국, 영국) 재무장관, 중앙은행총재들의 모임에서 발표된 환율에 관한 합의를 말합니다.
플라자 합의에서 미국 달러화 가치를 내리고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 가치를 높이는 정책을 채택했었습니다. 발표일 다음날에 달러화 환율은 1달러에 235엔에서 약 20엔이 하락하였다고, 1년 후에는 달러의 가치가 거의 반이나 떨어져 120엔 대에 거래가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미국 달러 가치 하락은 미국 수출품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해서 점차적으로 많은 나라들이 미국이 생산한 제품과 서비스를 더 많이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플라자합의는 일본경제의 잃어버린 30년을 오게 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던 합의로, 1985년 9월 22일 미국의 뉴욕에 위치한 플라자 호텔에서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영국으로 구성된 G5의 재무장관들이 모여서 명목상으로는 '각 국가가 외환시장의 개입'을 하여 달러화강세가 되어있는 것을 정상적으로 돌려 '달러화 약세'로 시정하기로 한 조치입니다.
실제는 이 당시 미국은 개인소득세를 크게 대규모로 삭감하고 베트남 전쟁의 실패등으로 인한 내홍과 대규모의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하면서 미국 경제가 어려워지자 강제적으로 대외무역의 적자폭이 가장 큰 국가들로 하여금 달러화의 약세를 만들어 미국의 수출실적을 개선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일본은 이 플라자합의로 인해서 달러가 약세로 전환됨에 따라서 엔화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서 일본의 수출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일본정부는 수출실적이 감소하게 되면서 일본 기업들이 위기에 처하자 '금리인하'를 통해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금리가 저금리 기조가 되다 보니 일본 내수시장이 크게 상승하기 시작하는데요. 이때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의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상승이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부동산이 천정부지로 상승하자 일본정부는 부동산 가격의 억제를 위해서 대출량 총규제, 금리인상을 통해서 억제하기 시작합니다. (기준금리 2.5%->6%까지상승) 그 이후 부동산은 크게 하락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서 일본은 부동산 버블의 붕괴와 함께현재까지 잃어버린 30년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85년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재무장관이 뉴욕 플라자 호텔에서 외환시장에 개입해 미달러를 일본 엔과 독일 마르크에 대해 절하시키기로 합의한 것을 말합니다. 플라자 합의 이후 2년간 엔화와 마르크화는 달러화에 대해 각각 65.7%와 57% 절상됐습니다. 그러나 그후 미 달러화의 가치하락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개선되지 못했고 독일과 일본 등이 국제 경쟁력 상실을 우려하여 자국 화폐의 절상에 주저함으로써 플라자 합의는 더 이상 이행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엔화 가치의 상승(엔고)은 일본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잃어버린 10년’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플라자합의란 1985년 9월 22일 미국의 뉴욕에 위치한 플라자 호텔에서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영국 등의 5개의 재무장관들이 외환시장 개입에 의한
달러화 강세를 시정토록 결의한 합의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일본과 독일 등에 무역 적자가 심각해지자 엔화 대비 달러를 절반정도 싸게 만들어 버린 합의입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일본 엔화가 달러 대비 2배정도 비싸지면서 일본 제품들이 비싸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엄청난 흑자를 보던 일본 제품은 잘 팔리지 않고, 반대로 미국 제품은 달러가 싸지면서 일본에서 잘 팔리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