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어제 발표된 미국 CPI 7.1%를 긍정적으로만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예상치보다 하회하고 긍정적이긴 합니다만 cpi만 보는 것이 아닌 전에 선행지표를 보셔야합니다.간단하게는 보통 3개월 선행지표라고들 많이 하는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수입물가지표 -> 생산자물가 -> 소비자물가 입니다.수출로 먹고 사는 저희 같은 나라 입장에서 가장 핵심 요소입니다.수입물가가 낮아져야 생산자가 생산량를 높일 수 있고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겠죠?결국 소비자물가도 낮아지게 되어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4
0
0
금리가 계속오르고있는데 저축을 계속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가 조금씩 잡히고 있는 것 같아서 금리인상 폭과 속도는 줄겠지만 여전히 높은 물가로 금리인상여력이 아직 많이 남아있고 무역수지적자와 더불어 경제침체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2023년은 비중을 은행 7 , 주식 3이나 8:2정도로 보시고 장기로 보시는 종목만 하락 왔을 때 사놓으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4
0
0
주식시장에서 자사주 매입을 호재로 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자사주매입으로 유통량을 줄면 주식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주가 오를거란 기대로 호재로 작용합니다.하지만 자사주매입이 꼭 호재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결국 회사가 사는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 조금씩 그 주식은 처분하기 시작합니다.쉽게 설명드리면 10,000원이였던 주식이 자사주매입으로 가치를 20,000원으로 올리고 나서 조금씩 처분해서 이익을 얻는 것입니다.단타나 알고서 처분해서 이익을 얻는 주주들도 있겠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별로 좋진 않겠죠. 진짜 호재는 자사주를 매입한 다음 자사주소각까지 이어져야합니다.너무 혹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4
0
0
블록체인 코인 용어에서 스테이킹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예금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정량을 일정기간동안 예치 후 후에 이자를 더하여 코인으로 받는 것입니다.거래소나 코인주체에서 스테이킹을 통해 코인(투자금)모아서 수익을 내고 거기에 일정량 이자를 반환해주는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증자는 기본적으로 자기 자본을 늘리려고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유상증자 - 신규 주식을 발행해서 기존,신규주주에게 팔아서 자본을 늘리는 것무상증자 - 무상으로 주주들에게 주는 것입니다.보통 유상증자를 많이한다는 건 악재 , 무상증자는 호재라고 하는데이유는 유상증자는 지분이 희석되기 때문에 주주들에게는 가치가 떨어지고 안 좋아하지만무상증자는 무상이기 때문에 주주들한테는 호재라서 그렇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경제 뉴스의 비둘기파 매파의 뜻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당파는 아니구요. 어떠한 정책을 결정할 때를 얘기하는데 아래와 같습니다.매파적 - 어떠한 사태에 대해서 자신의 주장을 타협없이 강경하게 할 때 (예 : 파월의 금리인상 예상보다 높이 인상할경우)비둘기적 - 매파와 반대로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하고 주변 의견과 타협을 통해 완만하게 결정할 때 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신용카드 할부 당월 청구만 선결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카드 할부 당월청구분만도 가능하시구요.남은 할부 한번에 결제도 가능하십니다.보통 카드앱에서 할부 내역으로 들어가시면 할부 일시납부라는 것이 있을겁니다.
경제 /
대출
22.12.12
0
0
요즘 은행에 돈을 넣어야 하는 시기라던데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내년 초까지는 불안정한 시기로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은 시기입니다.분산하여 은행과 현금 비중을 높이시고 주식, 펀드 상품 등은 비중을 낮추시는게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불안한 이와 같은 시기에 안정자산에 비중을 높이셔서 돈을 잃지 않는 쪽으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2
0
0
일반인 경제 공부의 시작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처음엔 쉬운 경제서적이랑 경제전문가들 유튜브영상으로 배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단순히 주식투자, 어디다 전화하면 알려드립니다 이런 영상은 바로 끄시고 경읽남,여 분들이 많으시니까요. 그걸 참고하면서 현재 시점 한국이 왜 그러는지 2023년 어떻게될지도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저도 궁금한게 생길때마다 보고 하나씩 배우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1
0
0
2023년과 2024년의 금리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에 따라 다르고 현재 한국은 미국을 따라가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 순 없지만 현재 12월 미국ppi지수가 다시 상승하였고 예상하기에 cpi도 7.7%에서 많이 안떨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이번에 금리가 0.5%상승은 불가피한다고 보았을때 미국금리가 내년 초중까지 5~5.5%까진 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그렇다면 한국이 현재 3.25%로 보았을 때 3.5~4%까지도 가능성을 열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경제 /
대출
22.12.11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