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식시장이 이렇게 올라가는게 단기적인 상승으로 보는데 여러분들은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번 달 살짝 반등이 왔으나 고용지표와 아직 9일ppi, 13일cpi 남아있고 금리인상도 0.5%정도는 다들 예상되오니 코스피 2400~2500 정도고 600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2
0
0
예금이나 적금으로 꾸준히 모으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적금은 매달 납입이라 수입은 언제 끊길지 모르니 1년 단위로 하시는걸 추천드리구요.예금은 처음은 1년 이후 금액의 반정도는 3년정도 가능하다 싶으면 3년짜리 넣어두셔도 좋습니다.보통 2금융권에서 상담해보시면 3년짜리는 이자 더 주는 특판이 종종 나오거든요
경제 /
예금·적금
22.12.01
0
0
한국 금리 내년에는 인하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결론적으로는 내년엔 인하될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어쩔 수 없이 미국 금리를 따라갈 수 밖에 없는 한국 입장이고 현재 미국은 고점 찍고 물가가 7.7%로 둔화되었지만 여전히 높으며 물가상승률 목표치 2~4%까지 올려면 금리를 더 올려야 하는 상황이라 약 5~6%까지도 예상하고 있습니다.한국도 소폭 오름세로 둔화 하겠지만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01
0
0
금리인상은 왜 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고물가상승 즉 인플레이션은 다른 말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말합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화폐가치가 떨어지는데 수입은 그대로이면 상대적으로 고객은 비싼 가격에 물품을 구입하게 되겠죠? 그렇다면 이렇게 이어지죠 고객의 수요 감소 -> 기업 이익 감소 -> 생산량 저하, 상품 금액이 높아짐 -> 고객은 비싸니 안사게 되고 고객,기업이 모두 안좋게 되는 악순환으로 경제성장에 둔화,침체가 올 수 있습니다.화폐가치를 올려야하는데 금리를 올림으로써 적정 물가를 맞출 수 있고 선순환 구조 변환되어 경제가 정상적으로 돌아가게 되는 겁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01
0
0
올해는 금리가 계속오르는데 언제까지 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 기준 물가가 고점인 9% 터치하고 7%대로 내려왔으나 아직도 고물가라 물가가 2~4%까지 금리 올리는 속도는 줄이되 전쟁이나 다른 특별한 외부 변수가 없다면 앞으로 금리를 5~6% 사이까지 높이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한국은 수출이 6개월째 마이너스이고 여전히 높은 물가와 금리 상승으로 인해 내년엔 경제리세션이 예상 되오니 주식 고수, 전문가가 아닌 이상 내년까지는 안전하게 적금,예금 상품을 드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01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