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식투자를 하다가 손실이 나면 어떡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저 같은 경우도 손실이 났었어서 처음엔 우울하기도 하고 뭔가 상실감이컸었습니다.그래도 운동도 하고 내가 열심히 배워서 무조건 다 회복하고 이기겠단 마인드로 장기적으로 보고 철저히 나의 기준과 규칙에 맞게 진행했습니다.그렇게 잃은 돈을 2년만에 회복하였고 지금은 그동안 쌓은 시드와 함께 수익도 훨씬 높게 가져가고 있습니다.이것은 즉 손실에서 포기한다기 보다 꾸준히 장기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패한 것에 대해 분석해보고 단타는 거의 하지 않았으며 막연한 투자보다 나름 가치주와 정부정책방향에 맞는 것만 골랐습니다.그리고 나름 아직 억까받는 종목들이나 분명 고부가가치 인데 아직 테마바람이 불지 않다고 판단되는 종목들을 서서히 모아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결국 기다림과 꾸준함이 저를 발전시켰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9
0
0
예산안 8% 증액은 경제적으로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어떤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예산이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세금을 쓴다는 얘기이므로 유동성을 늘린다는 것이므로 물가상승에 영향을 줍니다.이것이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되겠지만 그것보다 무너지는 속도가 빠른 만큼 사실상 더디게 하는 정도이며 한국은 결국 장기적으로 무너지게 되어 있습니다.10년 뒤면 고령화가 2천만 시대에 그만큼 부양금이 높아지고 더 적어진 젊은층이 매꾸기 위해선 월급을 받아도 그때면 거의 30% 떼가는 현실이 닥칠 것입니다 .그저 저가치생산에만 인구가 쏠려 서로 싸우고 시위가 늘어날 것이며 연금개혁이니 뭐니 또 얘기가 나오면서 본인의 이익만을 위해 결국 프랑스처럼 젊은 층의 시위와 폭동이 거세질 것입니다.거기에 점차 늘어나는 외국인 노동자가 현재 200만인데 이것이 최대 500만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이렇게 되면 인종차별 문제 등으로 결국 문제가 점점 커지게 될 것입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11.09
0
0
앤비디아 주식 계속 매수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시세에서는 사실 매수 의견은 드리기 어려운 것이 엔비디아도 결국 ai 공급 업체가 계속 늘어야 하는데 현재 개발한 제품을 공급받을 회사가점차 이익을 못 내고 파산하는 것이 급증하고 있으며 대기업군은 엔비디아의 의존도를 줄이고 또한 중국과의 거래 제한으로 그나마 한국과 맺었지만 파이가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현재 주가 가치를 보존하기에 다음 실적을 보아야 알 수 있을 것 같지만 확률적으로 조정은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9
0
0
이번주식시장에서 돈 못번 사람도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돈을 번 사람보다 못 번 사람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수익은 세력들이 가져가며 일반 개미들이 수익은 일부분입니다.그마저도 처음엔 수익을 보았지만 결국 욕심때문에 잃는이들이 대부분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1.09
0
0
지금 코인도 주식도 사야할 타이밍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1차 장대음봉이 나왔을때 들어가서 조금은 들어가서 먹을 확률이 있습니다만 단기로 10%내외로 먹고 나오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그리고 너무많은 자금이 아닌 물려도 빠져나올 수 있을 만큼만하십시요.지금 이때다싶어 들어가는 분들 많으실텐데 현재 상황은 3차까지도 바라봐야하는 우하향전환으로 보고 있어 조심하셔야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9
0
0
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한게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급여통장은 어디꺼나 동일합니다. 일반통장이니까요.회사에서 주거래은행이 있으실텐데 주로 그 은행의 통장을 가져오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회사입사시 그에맞는 은행통장을 이용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1.09
0
0
은행에서 지급하는 이자 지급 어느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한도가 크다면 일일지급이 좋습니다.이자가 작더라도 그만큼 유동성자금이 쌓인다는 것이 훨씬 돈 불리기에 유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5.11.08
5.0
1명 평가
0
0
환율 전망이 1,500원까지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내수문제가 가장 큽니다.내부에서 경제가 돌고 성장해야 그만큼 사회적비용이 주는 반면 벌어들이는 돈이 커지고 원화가치가 올라 환율이 내려가는데요.지금은 경제력이 매우 약해진상태에서 세금으로만 너무 쓰고 생산성은 떨어지니 점차 원화가치가 낮아지는 것입니다.그나마 미국이 금리인하를 좀 더 해서 어느정도 맞출 수 있겠지만 미국도 금리인하가 계속 더뎌지고 있는 가운데 내수경제가 활성화가 안되면 결국 환율은 계속 조금씩 오르게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11.07
0
0
앞으로 우리나라 주식전망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종목은 한국은 ai와 자동차 그리고 방산 쪽이 가장 확률적으로는 높습니다.그나마 경쟁력있는 회사들이 분포한 산업군이 이쪽이고 정부차원에서도 많이 밀어주고 있거든요.ai중에서도 이젠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로봇 위주로 핵심부품이나 경쟁력있는 회사들이 유력해집니다.로봇이 실제로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도 수준까지 올라온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앞으로 10년내에 정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1.07
0
0
미국의 AI발 증시 급등에 거품이 끼어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데 사실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는 거품이라고 하기엔 실적이 뒷받침 되었기에 그렇지 않습니다만 문제는 AI증시가 점차 거품을 확산하고 있다는 것은 맞습니다.이게 지금 큰 빅테크기업들이 어떻게 보면 대출파생상품을 만들어 매출을 올리는 것인데요.작은 회사에게 투자금을 유치받고 대신 나의 상품을 사서 개발해 이겁니다.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개발하였지만 실제로 판매량이 부진하여 파산하는 기업들이 보이지 않게 많다는 것이죠.이러면 대기업들만 돈을 버는 데 이렇게 하는데도 이제는 해줄 중소기업들이 점차 사라지면서 이 이상의 기대값을 내기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입니다.엔비디아가 한국을 택한 이유 자체가 여기에 있는데요. 말은 번지르하지만 결국 중국과 먼저 협상에 무산되고 자꾸 거부하면서 본인들에게 여러 걸쳐있던 기업들이 안 좋은 성과를 내니 공급할 기업들이 줄어들어 지금까지 올려놓은 기업주가를 계속 가지고 가려면 새로운 판로가 필요한데 결국 그 다음 새로운 판로가 한국인 것입니다.그러니 퍼포먼스까지 보여주면서까지 하는데 이유가 있습니다.그러나 이것들이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가는 경제상황과 더불어 여기까지의 AI에서 더 이상 발전 대비 제품,상품들의 수요가 없고 그만큼 쓸만한 메리트가 없는 것이 현실이라 이대로 증시가 계속 오른 다면 결국 거품이 낄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7
0
0
1
2
3
4
5
6
7
8
9